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우수등재

      이성과 믿음의 관계에 대한 하만과 칸트의 견해 = 흄의 딜레마에 대한 대응을 중심으로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9992089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요한 게오르그 하만은 칸트의 평생의 친구였을 뿐만 아니라 칸트철학과 계몽주의의 강력한 비판자였다. 이 논문은 하만과 칸트의 종교철학, 보다 구체적으로는 이성과 믿음의 관계에 대한 ...

      요한 게오르그 하만은 칸트의 평생의 친구였을 뿐만 아니라 칸트철학과 계몽주의의 강력한 비판자였다. 이 논문은 하만과 칸트의 종교철학, 보다 구체적으로는 이성과 믿음의 관계에 대한 두 철학자의 견해를 흄이 『인간본성에 대한 논고』에서 주장한 이성과 믿음 사이의 딜레마에 대한 두가지 다른 대응방식으로 이해하려고 시도한다. 흄이 이성과 믿음 사이에 딜레마가 있다고 본 이유는 이성을 따를 때 우리는 회의주의에 빠질 수밖에 없고, 반대로 믿음을 따를 때는 아무런 이성적 근거가 없는 믿음을 받아들일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이 딜레마에 대한 하만의 대응방식은 이성적 회의주의를 인간이 도달할 종국의 단계가 아니라 단지 믿음의 도약을 위한 전단계로 간주하는 것이다. 하만과는 달리 칸트는 이성과 믿음 사이의 중도의 길을 모색하며, 그 결과로서 칸트는 이성적 믿음을 옹호한다. 필자의 의견으로 대상에 대한 이론적 관심이 아니라 인간의 실천적 관심, 즉 도덕적 인간이 자신의 의무로서 최고선을 추구하는 것이 어떻게 가능한가에 대한 탐구 결과인 칸트의 이성적 믿음은 하만이 주장하고 있는 이성을 넘어선 믿음의 확실성에는 도달하지 못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칸트의 이성적 믿음은 이성을 갖고 있는 모든 인간이 도달할 수 있는 믿음이라는 점에서 보편성을 가질 수 있고, 따라서 이성적 회의주의에 빠지기를 원하지 않고 또한 이성을 포기하는 것도 원하지 않는 인간에게 대안이 될 수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Johann Georg Hamann, one of Kant"s closest friends, was also a severe critic of Kant"s Critical philosophy and the Enlightenment. In this essay I have shown that their views on the relation between reason and belief can be seen as two different respon...

      Johann Georg Hamann, one of Kant"s closest friends, was also a severe critic of Kant"s Critical philosophy and the Enlightenment. In this essay I have shown that their views on the relation between reason and belief can be seen as two different responses to the dilemma between reason and belief that is found in Hume"s philosophy. In his Treatise of Human Nature, Hume claims that there is a dilemma between reason and belief. That is, if we choose to follow reason, we inevitably lead to total skepticism; however, if we choose to follow belief, we cannot but accept beliefs which do not have any rational ground. Hamann"s solution to this dilemma is to regard the rational skepticism as a preparatory step, which should finally proceed to the stage of the leap of belief. However, unlike Hamann, Kant attempts to steer a middle path between a rational skepticism and an irrational leap of belief, and the result is his doctrine of rational belief. In my view, Kant"s rational belief, which is based on the practical reflection on the conditions under which a moral person can pursue the highest good as his duty, does not reach the absolute certainty of Hamann"s irrational belief. Nonetheless, Kant"s rational belief has the merit of being accessible to every human being who has reason. Therefore, it can be a choice for those who do not want to fall into skepticism but still want to trust human reason.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요약문
      • 1. 머리말
      • 2. 이성과 믿음의 관계에 대한 하만의 이해
      • 3. 흄의 철학에서 이성과 믿음의 딜레마
      • 4. 계몽주의자의 종교로서의 칸트의 이성적 믿음
      • 요약문
      • 1. 머리말
      • 2. 이성과 믿음의 관계에 대한 하만의 이해
      • 3. 흄의 철학에서 이성과 믿음의 딜레마
      • 4. 계몽주의자의 종교로서의 칸트의 이성적 믿음
      • 5. 결론적 고찰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논문관계도

      1 김대권, "하만과 소크라테스" 괴테연구 (24) : 149 ~ 175, 2011

      2 김대권, "하만 사상전집" 인터북스, 2012

      3 데이비드 흄, "기적에 관하여" 책세상, 2003

      4 Hamann, Johann Georg, "Writings on Philosophy and Langua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7

      5 Beiser, Frederick, "The Fate of Reason: German Philosophy from Kant to Fichte" Harvard University Press, 1987

      6 Berlin, Isaiah, "The Age of Enlightenment" The New American Library, 1956

      7 Kant, Immanuel, "Practical Philosophy"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6

      8 Kuehn, Manfred, "Kant: A Biography"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2

      9 Wood, Allen, "Kant's Philosophy of Religion Reconsidered" Indiana University Press, 1991

      10 Webb, Clement C. J., "Kant's Philosophy of Religion" Oxford University Press, 1926

      1 김대권, "하만과 소크라테스" 괴테연구 (24) : 149 ~ 175, 2011

      2 김대권, "하만 사상전집" 인터북스, 2012

      3 데이비드 흄, "기적에 관하여" 책세상, 2003

      4 Hamann, Johann Georg, "Writings on Philosophy and Langua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7

      5 Beiser, Frederick, "The Fate of Reason: German Philosophy from Kant to Fichte" Harvard University Press, 1987

      6 Berlin, Isaiah, "The Age of Enlightenment" The New American Library, 1956

      7 Kant, Immanuel, "Practical Philosophy"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6

      8 Kuehn, Manfred, "Kant: A Biography"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2

      9 Wood, Allen, "Kant's Philosophy of Religion Reconsidered" Indiana University Press, 1991

      10 Webb, Clement C. J., "Kant's Philosophy of Religion" Oxford University Press, 1926

      11 Kant, Immanuel, "Kant Political Writings"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1

      12 Hamann, Johann Georg, "Johann Georg Hamann's Relational Metacriticism" Walter de Gruyter, 1995

      13 Smith, Ronald Gregor, "J. G. Hamann 1730-1788: A Study of Christian Existence" Collins Clear-Type Press, 1960

      14 Kant, Immanuel, "Critique of Pure Reason"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8

      15 Kant, Immanuel, "Correspondenc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9

      16 O'Neill, Onora, "Cambridge Companion to Kant"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2

      17 Hume, David, "An Enquiry Concerning Human Understanding" Hackett Publishing Company, 1993

      18 Hume, David, "A Treatise of Human Nature" Oxford University Press, 2007

      19 Beck, Lewis White, "A Commentary on Kant's Critique of Practical Reason" Th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60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