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어촌 심언광의 북방 경험과 국방 개선안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010494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조선의 서쪽에 있는 평안도는 서북쪽으로 압록강 건너 울창한 산림을 경계로 여진과 맞닿아 있었다. 평안도의 지리적 상황이 이러했으므로 압록강 건너의 여진은 태종 이후 주로 평안도의 ...

      조선의 서쪽에 있는 평안도는 서북쪽으로 압록강 건너 울창한 산림을 경계로 여진과 맞닿아 있었다. 평안도의 지리적 상황이 이러했으므로 압록강 건너의 여진은 태종 이후 주로 평안도의 江界등 이른바 7읍으로 침입해 왔다. 평안도 군사들은 거의 대부분 변경에서 방수했기 때문에 쉴 수 있는 날이 거의 없었다. 이러한 상황에 놓여 있던 평안도 군사의 고통을 더욱 가중시킨 것은 赴京使臣들을 迎送하는데 따른 폐단이었다.
      이에 평안도 백성들은 군역을 피하기 위해 압록강 너머의 중국으로 도망가기도 하였고, 奴婢가 되거나 승려가 되기도 하였으며, 말단 관속인 衙前등 신분의 우열을 가릴 것 없이 좀더 편한 처지를 택하여 옮겨갔다. 어촌은 도첩으로 승려를 금하는 것은 말단적인 방법이므로 王政과 禮敎를 잘 시행하여 교화가 천하에 가득하면 불교는 절로 없어질 것이라고 하였고, 평안도 감영의 아전들은 도망하여 없어진 戶의 군역과 旅外正兵을 나누어 충당할 것을 건의하였다.
      평안도 백성들은 군역 이외에도 貢物?進上物등의 조달과 노역이 심히 과중하였다. 어촌은 백성이 한 가지 공물이라도 바치지 못하면 뼈골까지 우려낸다고 하였고, 노역이 무거워 한 사람이 도망가면 그 피해가 한 가족에 미치고 한 가족이 도망가면 또 한 가족의 친족에까지 미치기 때문에 백성들이 대부분 도망쳐 흩어졌다고 하였다.
      당초 국가에서는 군사에게 諸부담을 담당할 수 있도록 保人을 배당하고 있었다. 그러나 국가의 토목?수리 공사의 일이 빈번해지는 가운데 보법실시 후 군액이 크게 늘어나 별도로 요역담당자를 찾기가 어렵게 되자 군사를 바로 요역에 동원하는 경우가 많아졌다. 이에 정병은 복무기간 중에도 일정한 代價를 납부하고 귀가하여 부족한 노동력을 보충하고자 하였는데, 이것이 ‘代立’이었다. 중종대에는 군역의 代立이 일반화되고 있었다. 어촌은 중종 31년(1536)평안도경변사로 파견되었다가 돌아와 중종을 인견하며 그가 목도한 평안도의 군사문제에 대해 개선할 것을 주장하였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초록
      • 1. 머리말
      • 2. 16세기 전반기 女眞의 동향과 평안도 백성의 군역 실상
      • 3. 어촌 심언광의 국방 개선안
      • 4. 맺음말
      • 국문초록
      • 1. 머리말
      • 2. 16세기 전반기 女眞의 동향과 평안도 백성의 군역 실상
      • 3. 어촌 심언광의 국방 개선안
      • 4. 맺음말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지원, "李載龒博士還曆紀念韓國史學論叢" 한울 1990

      2 廉定燮, "한국역사입문(2)" 풀빛 1995

      3 임용한, "한국군사사 5(조선전기1)" 육군본부 2012

      4 박정민, "태종대 제 1차 여진정벌과 동북면 여진관계" 백산학회 (80) : 237-264, 2008

      5 김한규, "천하국가-전통시대 동아시아 세계질서" 소나무 2005

      6 오종록, "조선초기의 국방정책-兩界의 국방을 중심으로-" 한국역사연구회 13 : 1994

      7 김돈, "조선중기 정치사 연구" 국학자료원 2009

      8 김용흠, "조선전기 훈구·사림의 갈등과 그 정치사상적 함의" 국학연구원 (124) : 273-329, 2004

      9 한성주, "조선전기 수직여진인 연구" 경인문화사 2011

      10 김순남, "조선전기 滿浦鎭과 滿浦僉使" 한국사학회 (97) : 49-82, 2010

      1 이지원, "李載龒博士還曆紀念韓國史學論叢" 한울 1990

      2 廉定燮, "한국역사입문(2)" 풀빛 1995

      3 임용한, "한국군사사 5(조선전기1)" 육군본부 2012

      4 박정민, "태종대 제 1차 여진정벌과 동북면 여진관계" 백산학회 (80) : 237-264, 2008

      5 김한규, "천하국가-전통시대 동아시아 세계질서" 소나무 2005

      6 오종록, "조선초기의 국방정책-兩界의 국방을 중심으로-" 한국역사연구회 13 : 1994

      7 김돈, "조선중기 정치사 연구" 국학자료원 2009

      8 김용흠, "조선전기 훈구·사림의 갈등과 그 정치사상적 함의" 국학연구원 (124) : 273-329, 2004

      9 한성주, "조선전기 수직여진인 연구" 경인문화사 2011

      10 김순남, "조선전기 滿浦鎭과 滿浦僉使" 한국사학회 (97) : 49-82, 2010

      11 오종록, "조선 초기 正兵의 軍役" 고려사학회 1 : 1996

      12 손성필, "조선 중종대 불교정책의 전개와 성격" 한국사상사학회 (44) : 39-81, 2013

      13 구도영, "조선 전기 對明 陸路使行의 형태와 실상" 진단학회 (117) : 59-97, 2013

      14 한성주, "조선 연산군대 童淸禮의 建州三衛 파견에 대하여" 만주학회 (14) : 7-35, 2012

      15 김구진, "조선 시대 女眞에 대한 정책" 백산학회 (88) : 265-302, 2010

      16 한성주, "조선 세조대 ‘女眞 和解事’에 대한 연구 - 申叔舟의 파견을 중심으로 -" 동북아역사재단 (38) : 259-294, 2012

      17 박정민, "조선 성종대의 여진인 “來朝” 연구" 만주학회 (15) : 167-205, 2013

      18 김순남, "조선 燕山君代 여진의 동향과 대책" 한국사연구회 (144) : 127-163, 2009

      19 김순남, "조선 成宗代의 建州三衛" 대동문화연구원 (68) : 223-253, 2009

      20 김순남, "조선 中宗代의 북방 野人 驅逐" 조선시대사학회 (54) : 53-88, 2010

      21 정두희, "조광조" 아카넷 2000

      22 유봉영, "왕조실록에 나타난 李朝前期의 野人" 백산학회 14 : 1973

      23 金九鎭, "여진과의 관계" 국사편찬위원회 22 : 1995

      24 朴道植, "어촌 심언광의 생애와 경세론" 강릉문화원 2010

      25 宋雄燮, "기묘사화와 기묘사림의 실각" 일지사 (119) : 2005

      26 李泰鎭, "高麗末 朝鮮初의 社會變化" 진단학회 55 : 1984

      27 方東仁, "韓國의 國境劃定硏究" 일조각 1997

      28 李泰鎭, "韓國軍制史近世朝鮮前期編)" 육군본부 1968

      29 李泰鎭, "韓國軍制史(近世朝鮮前期編)" 육군본부 1968

      30 李泰鎭, "韓國社會史硏究" 지식산업사 1985

      31 李仁榮, "韓國滿洲關係史의 硏究" 을유문화사 1954

      32 李相佰, "韓國史(近世朝鮮前期編)" 을유문화사 1962

      33 李章熙, "近世朝鮮史論考" 아세아문화사 2000

      34 河內良弘, "燕山君時代の朝鮮と女眞" 朝鮮學會 (81) : 1976

      35 송병기, "東北 西北界의 收復" 국사편찬위원회 9 : 1973

      36 "朝鮮王朝法典集" 경인문화사 1972

      37 신해순, "朝鮮前期의 西班京衙前『皂隸·羅將·諸員』"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 21 : 1987

      38 李鍾英, "朝鮮前期社會經濟史硏究" 혜안 2003

      39 李秉烋, "朝鮮前期士林派의 現實認識과 對應" 일조각 1999

      40 李景植, "朝鮮前期土地制度硏究(Ⅱ)" 지식산업사 1998

      41 지두환, "朝鮮前期 軍役의 納布體制 확립과정; 軍戶體制 붕괴과정을 중심으로" 부산대 한국문화연구소 1 : 1988

      42 박도식, "朝鮮前期 貢納制 硏究" 혜안 2011

      43 朴道植, "朝鮮前期 貢物防納의 변천" 경희사학회 19 : 1995

      44 金九鎭, "朝鮮前期 對女眞關係와 女眞社會의 實態" 단국대학교 동양학연구소 9 : 1984

      45 朴平植, "朝鮮前期 交換經濟와 商人 硏究" 지식산업사 2009

      46 한희숙, "朝鮮初期의 伴倘" 역사학회 (112) : 1986

      47 김경록, "朝鮮初期對 明外交와 外交節次" 서울대 국사학과 44 : 2000

      48 吳宗祿, "朝鮮初期 兩界의 軍事制度와 國防體制" 고려대학교 1993

      49 金九鎭, "明代女眞社會의 經濟生活樣式과 그 變化" 동양사학회 17 : 1982

      50 "國譯 漁村集"

      51 權延雄, "吉玄益敎授停年紀念 史學論叢" 1996

      52 河內良弘, "中宗·明宗時代の朝鮮と女眞" 朝鮮學會 (82) : 1977

      53 "『朝鮮王朝實錄』(太祖實錄~明宗實錄)"

      54 姜性文, "1989 朝鮮시대 女眞征伐에 관한 연구" 국방부 전사편찬위원회 18 : 1989

      55 김성우, "16세기 良少賤多현상의 발생과 국가의 대응" 경제사학회 29 : 2000

      56 김순남, "16세기 조선의 피역승의 증가와 승도 조직의 재건" 조선시대사학회 (66) : 53-88, 2013

      57 高錫珪, "16·17세기 貢納改革의 방향" 서울대 국사학과 12 : 1985

      58 김순남, "15세기 중반~16세기 조선 북방 軍役의 폐단과 軍額 감소" 조선시대사학회 (61) : 43-77, 2012

      59 李泰鎭, "14·15세기 農業技術의 발달과 新興士族" 단국대동양학연구소 9 : 1979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5-30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한일관계사학회 -> 한일관계사연구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5 1.5 1.3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17 1.09 1.872 0.1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