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원료 품종별 쌀죽의 품질 특성 비교 = A Comparison of Quality Characteristics of Rice Porridges Made from Different Cultivar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90105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effect of 16 cultivars on the quality of the rice porridge was investigated. The 'Geunnun' had the highest water absorption rate, but the 'Segyejinmi' yield (w/w) was the highest. The total sugar content of the rice porridge was 0.29~8.10%, showin...

      The effect of 16 cultivars on the quality of the rice porridge was investigated. The 'Geunnun' had the highest water absorption rate, but the 'Segyejinmi' yield (w/w) was the highest. The total sugar content of the rice porridge was 0.29~8.10%, showing significant variation among the cultivars. High amylose 'Dodamssal' and 'Hwaseonchalbyeo' glutinous rice displayed rotational viscosities of <20,000 cP. Rotational viscosities for boiled rice cultivars were 30,000~40,000 cP, representing an intermediate level, and the rotational viscosities of 'Geonyang2' and 'Hanareum4' were over 50,000 cP.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viscosity of rice porridge varies significantly among raw material cultivars. Among other variables affecting the texture profile of rice porridge,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hardness and gumminess among the cultivars. As a raw material, 'Baekokchal', a kind of glutinous rice, is known to be whiter than the non-glutinous rice, but after processing to porridge, it showed the lowest L value (71.1). Starch degrading enzyme activity was not significant in most types of rice porridges within 30 or 60 minutes. Therefore, enzymatic starch degradation is thought to be completed within 30 minutes. Among the tested raw materials, 'Miho' was 73.5 ㎍/mg, indicating the best digestibility in vitro.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희선, "품종이 다른 건식제분쌀가루를 이용한 백설기의 품질특성" 한국식품조리과학회 33 (33): 643-653, 2017

      2 정희남, "품종에 따른 유기재배와 관행재배 쌀의 취반 후 텍스처 특성 비교" 한국식품조리과학회 35 (35): 169-177, 2019

      3 김현주, "품종별 유색미를 첨가한 현미죽의 이화학적 품질 특성" 한국식품영양과학회 50 (50): 279-284, 2021

      4 윤미라, "찰벼 품종별 찰떡의 찰기 관련 전분 및 호화 특성" 한국육종학회 47 (47): 199-208, 2015

      5 박혜영, "죽 가공성 평가를 위한 원료 쌀의 품질지표" 한국식품영양학회 33 (33): 287-298, 2020

      6 장선, "잣죽의 제제조건이 이화학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식품과학회 34 (34): 225-231, 2002

      7 강태영, "자포니카형 쌀 품종 차이가 글루텐 프리 쌀 식빵의 품질에 미치는 영향" 한국산업식품공학회 17 (17): 305-310, 2013

      8 신동선, "음료가공을 위한 쌀 품종별 품질 특성 비교" 한국식품영양학회 30 (30): 1260-1267, 2017

      9 김민영, "유색미 이용 죽 적합 품종 선발을 위한 품질특성 평가" 한국식품영양학회 32 (32): 355-363, 2019

      10 이귀주, "아밀로즈 함량별 타락죽의 효소저항전분 함량, 물리적 및 관능적 특성" 한국식생활문화학회 21 (21): 171-178, 2006

      1 김희선, "품종이 다른 건식제분쌀가루를 이용한 백설기의 품질특성" 한국식품조리과학회 33 (33): 643-653, 2017

      2 정희남, "품종에 따른 유기재배와 관행재배 쌀의 취반 후 텍스처 특성 비교" 한국식품조리과학회 35 (35): 169-177, 2019

      3 김현주, "품종별 유색미를 첨가한 현미죽의 이화학적 품질 특성" 한국식품영양과학회 50 (50): 279-284, 2021

      4 윤미라, "찰벼 품종별 찰떡의 찰기 관련 전분 및 호화 특성" 한국육종학회 47 (47): 199-208, 2015

      5 박혜영, "죽 가공성 평가를 위한 원료 쌀의 품질지표" 한국식품영양학회 33 (33): 287-298, 2020

      6 장선, "잣죽의 제제조건이 이화학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식품과학회 34 (34): 225-231, 2002

      7 강태영, "자포니카형 쌀 품종 차이가 글루텐 프리 쌀 식빵의 품질에 미치는 영향" 한국산업식품공학회 17 (17): 305-310, 2013

      8 신동선, "음료가공을 위한 쌀 품종별 품질 특성 비교" 한국식품영양학회 30 (30): 1260-1267, 2017

      9 김민영, "유색미 이용 죽 적합 품종 선발을 위한 품질특성 평가" 한국식품영양학회 32 (32): 355-363, 2019

      10 이귀주, "아밀로즈 함량별 타락죽의 효소저항전분 함량, 물리적 및 관능적 특성" 한국식생활문화학회 21 (21): 171-178, 2006

      11 최옥자, "쌀의 품종별 취반 특성"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 19 (19): 81-86, 2012

      12 이효정, "쌀의 품종과 입도를 달리한 탁주의 품질특성" (사)한국조리학회 18 (18): 191-205, 2012

      13 양윤형, "쌀의 농도가 죽 재가열시 이화학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식품조리과학회 23 (23): 671-676, 2007

      14 허창기, "쌀 품종별 약주의 유기산, fusel oil 함량 및 항산화활성 비교"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 20 (20): 365-371, 2013

      15 박혜영, "시판 쇠고기 죽의 이화학적 특성" 한국식품영양학회 32 (32): 226-235, 2019

      16 김완수, "수침과 건조조건을 달리하여 만든 찹쌀가루와 멥쌀가루의 특성" 한국식품조리과학회 23 (23): 908-918, 2007

      17 김혜란, "쇠고기죽 제조 시 쌀입자 크기가 죽의 품질에 미치는 영향" 한국식생활문화학회 25 (25): 70-75, 2010

      18 김지현, "상황버섯균사체 쌀을 이용한 죽의 품질특성" 한국식품영양학회 30 (30): 560-567, 2017

      19 곽한섭, "무균포장죽의 묘사적 특성과 소비자 기호 유발 인자 결정" 한국식품영양과학회 42 (42): 1878-1885, 2013

      20 박혜영, "마이크로웨이브 레인지 재가열 후 최적 특성을 갖는 쌀죽 제조조건" 한국식품영양학회 33 (33): 440-446, 2020

      21 심은영, "다수성 통일형을 포함한 벼 품종이 쌀미음 품질특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 25 (25): 651-658, 2018

      22 이경아, "내장을 첨가한 전복죽의 품질 특성" 한국식품영양과학회 37 (37): 103-108, 2008

      23 이나영, "국내 쌀품종의 전분 및 품질 특성" 한국작물학회 58 (58): 226-231, 2013

      24 윤미라, "건식제분 쌀가루의 입자크기에 따른 품질 및 쌀 식빵 적성 비교" 한국국제농업개발학회 28 (28): 58-64, 2016

      25 육홍선, "감마선 조사된 시판 분말죽의 물성 및 관능특성" 한국식품영양과학회 33 (33): 427-432, 2004

      26 이경하, "간편식 죽 제조용 적합 품종 선정을 위한 쌀의 품질 특성 평가" 한국식품영양학회 30 (30): 243-250, 2017

      27 심은영, "가공밥 제조를 위한 밥의 식미 및 식감특성 평가" 한국식품영양학회 30 (30): 880-888, 2017

      28 Lee HJ, "The Taste and Beauty of Korean Food" Shinkwang 81-87, 2005

      29 Choi CR, "Properties of fractions from waxy rice flour classified with particle size" 10 : 54-58, 2001

      30 Korea Seed & Variety Service [KSVS], "List of national varieties"

      31 Hallick JV, "Gelatinization and pasting characteristics of rice varieties as related to cooking behaviour" 36 : 91-98, 1959

      32 National Institute of Agricultural Sciences [NIAS], "Food composition table"

      33 Oh HI, "Food Chemistry" Soohaksa 81-90, 2008

      34 Lee HJ, "Food Chemistry" Soohaksa 398-399, 2014

      35 Nielsen SS, "Food Analysis Laboratory Manual" Springer 47-53, 2010

      36 Svihus B, "Effect of starch granule structure, associated components and processing on nutritive value of cereal starch : A review" 122 : 303-320, 2005

      37 Oh MS, "Eating qualities of frozen cooked rice on the thawing condition" 35 : 147-157, 1997

      38 Korea Seed & Variety Service [KSVS], "Cultivar name"

      39 Lee CH, "Changes in the rheological characteristics by various concentrations and temperatures of Korean white gruel" 11 : 552-556, 1995

      40 Statistics Korea [SK], "Annual rice consumption per person"

      41 June JH, "A study on the preference of Korean traditional ‘jook’" 13 : 497-507, 1998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55 0.55 0.6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74 0.76 1.104 0.1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