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SCOPUS

      한성부(漢城府) 일본인 거류지 도로환경변화의 성격 = 1895년∼1910년 사이의 도로개수사업을 중심으로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9990750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Since 1882 when Korea government permitted the foreign residents in Seoul, Japanese have resided in the Jingogae district on northern part of Namsan(南山). With the growing power of Japan in Korean peninsula, Japanese have expanded their residential...

      Since 1882 when Korea government permitted the foreign residents in Seoul, Japanese have resided in the Jingogae district on northern part of Namsan(南山). With the growing power of Japan in Korean peninsula, Japanese have expanded their residential area, which has affected the changes of urban environment of Seoul. Especially, street environment in the Japanese settlement was improved along with urban improvement works, including water and sewer infrastructure and urban improvement, and establishment of street facilities. The street environment improvement project for Japanese settlement, which was initiated in 1895 and continued to 1910, was aimed at improving its transportation, sanitation, and business. Urban improvement works in Japanese settlement before 1910 has changed the street environment of southern part of Seoul, and affected the transformation of urban changes of Seoul after 1910. Additionally, it is meaningful that these changes of street environment in Japanese settlement were done before colonization, thus urban improvement work in Japanese settlement should be considered in social issue as well as physical environmental issue. Consequently, changes of street environment in Japanese settlement are deeply related with modernization and colonization of Seoul before 1910.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Abstract
      • 1. 서론
      • 2. 배경적 고찰
      • 3. 일본인 거류지의 도로개수사업
      • 4. 일본인 거류지의 도로환경변화
      • Abstract
      • 1. 서론
      • 2. 배경적 고찰
      • 3. 일본인 거류지의 도로개수사업
      • 4. 일본인 거류지의 도로환경변화
      • 5. 거류지 도로환경변화의 성격과 의미
      • 6. 결론
      • 참고문헌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황성신문 1898.09.05.~1910.09.14"

      2 조지 로스, "호주 사진가의 눈을 통해 본 한국 1904" 교보문고 2004

      3 이사벨라 버드 비숍, "한국과 그 이웃나라들" 살림 1994

      4 바츨라프 세로셰프스키, "코레야 1903년 가을" 개마고원 2006

      5 김백영, "지배와 공간" 문학과지성사 2009

      6 서울특별시사편찬위원회, "서울六百年史. 第3卷 : 1864~1910" 서울特別市 1979

      7 박찬승, "서울의 일본인 거류지 형성 과정 - 1880년대~1903년을 중심으로" 한국사회사학회 64 (64): 3-100, 2002

      8 정수인, "서울의 도시 공간 구조 변화에 관한 연구 : 대한제국 시기를 중심으로" 한양대학교 2005

      9 井上角五郞, "서울에 남겨둔꿈" 건국대학교 출판부 1993

      10 김기호, "서울남촌 : 시간, 장소, 사람" 서울시립대학교 부설 서울학연구소 2003

      1 "황성신문 1898.09.05.~1910.09.14"

      2 조지 로스, "호주 사진가의 눈을 통해 본 한국 1904" 교보문고 2004

      3 이사벨라 버드 비숍, "한국과 그 이웃나라들" 살림 1994

      4 바츨라프 세로셰프스키, "코레야 1903년 가을" 개마고원 2006

      5 김백영, "지배와 공간" 문학과지성사 2009

      6 서울특별시사편찬위원회, "서울六百年史. 第3卷 : 1864~1910" 서울特別市 1979

      7 박찬승, "서울의 일본인 거류지 형성 과정 - 1880년대~1903년을 중심으로" 한국사회사학회 64 (64): 3-100, 2002

      8 정수인, "서울의 도시 공간 구조 변화에 관한 연구 : 대한제국 시기를 중심으로" 한양대학교 2005

      9 井上角五郞, "서울에 남겨둔꿈" 건국대학교 출판부 1993

      10 김기호, "서울남촌 : 시간, 장소, 사람" 서울시립대학교 부설 서울학연구소 2003

      11 남용협, "서울 명동 도시조직 변화에 관한 연구" 경기대학교 건축대학원 2010

      12 山中麻衣, "서울 거주 日本人自治機構硏究" 가톨릭大學敎大學院 2001

      13 최동혁, "서울 南村地域街路環境特性에 관한 硏究" 서울大學校大學院 2005

      14 김종근, "서울 中心部의 日本人 市街地 擴散: 開化期에서 日帝强占 前半期까지(1885년~1929년)" 서울학연구소 (20) : 181-234, 2003

      15 서울특별시, "사진으로 보는 서울상수도백년사" 서울특별시 2008

      16 조준호, "매천야록" 지식을만드는지식 2008

      17 박찬승, "러일전쟁 이후 서울의 일본인 거류지 확장과정" 역사문화학회 5 (5): 117-164, 2002

      18 "독립신문 1896.04.07~1899.12.04"

      19 한영우, "대한제국은 근대국가인가" 푸른역사 2006

      20 김광우, "대한제국시대의 도시계획-한성부 도시 개조사업" (50) : 95-122, 1991

      21 이규철, "대한제국기 한성부 도시공간의 재편" 서울대학교대학원 2010

      22 "대한매일신보 1904.07.18~1910.08.28"

      23 이순우, "꼬레아 에 꼬레아니 : 사진해설판" 하늘재 2009

      24 이태진, "고종시대의 재조명" 태학사 2000

      25 박경룡, "개화기의 한성부 사회상" 28 (28): 327-356, 1995

      26 이정옥, "갑오개혁 이후 한성 도로정비사업과 부민의 반응" 고려대학교 대학원 2009

      27 통감부, "駐韓日本領事官報告. 1, 2" 統監府, 國學資料院 2001

      28 손정목, "開港期漢城外國人居留의 過程과 實態" 향토서울 29-82, 1980

      29 木村健二, "在朝日本人の社會史" 未來社, 東京 1989

      30 경성부, "京城府史, 第2卷" 京城府, 京城府 1936

      31 山本弘文, "交通․運輸の發達と技術革新 : 歷史的考察" 國際運合大學 1986

      32 "The Korean Repository 1892-1900"

      33 "The Korea Review 1901-1906"

      34 이태진, "1896~1904 서울 도시개조사업의 주체와 지향성" 서울대학교 국사학과 (37) : 181-206, 1997

      35 경성거류민단역소, "(국역)경성발달사" 서울특별시사편찬위원회 2010

      36 柵瀨軍之佑著, "(見聞隨記)朝鮮時事" 春陽堂 1894

      37 강만길, "(明治官報拔萃駐朝鮮日本國)領事館報告(上), (下), 1883年~1895年" 國學資料院 1992

      38 서울특별시사편찬위원회, "(國譯)漢城府來去文(下)" 서울특별시 1997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계속평가 신청대상 (등재유지)
      2017-01-01 평가 우수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3-25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외국어명 : Journ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 Journ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Planning & Design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8-02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Journ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Structure&Construction -> Journ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10-14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구조계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1-07-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199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38 0.38 0.3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41 0.4 0.742 0.1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