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미숙과와 완숙과 복분자 추출물의 항산화 및 항균 활성 비교 = Comparision of Antioxidant and Antimicrobial Activity of Unripened and Ripened Black Raspberry (Rubus Occidentalis) Extract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90535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Purpose: This study compared and analyzed the antioxidant and antimicrobial activities of unripened and ripened black raspberry (Rubus occidentalis) extracts. Methods: Unripened and ripened extracts were prepared with water, 25%, 50%, and 75% ethanol....

      Purpose: This study compared and analyzed the antioxidant and antimicrobial activities of unripened and ripened black raspberry (Rubus occidentalis) extracts. Methods: Unripened and ripened extracts were prepared with water, 25%, 50%, and 75% ethanol. To estimate in vitro antioxidant activity, total polyphenol, total flavonoid, and total anthocyanin contents were measured and DPPH and ABTS radical and nitric oxide (NO) scavenging activity were analyzed. In addition, antimicrobial activity against pathogenic microorganisms and bronchus disease-inducing bacteria was measured. Results: Total polyphenol and total flavonoid content were higher in unripened than in ripened black raspberry extracts, and total anthocyanin content was higher in ripened extracts. The DPPH and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f ripened extracts was also found to be superior to that of the unripened extracts. The NO scavenging activity was found only in unripened extracts. Further, it was confirmed that the unripened extract had a relatively high antimicrobial activity except against K. pneumoniae KCTC 2245 compared to the ripened extract. Conclus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unripened black raspberry (Rubus occidentalis) extracts have better antioxidant and antimicrobial activity than ripened extract. Thus, unripened black raspberry extracts have a higher potential for development as antimicrobial material such as a natural antioxidant and preservative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박찬성, "화개지역 녹차분말의 성분 분석 및 품질특성"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 12 (12): 36-42, 2005

      2 한국일, "호두과피 추출물의 항산화 및 항균활성" 한국생명과학회 25 (25): 433-440, 2015

      3 김민영, "한국산 4종 Rubus속 숙과, 미숙과 및 잎의 플라보노이드 함량 분석" 한국생약학회 39 (39): 123-126, 2008

      4 김진경, "토종 복분자와 외래종 복분자 추출물의 항염증효과 비교" 한국식품과학회 39 (39): 342-347, 2007

      5 김이선, "토종 복분자 Rubus coreanus와 외래종 복분자 Rubus occidentalis 추출물의 항산화능 비교" 한국식품영양과학회 43 (43): 1357-1362, 2014

      6 김혜자, "추출조건에 따른 마늘 추출물의 항산화 및 항암활성 효과" 한의병리학회 24 (24): 111-117, 2010

      7 남송이, "추출용매별 오미자의 항산화 및 항균 활성 변화" 한국국제농업개발학회 26 (26): 513-518, 2014

      8 설민경, "진피로부터 정제한 Syringin의 항산화 및 항균 활성" 한국생명과학회 30 (30): 695-700, 2020

      9 강민철, "제주도 근해에 자생하는 참가죽그물바탕말 (Dictyota coriacea) 추출물의 멜라닌 억제 효과 및 항염증 효과" 한국생물공학회 23 (23): 311-316, 2008

      10 이성규, "아보카도 추출물의 Apoptosis 유도와 항산화 활성" 한국식품영양과학회 37 (37): 269-275, 2008

      1 박찬성, "화개지역 녹차분말의 성분 분석 및 품질특성"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 12 (12): 36-42, 2005

      2 한국일, "호두과피 추출물의 항산화 및 항균활성" 한국생명과학회 25 (25): 433-440, 2015

      3 김민영, "한국산 4종 Rubus속 숙과, 미숙과 및 잎의 플라보노이드 함량 분석" 한국생약학회 39 (39): 123-126, 2008

      4 김진경, "토종 복분자와 외래종 복분자 추출물의 항염증효과 비교" 한국식품과학회 39 (39): 342-347, 2007

      5 김이선, "토종 복분자 Rubus coreanus와 외래종 복분자 Rubus occidentalis 추출물의 항산화능 비교" 한국식품영양과학회 43 (43): 1357-1362, 2014

      6 김혜자, "추출조건에 따른 마늘 추출물의 항산화 및 항암활성 효과" 한의병리학회 24 (24): 111-117, 2010

      7 남송이, "추출용매별 오미자의 항산화 및 항균 활성 변화" 한국국제농업개발학회 26 (26): 513-518, 2014

      8 설민경, "진피로부터 정제한 Syringin의 항산화 및 항균 활성" 한국생명과학회 30 (30): 695-700, 2020

      9 강민철, "제주도 근해에 자생하는 참가죽그물바탕말 (Dictyota coriacea) 추출물의 멜라닌 억제 효과 및 항염증 효과" 한국생물공학회 23 (23): 311-316, 2008

      10 이성규, "아보카도 추출물의 Apoptosis 유도와 항산화 활성" 한국식품영양과학회 37 (37): 269-275, 2008

      11 김지명, "숙성에 따른 토종 복분자 딸기의 특성" 한국식품과학회 43 (43): 341-347, 2011

      12 채규서, "성숙시기별 블랙라즈베리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및 콜레스테롤 개선 효과"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 27 (27): 325-332, 2020

      13 박정용, "성숙도에 따른 복분자 열매의 미백 활성 비교" 한국영양학회 53 (53): 121-128, 2020

      14 박영기, "블랙 라스베리의 과실 성숙에 따른 항산화 활성,총페놀 함량 및 비타민 C 함량 변화" 한국자원식물학회 20 (20): 461-465, 2007

      15 정경미, "복숭아 품종별 성숙정도에 따른 항산화 및 항염증 효과간의 상관관계"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 24 (24): 638-646, 2017

      16 차환수, "복분자딸기의 성숙 단계별 생리활성 비교" 한국식품영양과학회 36 (36): 683-688, 2007

      17 권지웅, "복분자 에탄올 추출물의 생리활성 탐색" 한국약용작물학회 19 (19): 325-333, 2011

      18 정용진, "복분자 부산물(박) 색소의 추출조건 모니터링"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 16 (16): 400-404, 2009

      19 이정은, "미숙과와 성숙과 복분자의 섭취가 복강 Macrophages의 유전자 발현에 미치는 영향" 한국식품영양과학회 42 (42): 1552-1559, 2013

      20 한샛별, "미성숙 복분자 과실의 항산화 효능 및 타이로시네이즈 저해 활성 평가" 사단법인 대한화장품학회 39 (39): 295-302, 2013

      21 석호문, "도정부산물로부터 분리한 보리 폴리페놀 추출물의 항상화 효과" 한국식품과학회 34 (34): 889-892, 2002

      22 유지송, "대장균과 황색포도상구균에 대한 복분자 추출물의 항균효과분석"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 26 (26): 360-364, 2019

      23 Kim YD, "Varietal variation of anthocyanin content and physicochemical properties in colored rice" 30 (30): 305-308, 1998

      24 Kaume L, "The blackberry fruit : A review on its composition and chemistry, metabolism and bioavailability, and health benefits" 60 (60): 5716-5727, 2012

      25 Choi JS, "Screening for antioxidant activity of plants and marine algae and its active principles from Prunus davidiana" 24 (24): 299-303, 1993

      26 정재윤, "Protective Effect of Ajuga multiflora BUNGE Extract on Lead Toxicity of Environmental Pollutant" 인간식물환경학회 20 (20): 341-350, 2017

      27 Maxwell SR, "Prospects for the use of antioxidant therapies" 49 (49): 345-361, 1995

      28 Cha HS, "Physiological activities of Rubus coreanus Miquel" 33 (33): 409-415, 2001

      29 KFDA, "Korea health supplements food standard codex"

      30 KFDA, "Korea health supplements food standard codex"

      31 이성규, "Effects of Houttuynia cordata Extracts of Different Aerial Parts on Antioxidants and Anti-inflammatory" 대한의생명과학회 24 (24): 87-93, 2018

      32 Choi SY, "Correlation between flavonoid content and the NO production inhibitory activity of peel extracts from various citrus fruits" 30 (30): 772-778, 2007

      33 Link A, "Cancer chemoprevention by dietary polyphenols : Promising role for epigenetics" 80 (80): 1771-1792, 2010

      34 Seeram NP, "Blackberry, black raspberry, blueberry, cranberry, red raspberry and strawberry extracts inhibit growth and stimulated apoptosis of human cancer cells in vitro" 54 (54): 9329-9339, 2006

      35 Arts MJTJ, "Antioxidant capacity of reaction products limits the applicability of the trolox equivalent antioxidant capacity(TEAC)assay" 42 (42): 45-49, 2004

      36 Wang SY, "Antioxidant activity in fruits and leaves of blackberry, raspberry, and strawberry varies with cultivar and developmental stage" 48 (48): 140-146, 2000

      37 Re R, "Antioxidant activity applying an improved ABTS radical cation decolorization assay" 26 (26): 1231-1237, 1996

      38 Xu W, "Antibacterial effect of grapefruit seed extract on food-borne pathogens and its application in the preservation of minimally processed vegetables" 45 : 126-133, 2007

      39 Choung MG, "Analysis of anthocyanins" 49 (49): 55-67, 2004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4-04-08 학회명변경 영문명 : The Korean Society Of Food & Cookery Science -> Korean Society of Food and Cookery Science KCI등재
      2014-03-17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THE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FOOD & COOKERY SCIENCE -> Korean Journal of Food and Cookery Science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11-04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한국조리과학회지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4-02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조리과학회 -> 한국식품조리과학회 KCI등재
      2006-06-29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THE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FOOD & COOKERY SCIENCE -> KOREAN JOURNAL OF FOOD & COOKERY SCIENCE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0-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05 1.05 1.09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05 1.06 2.017 0.0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