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암병동 간호사와 일반병동 간호사의 소진, 직무스트레스, 직무만족, 이직의도 비교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3992576

      • 저자
      • 발행사항

        공주 : 공주대학교 대학원, 2016

      •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석사) -- 공주대학교 대학원 , 간호학과 , 2016. 2

      • 발행연도

        2016

      • 작성언어

        한국어

      • 발행국(도시)

        충청남도

      • 기타서명

        Comparison of Burnout, Job stress, Job satisfaction and Turnover Intention of Nurses between Cancer ward and General ward

      • 형태사항

        ⅶ, 61장. : 챠트 ; 26 cm

      • 일반주기명

        지도교수: 박연숙
        참고문헌(41-45장) 수록

      • 소장기관
        • 국립공주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암병동 간호사와 일반병동 간호사의 소진, 직무스트레스, 직무만족, 이직의도를 비교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자료수집 기간은 2015년 8월 25일부터 2015년 10월 15일로 연구 대상자는 D광역시 소재 3개 병원과 C시 소재 1개 병원의 총 234명이었으며, 그 중 암병동 간호사는 107명, 일반병동 간호사는 127명이었다. 측정도구는 소진은 Maslach와 Jackson(1981)이 개발한 MBI(Maslach Burnout Inventory)를 바탕으로 최혜윤(2002)이 번안한 18문항을 사용하였고, 직무스트레스를 측정하기 위해 Hingley(1986)가 개발한 측정도구를 김향옥(2004)이 번안한 도구를 사용하였으며, 직무만족은 Weiss 등(1967)이 공동 개발한 미네소타 업무만족설문지 중 이상금(1996)이 번안한 20개 문항을 사용하였고, 이직의도는 Mobley(1982)가 개발하고 문숙자(2010)가 수정, 보완한 도구를 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평균과 백분율, t-test 및 ANOVA로 분석하고 사후 검증은 Scheffe’s test, 상관관계는 person’s correlation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대상자의 평균점수는 암병동 간호사의 소진(3.56점), 직무스트레스(3.08점), 직무만족(2.93점), 이직의도(3.42점)이었으며, 일반병동 간호사는 소진(3.06점), 직무스트레스(2.54점), 직무만족(3.33점), 이직의도(2.93점)이었다. 직무만족에서 암병동 간호사가 일반병동 간호사보다 낮게 나타났고 소진과 직무스트레스, 이직의도는 암병동 간호사가 일반병동 간호사보다 모두 높게 나타났다.
      소진과 직무스트레스의 하위영역에서도 모두 암병동 간호사가 일반병동 간호사보다 높게 나타났다.

      2. 일반적 특성에 따른 차이에서 암병동 간호사는 소진과 직무스트레스, 이직의도 모두에서 연령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직무만족에서는 전문자격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일반병동 간호사에서 소진은 현 부서경력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직무스트레스와 직무만족은 유리한 차이가 없었고, 이직의도에서는 연령에 따른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3. 암병동 간호사와 일반병동 간호사의 소진, 직무스트레스, 직무만족, 이직의도의 차이의 상관관계 간에는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직무스트레스와 소진은 암병동 간호사(r=.693, p<.001)와 일반병동 간호사(r=.599, p<.001), 소진과 이직의도는 암병동 간호사(r=.497, p<.001)와 일반병동 간호사(r=.577, p<.001), 직무스트레스와 이직의도는 암병동 간호사(r=.537, p<.001)와 일반병동 간호사(r=.568, p<.001)에서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직무만족과 소진은 암병동 간호사(r=-.325, p<.001)와 일반병동 간호사(r=-.440, p<.001), 직무스트레스와 직무만족은 암병동 간호사(r=-.466, p<.001)와 일반병동 간호사(r=-.461, p<.001)), 직무만족과 이직의도는 암병동 간호사(r=-.495, p<.001)와 일반병동 간호사(r=-.595, p<.001)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결론적으로, 소진, 직무스트레스, 직무만족은 이직의도 간에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으며, 암병동 간호사의 소진, 직무스트레스, 이직의도가 일반병동 간호사의 소진, 직무스트레스, 이직의도보다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암병동 간호사의 소진, 직무스트레스를 감소시키고 직무만족을 높이며 이직의도를 낮출 수 있는 정책적 전략 수립과 직무스트레스를 해소 할 수 있는 중재프로그램 및 조직 차원에서의 방안 마련과 처우개선이 필요하다 생각된다.

      주요어 : 소진, 직무스트레스, 직무만족, 이직의도
      번역하기

      본 연구는 암병동 간호사와 일반병동 간호사의 소진, 직무스트레스, 직무만족, 이직의도를 비교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자료수집 기간은 2015년 8월 25일부터 2015년 10월 15일로 연구...

      본 연구는 암병동 간호사와 일반병동 간호사의 소진, 직무스트레스, 직무만족, 이직의도를 비교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자료수집 기간은 2015년 8월 25일부터 2015년 10월 15일로 연구 대상자는 D광역시 소재 3개 병원과 C시 소재 1개 병원의 총 234명이었으며, 그 중 암병동 간호사는 107명, 일반병동 간호사는 127명이었다. 측정도구는 소진은 Maslach와 Jackson(1981)이 개발한 MBI(Maslach Burnout Inventory)를 바탕으로 최혜윤(2002)이 번안한 18문항을 사용하였고, 직무스트레스를 측정하기 위해 Hingley(1986)가 개발한 측정도구를 김향옥(2004)이 번안한 도구를 사용하였으며, 직무만족은 Weiss 등(1967)이 공동 개발한 미네소타 업무만족설문지 중 이상금(1996)이 번안한 20개 문항을 사용하였고, 이직의도는 Mobley(1982)가 개발하고 문숙자(2010)가 수정, 보완한 도구를 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평균과 백분율, t-test 및 ANOVA로 분석하고 사후 검증은 Scheffe’s test, 상관관계는 person’s correlation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대상자의 평균점수는 암병동 간호사의 소진(3.56점), 직무스트레스(3.08점), 직무만족(2.93점), 이직의도(3.42점)이었으며, 일반병동 간호사는 소진(3.06점), 직무스트레스(2.54점), 직무만족(3.33점), 이직의도(2.93점)이었다. 직무만족에서 암병동 간호사가 일반병동 간호사보다 낮게 나타났고 소진과 직무스트레스, 이직의도는 암병동 간호사가 일반병동 간호사보다 모두 높게 나타났다.
      소진과 직무스트레스의 하위영역에서도 모두 암병동 간호사가 일반병동 간호사보다 높게 나타났다.

      2. 일반적 특성에 따른 차이에서 암병동 간호사는 소진과 직무스트레스, 이직의도 모두에서 연령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직무만족에서는 전문자격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일반병동 간호사에서 소진은 현 부서경력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직무스트레스와 직무만족은 유리한 차이가 없었고, 이직의도에서는 연령에 따른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3. 암병동 간호사와 일반병동 간호사의 소진, 직무스트레스, 직무만족, 이직의도의 차이의 상관관계 간에는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직무스트레스와 소진은 암병동 간호사(r=.693, p<.001)와 일반병동 간호사(r=.599, p<.001), 소진과 이직의도는 암병동 간호사(r=.497, p<.001)와 일반병동 간호사(r=.577, p<.001), 직무스트레스와 이직의도는 암병동 간호사(r=.537, p<.001)와 일반병동 간호사(r=.568, p<.001)에서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직무만족과 소진은 암병동 간호사(r=-.325, p<.001)와 일반병동 간호사(r=-.440, p<.001), 직무스트레스와 직무만족은 암병동 간호사(r=-.466, p<.001)와 일반병동 간호사(r=-.461, p<.001)), 직무만족과 이직의도는 암병동 간호사(r=-.495, p<.001)와 일반병동 간호사(r=-.595, p<.001)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결론적으로, 소진, 직무스트레스, 직무만족은 이직의도 간에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으며, 암병동 간호사의 소진, 직무스트레스, 이직의도가 일반병동 간호사의 소진, 직무스트레스, 이직의도보다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암병동 간호사의 소진, 직무스트레스를 감소시키고 직무만족을 높이며 이직의도를 낮출 수 있는 정책적 전략 수립과 직무스트레스를 해소 할 수 있는 중재프로그램 및 조직 차원에서의 방안 마련과 처우개선이 필요하다 생각된다.

      주요어 : 소진, 직무스트레스, 직무만족, 이직의도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is a descriptive study to compare burnout, job stress, job satisfaction and turnout intention between nurses in the cancer ward and in the general ward.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234 nurses(107 nurses in the cancer ward and 127 nurses in the general ward) of 3 hospitals in D Metropolitan City and 1 hospital in C City from August 25th to October 15th 2015.
      For measuring burnout, the 18 questions from Maslach and Jackson(1981)'s MBI(Maslach Burnout Inventory) adapted by Choi, Hye-yoon(2002) were used. For measuring job stress, Hingley(1986)'s scale adapted by Kim, Hyang-ok(2004) was used. For measuring job satisfaction, the 20 questions from Weiss et al.(1967)'s Minnesota Job Satisfaction Questionnaire adapted by Lee, Sang-geum(1996) were used. For measuring turnover intention, Mobley(1982)'s scale revised by Moon, Sook-ja(2010) was used.
      For analyzing the collected data, averages and percentages were calculated and t-test and ANOVA were carried out. Also, Scheffe's post-hoc test and Pearson's correlation were performed.

      The study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 average score of burnout, job stress, job satisfaction and turnover intention in cancer ward nurses was 3.56 points, 3.08 points, 2.93 points and 3.42 points respectively. The average of burnout, job stress, job satisfaction and turnover intention in general ward nurses was 3.06 points, 2.54 points, 3.33 points and 2.93 points respectively.
      Nurses in the cancer ward had a lower job satisfaction and higher job stress and turnover intention than those in the general ward. Also, all the sub-domains of burnout and job stress were higher in cancer ward nurses than in general ward nurses.

      Second, nurses in the cancer ward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burnout, job stress and turnover intention depending on age and in job satisfaction depending on professional qualification. Nurses in the general ward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burnout depending on experience in the present division.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job stress and job satisfaction and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urnover intention depending on age.

      Third, there was a significant correlation among burnout, job stress, job satisfaction and turnover intention of nurses in the cancer ward and in the general ward. There was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job stress and burnout of nurses in the cancer ward((r=.693, p<.001) and nurses in the general ward(r=.599, p<.001). There was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burnout and turnover intention of nurses in the cancer ward(r=.497, p<.001) and nurses in the general ward(r=.577, p<.001). There was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job stress and turnover intention of nurses in the cancer ward(r=.537, p<.001) and nurses in the general ward(r=.568, p<.001).
      There was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job satisfaction and burnout of nurses in the cancer ward(r=-.325, p<.001) and nurses in the general ward(r=-.440, p<.001). There was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job stress and job satisfaction of nurses in the cancer ward(r=-.466, p<.001) and nurses in the general ward(r=-.461, p<.001). Lastly,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job satisfaction and turnover intention of nurses in the cancer ward(r=-.495, p<.001) and nurses in the general ward(r=-.395, p<.001).

      In conclusion, turnover intention had a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burnout, job stress and job satisfaction, and nurses in the cancer ward had higher burnout, job stress and turnover intention than those in the general ward.

      Therefore, it is thought that there is a need to make a political strategy for reducing burnout, job stress and turnover intention of nurses in the cancer ward and improving job satisfaction, to develop an intervention program and an organizational scheme for getting rid of job stress and to provide better working conditions.
      번역하기

      This is a descriptive study to compare burnout, job stress, job satisfaction and turnout intention between nurses in the cancer ward and in the general ward.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234 nurses(107 nurses in the cancer ward and 127 nurses in t...

      This is a descriptive study to compare burnout, job stress, job satisfaction and turnout intention between nurses in the cancer ward and in the general ward.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234 nurses(107 nurses in the cancer ward and 127 nurses in the general ward) of 3 hospitals in D Metropolitan City and 1 hospital in C City from August 25th to October 15th 2015.
      For measuring burnout, the 18 questions from Maslach and Jackson(1981)'s MBI(Maslach Burnout Inventory) adapted by Choi, Hye-yoon(2002) were used. For measuring job stress, Hingley(1986)'s scale adapted by Kim, Hyang-ok(2004) was used. For measuring job satisfaction, the 20 questions from Weiss et al.(1967)'s Minnesota Job Satisfaction Questionnaire adapted by Lee, Sang-geum(1996) were used. For measuring turnover intention, Mobley(1982)'s scale revised by Moon, Sook-ja(2010) was used.
      For analyzing the collected data, averages and percentages were calculated and t-test and ANOVA were carried out. Also, Scheffe's post-hoc test and Pearson's correlation were performed.

      The study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 average score of burnout, job stress, job satisfaction and turnover intention in cancer ward nurses was 3.56 points, 3.08 points, 2.93 points and 3.42 points respectively. The average of burnout, job stress, job satisfaction and turnover intention in general ward nurses was 3.06 points, 2.54 points, 3.33 points and 2.93 points respectively.
      Nurses in the cancer ward had a lower job satisfaction and higher job stress and turnover intention than those in the general ward. Also, all the sub-domains of burnout and job stress were higher in cancer ward nurses than in general ward nurses.

      Second, nurses in the cancer ward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burnout, job stress and turnover intention depending on age and in job satisfaction depending on professional qualification. Nurses in the general ward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burnout depending on experience in the present division.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job stress and job satisfaction and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urnover intention depending on age.

      Third, there was a significant correlation among burnout, job stress, job satisfaction and turnover intention of nurses in the cancer ward and in the general ward. There was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job stress and burnout of nurses in the cancer ward((r=.693, p<.001) and nurses in the general ward(r=.599, p<.001). There was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burnout and turnover intention of nurses in the cancer ward(r=.497, p<.001) and nurses in the general ward(r=.577, p<.001). There was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job stress and turnover intention of nurses in the cancer ward(r=.537, p<.001) and nurses in the general ward(r=.568, p<.001).
      There was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job satisfaction and burnout of nurses in the cancer ward(r=-.325, p<.001) and nurses in the general ward(r=-.440, p<.001). There was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job stress and job satisfaction of nurses in the cancer ward(r=-.466, p<.001) and nurses in the general ward(r=-.461, p<.001). Lastly,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job satisfaction and turnover intention of nurses in the cancer ward(r=-.495, p<.001) and nurses in the general ward(r=-.395, p<.001).

      In conclusion, turnover intention had a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burnout, job stress and job satisfaction, and nurses in the cancer ward had higher burnout, job stress and turnover intention than those in the general ward.

      Therefore, it is thought that there is a need to make a political strategy for reducing burnout, job stress and turnover intention of nurses in the cancer ward and improving job satisfaction, to develop an intervention program and an organizational scheme for getting rid of job stress and to provide better working condition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목 차 ⅰ
      • 표 목 차 ⅲ
      • 부록목차 ⅳ
      • 국문초록 v
      • 목 차 ⅰ
      • 표 목 차 ⅲ
      • 부록목차 ⅳ
      • 국문초록 v
      • Ⅰ. 서 론 1
      • 1. 연구의 필요성 1
      • 2. 연구의 목적 3
      • 3. 용어의 정의 4
      • Ⅱ. 문헌 고찰 6
      • 1. 소진 6
      • 2. 직무스트레스 8
      • 3. 직무 만족 10
      • 4. 이직의도 14
      • Ⅲ. 연구 방법 17
      • 1. 연구 설계 17
      • 2. 연구 대상 17
      • 3. 연구 도구 17
      • 4. 자료 수집 방법 19
      • 5. 자료 분석 방법 19
      • 6. 연구의 제한점 20
      • Ⅳ. 연구 결과 21
      • 1.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21
      • 2. 대상자의 소진, 직무스트레스, 직무만족, 이직의도의 차이 24
      • 3.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소진, 직무스트레스, 직무만족, 이직의도의 차이 27
      • 4. 대상자의 소진, 직무스트레스, 직무만족, 이직의도 33
      • Ⅴ. 논 의 34
      • Ⅵ. 결론 및 제언 39
      • 1. 결론 39
      • 2. 제언 40
      • 참고문헌 41
      • Abstract 46
      • 부록 49
      • 1. IRB사본 49
      • 2. 설문지 50
      • 감사의 글 61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