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경판 <소대성전> 판본 검토 = A Study on the So Daeseong-jeon Seoul Edition -Focusing on Waseda Versi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88057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고에서는 경판 <소대성전>의 판본을 검토하였다. 경판 <소대성전>의 판본에 대해서는 기왕에 구체적인 논의가 있었는데, 그 후에 새로 소개된 판본도 있고 아직 검토되지 않은 판...

      본고에서는 경판 <소대성전>의 판본을 검토하였다. 경판 <소대성전>의 판본에 대해서는 기왕에 구체적인 논의가 있었는데, 그 후에 새로 소개된 판본도 있고 아직 검토되지 않은 판본도 있어, 이 시점에서 종합적으로 다시 정리할 필요가 있었다. 현재 경판 <소대성전>은 같은 장수(張數)의 이판본을 포함하여 총 11종의 판본이 남아 있다. 이는 현전 경판 방각소설 중에서 가장 많은 양이다. 16장본 <소대성전>은 최소 세 번 이상 간행되었고, 그중에서 와세다본은 1901년 이전에 간행된 것이다. 그리고 와세다본을 모본으로 1905년에 서강대본이 간행되었으며, 다시 서강대본을 모본으로 1920년에 한남서림본이 간행되었다. 경판 방각소설 중에는 <춘향전>, <조웅전> 등 16장으로 간행된 작품이 더러 있는데, 세 번 이상 간행된 작품은 <소대성전>이 유일하다. 또한 와세다본은 경판 16장본들이 대략 1900년 전후 시기에 간행되었음을 알려주는 중요한 자료이다. 그동안 소개되지 않은 와세다본의 제반 특징을 검토하고, 이 와세다본을 중심으로 16장본들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그 결과, 연경본과 천리대본은 와세다본과 같은 판본으로 확인되었다. 그리고 서강대본이 와세다본을 번각하고, 한남서림본이 서강대본을 번각하는 과정에서 개각도 폭넓게 이루어졌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16장본과 장수가 다른 판본을 비교해 보았는데, 그 결과 ‘21장본→와세다본→서강대본→한남서림본’의 형성 계보를 알 수 있었다. 17장본은 16장본과는 관계가 없었다. 와세다본(16장본)을 보면 행간에 다른 판본의 내용을 삽입한 부분이 다수 나타난다. 이것은 다른 판본과의 비교 읽기에 의한 흔적이다. 그런데 삽입된 행문을 다른 판본과 비교해 보니, 와세다본의 독서자는 현전하는 판본이 아니라 현전 판본의 내용을 포괄하는 다른 판본을 가지고 비교 읽기를 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현전 36장본보다 장수가 더 많은 판본이 존재했을 것으로 추정한 기존 연구자의 생각이 타당함을 재확인할 수 있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studied So Daeseong-jeon Seoul Edition (Gyeongpan, 京板). There has been a detailed discussion on So Daeseong-jeon Gyeongpan in the past. However, some new Gyeongpans have been introduced in the meantime, and There are also woodblock prin...

      This paper studied So Daeseong-jeon Seoul Edition (Gyeongpan, 京板). There has been a detailed discussion on So Daeseong-jeon Gyeongpan in the past. However, some new Gyeongpans have been introduced in the meantime, and There are also woodblock prints that have not been studied yet. Therefore, a comprehensive review is required again at this point. At present, there are a total of 11 Gyeongpans in So Daeseong-jeon. This is the largest volume in the Gyeongpan novels in Hangeul. So Daeseong-jeon Gyeongpan 16 leaves has been published more than three times, of which the one in the collection of Waseda Univ. in Japan was published before 1901. And based on Waseda version, the Sogang Univ. version was published in 1905, and Hannam Seorim version was published in 1920 based on the Sogang Univ. version. Among Gyeongpan woodblock novels, So Daeseong-jeon is the only one of 16 leaves published more than three times. Also Waseda version is an important source of information indicating that the 16 leaves of the Gyeongpan were published around 1900. The Waseda version, the version of Cholli Univ. in Japan, and the version of the Harvard Yanqing Library are the same version. When the Sogang Univ. version was produced based on the Waseda version and the Hannam Seorim version based on the Sogang Univ. version, it was produced not only in the same shape, but in a different form in terms of vocabulary and arrangement of lines. When viewing Waseda version, there are many places where content of another version is inserted between lines. This is a trace of what readers of Waseda version read in comparison with other versions. Comparing the contents inserted in the Waseda version with other versions, it was found that the reader of the Waseda version did a comparative reading with a different version rather than the present version of the So Daeseong-jeon. Through this, it was possible to guess the fact that a larger version was published than the present 36 leave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1. 서론 2. 경판 <소대성전>의 판본과 계통 3. 16장본 판본 검토-와세다본을 중심으로 4. 결론
      • 1. 서론 2. 경판 <소대성전>의 판본과 계통 3. 16장본 판본 검토-와세다본을 중심으로 4. 결론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전상욱, "한글방각소설 신자료 고찰" 열상고전연구회 (31) : 143-167, 2010

      2 정병설, "조선시대 소설의 생산과 유통"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2016

      3 유춘동, "일본 쓰쿠바 대학[筑波大學]의 조선(朝鮮) 관련 서적과오카쿠라 요시사부로(岡倉由三郎)의 장서(藏書)" 동양학연구원 (69) : 1-12, 2017

      4 유춘동, "일본 고마자와(駒澤) 대학 다쿠소쿠(濯足) 문고 소장, 조선전적(朝鮮典籍)과 고소설에 대한 연구" 한국학연구원 (48) : 299-326, 2012

      5 유춘동, "완판(完板) 『조웅전』의 판본" 열상고전연구회 (38) : 37-61, 2013

      6 김동욱, "소대성전(안성판, 20장)" 연세대 1973

      7 "소대성전(경판, 한남서림본, 16장)"

      8 "소대성전(경판, 천리대본, 16장)"

      9 "소대성전(경판, 와세다본, 16장)"

      10 이상택, "소대성전(경판, 연경본, 16장)" 태학사 1998

      1 전상욱, "한글방각소설 신자료 고찰" 열상고전연구회 (31) : 143-167, 2010

      2 정병설, "조선시대 소설의 생산과 유통"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2016

      3 유춘동, "일본 쓰쿠바 대학[筑波大學]의 조선(朝鮮) 관련 서적과오카쿠라 요시사부로(岡倉由三郎)의 장서(藏書)" 동양학연구원 (69) : 1-12, 2017

      4 유춘동, "일본 고마자와(駒澤) 대학 다쿠소쿠(濯足) 문고 소장, 조선전적(朝鮮典籍)과 고소설에 대한 연구" 한국학연구원 (48) : 299-326, 2012

      5 유춘동, "완판(完板) 『조웅전』의 판본" 열상고전연구회 (38) : 37-61, 2013

      6 김동욱, "소대성전(안성판, 20장)" 연세대 1973

      7 "소대성전(경판, 한남서림본, 16장)"

      8 "소대성전(경판, 천리대본, 16장)"

      9 "소대성전(경판, 와세다본, 16장)"

      10 이상택, "소대성전(경판, 연경본, 16장)" 태학사 1998

      11 "소대성전(경판, 연경본, 16장)"

      12 "소대성전(경판, 서강대본, 16장)"

      13 김동욱, "소대성전(경판, 21장, 23장, 24장, 36장)" 연세대 1975

      14 "소대성전(경판, 17장)"

      15 유춘동, "방각본 소설의 새 자료와 과제" 고전문학한문학연구학회 17 : 59-82, 2014

      16 이혜은, "미국 하버드옌칭도서관 소장 한글 방각본 소설 연구" 한국비블리아학회 24 (24): 113-128, 2013

      17 허경진, "러시아 상트페테르부르크 국립대학과 동방학연구소에 소장된 조선전적(朝鮮典籍)에 대한 연구" 열상고전연구회 (36) : 9-32, 2012

      18 이창헌, "경판방각소설 판본 연구" 태학사 2000

      19 서경희, "<蘇大成傳>의 서지학적 접근" 梨花女子大學校 大學院 1998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6-30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EOMUNYEONGU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0-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35 0.35 0.3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47 0.43 0.724 0.1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