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Lactobacillus spp.와 Bacillus coagulans의 glutathione sulphydryl 함유율과 항산화 활성 = Glutathione sylphydrate contents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Lactobacillus spp. and Bacillus coagulan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4002369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활성산소의 세포막 파괴효과로부터 보호작용과 항산화 활성이 강한 균주를 선별하기위하여 33균주에 대한 세포내 glutathione 함유율과 linolcic acid 산화억제활성을 측정하였다. Lactobacillus casei H...

      활성산소의 세포막 파괴효과로부터 보호작용과 항산화 활성이 강한 균주를 선별하기위하여 33균주에 대한 세포내 glutathione 함유율과 linolcic acid 산화억제활성을 측정하였다. Lactobacillus casei HY2782 25.15 u㏖/g으로 가장 높은 함유율을 보이고 있으며 Lactobacillus rhamnosus CU01, Lactobacillus plantarum CU03 이 14.0u㏖/g 으로 통계적인 유의성을 나타내는 수준으로 높은 함유율을 나타내었다. 포자형성균주중의 glutathione 함유율측정결과 Lactobacillus sporogenes CU815, sporolactobacillus inulinus ATCC13538 은 Bacillus coagulans 균주의 GSH 함유율 보다 유의성이 인정되는 높은 함유율을 나타내었다.
      L. acidophilus ATCC4356, L. casei HY2782, L. brevis CU06 L. helveticus CU631은 Lactobacillus spp 중 높은 항산화 활성을 나타내었고 Bacillus coagulans의 항산화 활성범위는 6.02~51.72%로 나타났으며 Bacillus coagulans균주의 항산화 활성이 Lactobacillus spp.의 산화억제활성보다 높은 성향을 나타내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antioxidative ability on the basis of reduced glutathione sulphydryl level, the inhibition activities of linoleic acid peroxidation of cell free extract of Lactobacillus spp and Bacillus spp. have been determined; Lactobacillus casei HY 2782 conta...

      The antioxidative ability on the basis of reduced glutathione sulphydryl level, the inhibition activities of linoleic acid peroxidation of cell free extract of Lactobacillus spp and Bacillus spp. have been determined; Lactobacillus casei HY 2782 contained the highest level of GSH among the probiotic strains with 25.1μmole/g. Significanly high level of GSH occured in the intracellular cell free extract of Lactobacillus rhamnosus CU01, Lactobacillus plantarum CU03 The antioxidant activity and inhibition of linoleic acid peroxidation of cell free extract of Lactobacillus spp and Bacillus spp by thiobarbituric acid(TBA) assay have been shown to be significantly differed depending on the strains(P>0.01). Intracellular cell free extracts of L. acidophilus ATCC4356, L. casei HY2782, and strains of Bacillus coacillus revealed a significantly intensive inhibitory activity in the linoleic acid peroxidation reactions. Spearmans' rand correlation between inhibitory activity on linoleic acid peroxidation and cellular GSH levels of Lactobacillus spp was analysed and the correlation quotient was 0.65 which means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