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기존 공간정보 관리코드 현황분석을 통한 도시공간정보 객체식별자 관리 방향 = Management Plan of Urban Object IDentification through Status-Analysis of Existing Object Management Cod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23767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최근 언제, 어디서나 컴퓨팅이 가능한 유비쿼터스 환경을 도시에 구현하고자 하는 u-City에 대한 연구 및 개발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따라서, 도시내 시설물 관리도 이러한 유비쿼터스 개...

      최근 언제, 어디서나 컴퓨팅이 가능한 유비쿼터스 환경을 도시에 구현하고자 하는 u-City에 대한 연구 및 개발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따라서, 도시내 시설물 관리도 이러한 유비쿼터스 개념을 도입하여 실시간으로 시설물의 위치정보와 상태정보를 모니터링 해야 하며, 필요에 따라 제어관리 또한 이루어져야 한다. 이를 구현하기 위해서는 각 시설객체를 직접적으로 관리하기보다는 ID로 관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기존의 RFID, LCODE, EPC 등이 대표적인 관리코드라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 공간정보 관리코드의 이용현황을 분석하고 문제점을 파악하여 도시공간정보 객체식별자 구축방안을 수립하였다. 또한, 최적의 u-City 구축 관리를 위한 도시공간정보 객체식별자의 현장적용 및 실용화 방안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u-City를 구성하는 주요 인프라 시설물을 효과적으로 관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향후 네트워크 서비스 형태로 개발하여 다른 도시 내 유비쿼터스 서비스와 연동, 통합되어 도시민에게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Recently, development and research of u-City established the ubiquitous environment which can be anytime, anywhere computing or network, has been much highlighted. Thus, current urban facilities should be managed by ubiquitous concept, and monitored l...

      Recently, development and research of u-City established the ubiquitous environment which can be anytime, anywhere computing or network, has been much highlighted. Thus, current urban facilities should be managed by ubiquitous concept, and monitored location and status information in a real-time manner, and controled if necessary. In order to be establish in the purpose of management, indirect mapping through id-tag is better than facility management directly. For instance, RFID, UCODE, UFID. In this paper, we propose that represent facility object through UOID(Unique Object IDentification). UOID comprises three parts; 1) sensing object, 2) facility object, 3) cell object consists of facilities. and Life cycle management system in UOID, and network system connected with internet is proposed. We wish that proposed UOID and network system mange u-City facilities effectively, and also provide ubiquitous service to the citizen, one of the integrate service of u-City platform.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