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반복적인 무호흡 잠수 시 항산화 반응의 변화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89433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is about changes in antioxidant response during repeated apnea diving. The subjects are 16 male university students. The method is to measure MDA, SOD, red blood cell, lactic acid, blood suger, blood and heart rate at rest, after 5, 10, 15 ...

      This study is about changes in antioxidant response during repeated apnea diving. The subjects are 16 male university students. The method is to measure MDA, SOD, red blood cell, lactic acid, blood suger, blood and heart rate at rest, after 5, 10, 15 and 20 times of repeated apnea diving in 5M diving pool. One-way ANOVA with repeated measure was performed to verify the difference in the mean between periods, and the LSD method was performed for post-hoc testing if there was any significance between groups. the statistical significance level was set as α=.05. As a resul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white blood cells, red blood cells, hemoglobin, hematocrit, blood glucose, lactic acid, and heart rate changes according to the number of times and time, but there were no changes in MDA and SOD. This showed that the intensity of apnea diving was low in male college students an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due to physical adaptation. Therefore, in future studies, in-depth studies of various variables appearing during apnea diving in various environments and conditions are required.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Abstract
      • Ⅰ. 서론
      • Ⅱ. 연구방법
      • Ⅲ. 결과
      • Ⅳ. 논의
      • Abstract
      • Ⅰ. 서론
      • Ⅱ. 연구방법
      • Ⅲ. 결과
      • Ⅳ. 논의
      • Ⅴ. 결론
      • 참고문헌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민정욱, "피톤치드 휘산에 따른 실내 운동이 심혈관 지표, 스트레스 및 항산화 지수 변화에 미치는 영향" 한국사회체육학회 (77) : 487-496, 2019

      2 김백윤, "통제 및 개방수역에서의 스쿠버다이빙 입ㆍ출수에 따른 혈중 젖산, 글루코스, 유리지방산 및 헤모글로빈의 변화" 한국스포츠학회 10 (10): 505-514, 2012

      3 이규성, "탈진적인 스프린트성운동이 쥐의 심장, 골격근의 조직손상과 항산화기능에 미치는 영향" 8 (8): 461-471, 1999

      4 지용석, "탈진운동이 운동선수와 일반인의 SOD, MDA, 지질 성분 및 젖산농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코칭능력개발원 8 (8): 307-315, 2006

      5 신승환, "잠수 경력이 스쿠버 다이버의 생리적 반응에 미치는 영향" 한국스포츠리서치 16 (16): 377-386, 2005

      6 이윤미, "운동강도에 따른 MDA와 SOD의 변화" 한국운동영양학회 12 (12): 83-88, 2008

      7 박정민, "압력평형(pressure equalizing) 불안증세가 스쿠버다이빙 시 대학생 초보 다이버의 심박수와 호흡량의 차이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7 (17): 723-735, 2017

      8 김창균, "신장성 운동 후 전신 저온 침수가 근손상 반응, 혈중 MDA 및 젖산 농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과학회 30 (30): 813-822, 2021

      9 강지현, "스킨스쿠버 다이빙시 심박수와 에너지 소모량의 분석" 청주대학교 대학원 2004

      10 김병조, "수온차이가 반복적인 무호흡잠수 중 심박수, 젖산, 그리고 혈중산소포화도 반응에 미치는 영향" 한국생활환경학회 19 (19): 75-81, 2012

      1 민정욱, "피톤치드 휘산에 따른 실내 운동이 심혈관 지표, 스트레스 및 항산화 지수 변화에 미치는 영향" 한국사회체육학회 (77) : 487-496, 2019

      2 김백윤, "통제 및 개방수역에서의 스쿠버다이빙 입ㆍ출수에 따른 혈중 젖산, 글루코스, 유리지방산 및 헤모글로빈의 변화" 한국스포츠학회 10 (10): 505-514, 2012

      3 이규성, "탈진적인 스프린트성운동이 쥐의 심장, 골격근의 조직손상과 항산화기능에 미치는 영향" 8 (8): 461-471, 1999

      4 지용석, "탈진운동이 운동선수와 일반인의 SOD, MDA, 지질 성분 및 젖산농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코칭능력개발원 8 (8): 307-315, 2006

      5 신승환, "잠수 경력이 스쿠버 다이버의 생리적 반응에 미치는 영향" 한국스포츠리서치 16 (16): 377-386, 2005

      6 이윤미, "운동강도에 따른 MDA와 SOD의 변화" 한국운동영양학회 12 (12): 83-88, 2008

      7 박정민, "압력평형(pressure equalizing) 불안증세가 스쿠버다이빙 시 대학생 초보 다이버의 심박수와 호흡량의 차이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7 (17): 723-735, 2017

      8 김창균, "신장성 운동 후 전신 저온 침수가 근손상 반응, 혈중 MDA 및 젖산 농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과학회 30 (30): 813-822, 2021

      9 강지현, "스킨스쿠버 다이빙시 심박수와 에너지 소모량의 분석" 청주대학교 대학원 2004

      10 김병조, "수온차이가 반복적인 무호흡잠수 중 심박수, 젖산, 그리고 혈중산소포화도 반응에 미치는 영향" 한국생활환경학회 19 (19): 75-81, 2012

      11 하철수, "비타민 C, E 복합 섭취가 최대하 운동후 지질과산화물 및 SOD활성도와 혈중피로물질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과학회 15 (15): 805-816, 2006

      12 김민희, "단기간 비타민 투여가 발레 동작수행시 MDA 및 SOD, GPx 활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무용과학회 (26) : 161-171, 2012

      13 Lindholm, P., "The physiology and pathophysiology of human breath-hold diving" 106 (106): 284-292, 2009

      14 Joulia, F., "Reduced oxidative stress and blood lactic acidosis in trained breath-hold human divers" 133 (133): 121-130, 2002

      15 Joulia, F., "Reduced oxidative stress and blood lactic acidosis in trained breath-hold human divers" 133 (133): 121-130, 2002

      16 Urso, M. L., "Oxidative stress, exercise, and antioxidant supplementation" 189 (189): 41-54, 2003

      17 Bast, A., "Oxidative stress" 11 (11): 199-206, 1989

      18 Gooden, B. A., "Mechanism of the human diving response" 29 (29): 6-16, 1994

      19 Bruijn, R., "Increased erythropoietin concentration after repeated apneas in humans" 102 (102): 609-613, 2008

      20 Davies, K. J., "Free radicals and tissue damage produced by exercise" 107 (107): 1198-1205, 1982

      21 Elia, A., "Erythropoietic responses to a series of repeated maximal dynamic and static apnoeas in elite and non-breath-hold divers" 119 (119): 2557-2565, 2019

      22 Bulmer, A. C., "Effects of maximal static apnea on antioxidant defenses in trained free divers" 40 (40): 1307-1313, 2008

      23 Baković, D., "Effect of human splenic contraction on variation in circulating blood cell counts" 32 (32): 944-951, 2005

      24 Becker, G. D., "Barotrauma of the ears and sinuses after scuba diving" 258 (258): 159-163, 2001

      25 Qvist, J., "Arterial blood gas tensions during breath-hold diving in the Korean ama" 75 (75): 285-293, 1993

      26 Lovlin, R., "Are indices of free radical damage related to exercise intensity" 56 (56): 313-316, 1987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신청제한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66 0.66 0.6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66 0.66 0.593 0.1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