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의 목적은 Sameroff(2009)의 교류모델을 이론적 틀로 하여, 자기회귀교차지연모형을 통해 시간의 흐름에 따른 영유아의 부정적 정서성과 어머니의 우울 및 양육행동 간의 교류적 관계를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T14718358
서울 : 이화여자대학교, 2018
학위논문(박사) --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 아동학과 , 2018
2018
한국어
331.232 판사항(6)
305.23 판사항(23)
서울
v, 96장 ; 26 cm
지도교수: 도현심
권말부록: 설문지
참고문헌: 장 64-87
0
상세조회0
다운로드본 연구의 목적은 Sameroff(2009)의 교류모델을 이론적 틀로 하여, 자기회귀교차지연모형을 통해 시간의 흐름에 따른 영유아의 부정적 정서성과 어머니의 우울 및 양육행동 간의 교류적 관계를 ...
본 연구의 목적은 Sameroff(2009)의 교류모델을 이론적 틀로 하여, 자기회귀교차지연모형을 통해 시간의 흐름에 따른 영유아의 부정적 정서성과 어머니의 우울 및 양육행동 간의 교류적 관계를 살펴보는 것이다. 연구 참가자는 만 1~3세 영유아기 자녀를 양육하는 1,535명의 어머니들이며, 육아정책연구소에서 수행하는 한국아동패널연구(Panel Study on Korean Children [PSKC]) 자료 중 2차년도(T1, 2009년, 만 1세), 3차년도(T2, 2010년, 만 2세), 그리고 4차년도(T3, 2011년, 만 3세)의 자료를 사용하였다. 영유아의 부정적 정서성은 Buss와 Plomin (1984)의 EAS 기질 척도, 어머니의 우울은 Kessler 등(2002)의 Kessler 우울 척도(K6), 어머니의 양육행동은 Bornstein 등(1996)의 양육스타일 척도(PSQ)로 측정되었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1.0과 AMOS 21.0을 사용하여 각각 빈도분석, 교차분석 및 상관관계분석과 확인적 요인분석 및 자기회귀교차지연모형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T1과 T2의 어머니의 양육행동은 각각 T2와 T3의 영유아의 부정적 정서성에 영향을 미치는 부모 효과만이 발견됨으로써, 영유아의 부정적 정서성과 어머니의 양육행동은 교류적 관계를 보이지 않았다. 둘째, 어머니의 우울과 양육행동은 T1, T2 및 T3 등의 세 시점에 걸쳐 상호 영향을 주고받는 교류적 관계를 나타내었다. 즉, T1과 T2의 어머니의 우울은 각각 T2와 T3의 어머니의 온정적 양육행동에 부적 영향을, T1과 T2의 어머니의 온정적 양육행동은 각각 T2와 T3의 어머니의 우울에 부적 영향을 미쳤다. 마지막으로, 영유아의 부정적 정서성과 어머니의 우울은 세 시점에 걸쳐 서로 영향을 주고받는 교류적 관계를 나타내었다. 즉, T1과 T2의 영유아의 부정적 정서성은 각각 T2와 T3의 어머니의 우울에 정적 영향을, T1과 T2의 어머니의 우울은 각각 T2와 T3의 영유아의 부정적 정서성에 정적 영향을 미쳤다. 이 외에도, T2의 영유아의 부정적 정서성과 어머니의 우울 및 양육행동 가운데 어느 한 변인은 T1과 T3의 다른 두 가지 변인들 간의 관계를 매개하였으며, 각 변인은 세 시점에 걸쳐 연속성을 나타내었다.
종합해 보면, 본 연구는 영유아의 부정적 정서성과 어머니의 양육행동 간의 관계에서 부모 효과를 확인하고, 어머니의 우울과 양육행동 간의 관계와 영유아의 부정적 정서성과 어머니의 우울 간의 관계에서 각각 교류적 관계를 발견하였다. 본 연구는 횡단적 선행 연구들에서 살펴보지 못했던 변인들 간의 상호 영향력을 동시에 고려함으로써, 시간의 흐름에 따른 영유아의 부정적 정서성과 어머니의 우울 및 양육행동 간의 교류적 관계를 밝히고자 시도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또한, 영유아 특성과 어머니 특성 간의 교류적 관계에서 영유아의 부정적 정서성과 어머니의 우울 및 양육행동의 종단적 매개효과를 발견하고, 영유아의 부정적 정서성과 어머니의 우울 및 양육행동의 연속성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영유아기 자녀를 양육하는 어머니들의 심리적 건강에 대한 관리 및 개입과 바람직한 양육행동을 도모하는 사회적 서비스의 제공 및 유지의 필요성을 강조하였다. 본 연구는 아동·가족 관련 정책과 부모교육 및 상담 등의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데 중요한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으리라 기대한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rimary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longitudinal transactional relationships among children's negative emotionality, mothers' depression, and parenting behavior using autoregressive cross-lagged modeling. Data were drawn from the 2nd ...
The primary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longitudinal transactional relationships among children's negative emotionality, mothers' depression, and parenting behavior using autoregressive cross-lagged modeling. Data were drawn from the 2nd (T1) through 4th (T3) wave data (2009~2011) of the Panel Study on Korean Children (PSKC). A total of 1,535 mothers of 1- to 3-year-old children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1 and T2 mothers’ parenting behavior had a significant effects on T2 and T3 children's negative emotionality, whereas children's negative emotionality did not predict mothers’ parenting behavior. Second, there were transactional relationships of mothers' depression and parenting behavior from T1 to T3. That is, there were parents effects as well as child effects. Third, there were transactional relationships of children's negative emotionality and mothers' depression from T1 to T3. That is, there were parents effects as well as child effects. In addition, children's negative emotionality, mothers' depression, and parenting behavior at the T2 were proved to have significant mediating effects between the variables at the T1 and T3. Lastly, children's negative emotionality, mothers' depression, and parenting behavior showed continuity from T1 to T3.
In conclusion, the present study found the parent effects in the relationships between children's negative emotionality and mothers' parenting behaviors, and identified the transactional relationships between children's negative emotionality and maternal depression, as well as between maternal depression and parenting behavior in early years of life. The findings support a transactional model of reciprocal effects among children's negative emotionality, mothers' depression, and parenting behavior. This study could be expected to be used as a source for the development of social welfare policies, counseling, and programs for children and families.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첫 부모 역할 책, 도현심, 지식채널, 서울: 지식채널, , 2012
2. 한국아동패널2009, 조복희, 육아정책연구소, 육아정책연구소, , 2009
3. 한국아동패널 2012, 김은설, 육아정책연구소, 육아정책연구소, , 2012
4. 아동패널조사 모형개발 연구, 장명림, 육아정책개발센터, 육아정책연구소, , 2006
5. 『구조방정식모형으로 논문쓰기』, 김주환, 커뮤니케이션북스, 서울: 커뮤니케이 션북스, , 2009
7. 『한국아동패널 2009 기초 분석 보고서』, 육아정책연구소, 육아정책연구소, 육아정책연구소, , 2010
8. 「Amos 21 구조방정식 모델링 -원리와 실제」, 배병렬, 청람, 서울: 도서출판 청람, , 2014
10. 애착연구의 양육자 변인에 관한 국내 연구 동향, 김장회, 남수경, 한국재활심리학회, 재활심 리연구, 22(1), 131-149, , 2015
1. 첫 부모 역할 책, 도현심, 지식채널, 서울: 지식채널, , 2012
2. 한국아동패널2009, 조복희, 육아정책연구소, 육아정책연구소, , 2009
3. 한국아동패널 2012, 김은설, 육아정책연구소, 육아정책연구소, , 2012
4. 아동패널조사 모형개발 연구, 장명림, 육아정책개발센터, 육아정책연구소, , 2006
5. 『구조방정식모형으로 논문쓰기』, 김주환, 커뮤니케이션북스, 서울: 커뮤니케이 션북스, , 2009
7. 『한국아동패널 2009 기초 분석 보고서』, 육아정책연구소, 육아정책연구소, 육아정책연구소, , 2010
8. 「Amos 21 구조방정식 모델링 -원리와 실제」, 배병렬, 청람, 서울: 도서출판 청람, , 2014
10. 애착연구의 양육자 변인에 관한 국내 연구 동향, 김장회, 남수경, 한국재활심리학회, 재활심 리연구, 22(1), 131-149, , 2015
11. 한국아동 성장발달 종단연구 2016(한국아동패널Ⅱ), 김은설, 조숙인, 임준범, 송신영, 이예진, 배윤진, 육아정책연구소, , 2016
12. 구조 방정식 모형의 적합도 지수 선정기준과 그 근거, 홍세희(Se Hee Hong), 한국임상심리학회, 한국임상 심리학회지, 19(1), 161-177, , 2000
13. 부모의 완벽주의, 우울, 양육행동과 아동의 부적응 행동, 장래수, 김영희, 한국아동심리재활학회, 놀이치료연구, 8(1), 117-139, , 2004
15. 어머니의 양육유형 및 민감성이 영아의 발달에 미치는 영향, 이형민, 이 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2006
17. “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양육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김미성, 전귀연, 대한가정학회, 대한가정학회지, 41(12), 207-228, , 2003
18. 어머니와 아동의 기질 유사성이 어머니의 양육태도에 미치는 영향, 최현진, 김광웅, 한국인간발달학회, 인간발달연구, 17(3), 73-88, , 2010
20. 어머니의 심리적 특성과 부부특성이 어머니 양 육행동에 미치는 영향, 최선녀, 문영경, 김정미, 사회과학논문집, 35(1), 177-197, , 2016
22. 걸음마기 아동의 성, 기질 및 어머니의 스트레스가 양육행동에 미치는 영향, 박성연, 케네스 루빈, 한국아동학회, 아동학회지, 29(2), 109-124, , 2008
24. 저소득가정 영유아의 발달과 부모의 양육특성 및하루 일과시간에 관한 연구, 박혜원, 강한나, 대한가정학회, 대한가정학회지, 51(6), 613-622, , 2013
26. 영아의 정서성 기질과 어머니의 부정 정서 간의 자기회귀교차지연 효과 검증, 장유진, 이강이, 한국유아교육학회, 유아교육연구, 34(3), 67-84, , 2014
28. 아동과 어머니의 기질 및 어머니의 양육 스트레스에따른 양육 행동에 관한 연구, 한세영, 전춘애, 대한가정학회, 대한가정학회지, 34(4), 203-215, , 1996
29. 걸음마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양육지식과 양육행동, 양육스트레스 간의 관계 연구, 양미선, 김양은, 한국보육지원학회지, 8(3), 229-247, , 2012
30. 어머니의 양육태도와 영아의 기질 및 조화적합성이 보 육시설 적응에 미치는 영향, 이주리, 김기홍, 한국보육지원학회, 한국보육지원학회지, 6(1), 47-65, , 2010
32. 한국아동패널(PSKC)을 활용한 연구동향: 복합자료 분석의 방법 론적 고찰을 중심으로, 임혜성, 유아교육연구, 36(2), 391-412, , 2016
33. 아동의 초기 정서성 , 양육행동 및 모자녀 애착과 남․여 아동의 행동억 제간의 관계, 박성은, 한국아동학회, 아동학회지, 22(2), 29-47, , 2001
34. 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성격 강점과 양육 행동 간의 관계 - 양육 효능감의 매개효과, 박영아, 한국영유아보육학회, 한국영유아보육학, 1(1), 79-99, , 2016
35. 0세부터 3세까지 영유아의 부정적 정서성과 어머니 의 온정성/반응성 간의 양방향적 관계, 정익중, 김수정, 한국아동학회, 아동학회지, 36(4), 1-16, , 2015
39. 어머니의 산전 우울감이 영아의 까다로운 기질에 미치는 영향에 서 양육 스트레스의 매개효과, 이희정, 한국아동복지학회, 아동복지학, 35, 99-126, , 2011
40. 영아의 기질과 어머니의 긍정적 양육방식 간의 관계에서 어머 니 부정적 심리변인의 매개효과, 임현주, 육아정책연구소, 육아정책연구소, 8(1), 1-23, , 2014
46. 가구소득에 따른 부부관계와 자녀가치 및 아버지의 양 육참여가 영아기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력 비교, 천희영, 옥경희, 아동 학회지, 33(1), 205-221, , 2012
48. 어머니의 결혼만족도, 부부갈등 및 영아의 정서성 기질 이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어머니 우울의 매개효과, 이대균, 서석원, 유아교육연구. 33(5), 279-298, , 2013
51. 어머니의 결혼만족도가 양육스트레스를 매개로 우울에 미치는 영향: 잠재성장모형과 자기회귀교차지연모형을 활용한 종단매개 효과 검증, 김춘경, 조민규, 한국보육학회지, 15(2), 85-107, , 20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