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보문 : 경기도 지역에 거주하는 일반인의 장례메이크업에 대한 인식 = Regular Articles : Perception into Funeral Make-up in Common Peoples of Gyeonggi Provinc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8235689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With rapid economic growth, increasing interest in social welfare, and development of sciences, human life span is increasingly lengthened, leading to the creation of ageing society, where preparation for death-which cannot be overlooked-exercises gre...

      With rapid economic growth, increasing interest in social welfare, and development of sciences, human life span is increasingly lengthened, leading to the creation of ageing society, where preparation for death-which cannot be overlooked-exercises great influence on the culture of funeral. Also, “funeral makeup”, which has developed due to social needs, is recently used by certain classes of people, and has yet to be furthered in order to either be recognized as a professional job or classified as such. Common people were surveyed to identify their perception of funeral makeup. In the result, more women than men said that a funeral makeup is necessary or that they will use funeral makeup. More people in their 20s and 30s, than people in their 50s, knew about funeral makeup. Regardless of age, education and religion, a large number of people said that a funeral makeup is necessary, and that they will use it. Considering these results, a greater number of those who knew about funeral makeup, and that a funeral makeup is necessary, responded that will use funeral makeup. Regardless of their majors, all respondents said that a funeral makeup is necessary, and regarding the preference of makeup performers as well, funeral makeup artists were preferred the most. Thus, most of people consider funeral makeup necessary, prefer the job of funeral makeup artists, indicating the need to provide professional guidance and education on funeral makeup, and if the service is widely promoted, the funeral makeup will emerge a new job among the makeup industry.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재선, "한민족과 만주족의 문화 비교연구 -장례문화를 중심으로" 한민족문화학회 (22) : 307-333, 2007

      2 정민자, "한국의 상장례 문화에 관한 연구" 명지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2003

      3 유권종, "한국에서의 상례문화의 전개" 15 (15): 44-, 2001

      4 주은경, "한국 천주교 장례예식서를 통해 본 장례문화와 연도(煉禱)의 노래문화" 한국음악사학회 (40) : 589-622, 2008

      5 한희숙, "조선전기 장례문화와 歸厚署" 조선시대사학회 (31) : 39-78, 2004

      6 김춘우, "장례식장 서비스 비용분석에 관한 연구: 서울특별시 장례식장을 중심으로" 명지대학교 사회교육대학원 2006

      7 이필도, "장례서비스 산업의 현황과 발전방안" 1 (1): 74-, 2002

      8 서분희, "장례서비스 산업으로서 사자분장에 관한 연구" 동시대학교 불교대학원 2003

      9 강희목, "장례보험과 장례서비스의 연계 구축방안에 관한 연구" 명지대학교 사회교육대학원 2006

      10 김민정, "장례 복식 문화에 관한 기초연구" 한국생활과학회 17 (17): 293-304, 2008

      1 김재선, "한민족과 만주족의 문화 비교연구 -장례문화를 중심으로" 한민족문화학회 (22) : 307-333, 2007

      2 정민자, "한국의 상장례 문화에 관한 연구" 명지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2003

      3 유권종, "한국에서의 상례문화의 전개" 15 (15): 44-, 2001

      4 주은경, "한국 천주교 장례예식서를 통해 본 장례문화와 연도(煉禱)의 노래문화" 한국음악사학회 (40) : 589-622, 2008

      5 한희숙, "조선전기 장례문화와 歸厚署" 조선시대사학회 (31) : 39-78, 2004

      6 김춘우, "장례식장 서비스 비용분석에 관한 연구: 서울특별시 장례식장을 중심으로" 명지대학교 사회교육대학원 2006

      7 이필도, "장례서비스 산업의 현황과 발전방안" 1 (1): 74-, 2002

      8 서분희, "장례서비스 산업으로서 사자분장에 관한 연구" 동시대학교 불교대학원 2003

      9 강희목, "장례보험과 장례서비스의 연계 구축방안에 관한 연구" 명지대학교 사회교육대학원 2006

      10 김민정, "장례 복식 문화에 관한 기초연구" 한국생활과학회 17 (17): 293-304, 2008

      11 최영갑, "유교의 상장례에 담긴 죽음의 의미" 한국양명학회 (19) : 389-412, 2007

      12 Mayer RG, "시신위생처리" 대학서림 528-549, 2003

      13 정진구, "시신보존위생 제도에 관한 연구" 명지대학교 사회교육대학원 2008

      14 안영미, "소비의례로서 장묘문화에 대한 연구" 원광대학교 경영대학원 2004

      15 김용성, "대가야의 상장의례: 대가야 고총의 상장례" 계명대학교한국학연구원 7 : 299-339, 2009

      16 安喆相, "교차 문화적 (cross-cultural) 관점에서 본 장묘 제도의 변화에화장장의 도입과 초분의 퇴화에 따른 ‘뼈’의 개념의" 한국불교학회 (47) : 351-400, 2007

      17 박진훈, "고려 사람들의 죽음과 장례―官人 가족을 중심으로―" 한국사연구회 (135) : 141-176, 2006

      18 우상미, "低出産∙高齡社會化에 따른 葬禮變化에 관한 硏究:한국∙일본 비교를 중심으로" 동국대학교 불교대학원 2007

      19 최순덕, "中∙長年層消費者의 美容서비스 認識照査硏究" 경희대학교 행정대학원 2005

      20 장문주, "“미용사 직업에 대한 사회적 인식조사”: 충청지역 중심으로" 한남대학교 2008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1-02-24 학회명변경 한글명 : 대한미용과학회 -> 대한미용학회
      영문명 : The Society of Korean Cosmetological Science -> The Korean Society for Investigative Cosmetology
      KCI등재후보
      2011-02-24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대한미용과학회지 -> 대한미용학회지
      외국어명 : The Journal of Cosmetological Science -> Journal of Investigative Cosmetology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0-09-08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한국두피모발미용학회지 -> 대한미용과학회지 KCI등재후보
      2010-02-05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두피모발미용학회 -> 대한미용과학회
      영문명 : The korean Society of Trichology -> The Society of Korean Cosmetological Science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93 0.93 0.8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79 0.71 0.751 0.5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