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발달성 말실행증과 조음음운장애 아동의 초분절적 특성 비교 - 청지각 및 음향학적 평가과제를 중심으로 - = A Study of Suprasegmental Abilities in Children with Developmental Apraxia of Speech/Developmental Verbal Apraxia and Phonological Disorder - Focusing on Perceptual and Acoustic Analysis -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079181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초분절은 분절의 잉여요소가 아니라 필수 요소이다. 특히, 발달성 말실행증의 주요 특징 중의 하나는 비정상적인 운율이다. 많은 선행연구에서 초분절은 발달성 말실행증의 일차적 또는 이차적 특징이라고 언급하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연구들은 단지 청지각적 또는 음향학적 분석만을 이용하여 비체계적으로 발달성 말실행증 아동의 초분절적인 능력을 평가하였다.
      이 연구의 목적은 청지각적 분석과 음향학적 분석을 이용하여 발달성 말실행증, 조음음운장애, 정상 발달아동들을 대상으로 초분절적인 특징을 살펴보고 그 결과를 토대로 발달성 말실행증 아동들의 기저 문제를 규명하는데 있다. 청지각과 음향학적 분석을 이용함으로써 선정된 음향학적 매개변수로 집단 간 차이를 규명할 수 없다고 하더라도, 청지각적 분석을 통하여 그들의 차이를 평가하려고 하였다. 이를 위해 3세 6개월에서 6세 3개월의 발달성 말실행증 아동 5명, 조음음운장애 아동 10명, 정상 발달아동 10명으로 구성된 세 집단 총 25명을 대상으로 초분절적인 능력을 알아보았다.
      이 연구를 위해 세 개의 초분절적 과업 연접, 문미 억양구, 낱말 악센트를 실시하였다. 연접은 내적 개연접과 내적 폐연접으로 나누어서 평가하였고, 문미 억양구는 H%, HL%, LH%, LHL%를 이용하여 평가하였다. 또한 조음 난이도(저, 고), 강세 유형(강약, 약강)에 따라 유의미 낱말과 무의미 낱말로 구성된 낱말을 이용하여 낱말 악센트를 평가하였다. 자료 분석은 5점 척도를 이용한 청지각적 분석과 지속시간과 경사를 매개변수로 한 음향학적 분석을 이용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내적 연접의 청지각적 평가에서는 발달성 말실행증 아동과 정상 통제집단의 아동만이 유의한 차이가 났다. 음향학적인 분석은 모든 집단이 총 지속시간에 대해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나, 연접 전후의 음절만을 포함하는 지속시간은 단지 발달성 말실행증과 조음음운장애 아동, 발달성 말실행증과 정상 통제집단 아동만이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청지각적 분석과 음향학적 분석의 유의한 상관은 거의 없었다.
      둘째, 청지각적 분석 결과 발달성 말실행증 집단이 조음음운장애와 정상 통제집단에 비해 유의하게 더 많은 문미 억양구 오류를 범하였다. 음향학적 분석 중 문미 억양구의 총 지속시간은 발달성 말실행증 집단과 조음음운장애 집단이 유의하게 차이가 나타났다. 그러나 음절의 음도 경사는 문미 억양구×집단, 문미 억양구×경사 위치에서 유의한 상호작용이 나타났다. 발달성 말실행증 아동들은 문미 억양구 LH%의 후행경사가 다른 지반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셋째, 낱말 악센트는 청지각적 분석 중 분절 정확성은 발달성 말실행증, 조음음운장애, 정상 통제집단 모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나, 강세 정확성은 단지 발달성 말실행증과 정상 통제집단만 유의한 차가 나타났다. 음향학적 분석 중 유의미 낱말의 총 지속시간은 조음 난이도×강세유형×집단의 유의한 상호작용이 있었으며, 무의미 낱말은 조음 난이도×집단의 유의한 상호작용이 있었다. 발달성 말실행증 집단은 유의미 낱말에서 총 지속시간이 가장 길었지만, 무의미 낱말에서는 조음 난이도 ‘저’의 낱말 총 지속시간이 가장 길었으나, 조음 난이도 ‘고’에서는 낱말의 총 지속시간이 가장 짧았다. 음절의 음도 경사 역시 유의미 낱말은 조음 난이도×집단, 무의미 낱말은 조음 난이도×강세유형의 상호작용이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발달성 말실행증 집단은 음절의 음도 경사가 낮았다. 청지각적 분석과 음향학적 분석의 유의한 상관은 거의 없었다. 모든 연구문제에서 청지각적 분석과 음향학적 분석의 유의한 상관이 없다는 것은 청지각적 분석만으로 발달성 말실행증의 치료 효과를 설명할 수 없다는 것을 시사한다. 따라서 언어치료사들은 아동들의 비정상적인 운율을 치료할 때 청지각적 측정뿐만 아니라 음향학적 매개 변수에 대한 정보도 있어야 한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통해 발달성 말실행증은 음운적 표상 시스템과 초분절적 능력이 지체되거나 편차되었고 이는 그들이 운동 프로그래밍뿐만 아니라 언어적 계획에도 문제가 있다고 해석할 수 있다. 따라서 발달성 말실행증을 치료할 때 단지 운동 프로그램과 관련된 중재뿐만 아니라 언어 처리 과정 역시 중재가 필요하다는 것을 시사하였다.
      번역하기

      초분절은 분절의 잉여요소가 아니라 필수 요소이다. 특히, 발달성 말실행증의 주요 특징 중의 하나는 비정상적인 운율이다. 많은 선행연구에서 초분절은 발달성 말실행증의 일차적 또는 이...

      초분절은 분절의 잉여요소가 아니라 필수 요소이다. 특히, 발달성 말실행증의 주요 특징 중의 하나는 비정상적인 운율이다. 많은 선행연구에서 초분절은 발달성 말실행증의 일차적 또는 이차적 특징이라고 언급하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연구들은 단지 청지각적 또는 음향학적 분석만을 이용하여 비체계적으로 발달성 말실행증 아동의 초분절적인 능력을 평가하였다.
      이 연구의 목적은 청지각적 분석과 음향학적 분석을 이용하여 발달성 말실행증, 조음음운장애, 정상 발달아동들을 대상으로 초분절적인 특징을 살펴보고 그 결과를 토대로 발달성 말실행증 아동들의 기저 문제를 규명하는데 있다. 청지각과 음향학적 분석을 이용함으로써 선정된 음향학적 매개변수로 집단 간 차이를 규명할 수 없다고 하더라도, 청지각적 분석을 통하여 그들의 차이를 평가하려고 하였다. 이를 위해 3세 6개월에서 6세 3개월의 발달성 말실행증 아동 5명, 조음음운장애 아동 10명, 정상 발달아동 10명으로 구성된 세 집단 총 25명을 대상으로 초분절적인 능력을 알아보았다.
      이 연구를 위해 세 개의 초분절적 과업 연접, 문미 억양구, 낱말 악센트를 실시하였다. 연접은 내적 개연접과 내적 폐연접으로 나누어서 평가하였고, 문미 억양구는 H%, HL%, LH%, LHL%를 이용하여 평가하였다. 또한 조음 난이도(저, 고), 강세 유형(강약, 약강)에 따라 유의미 낱말과 무의미 낱말로 구성된 낱말을 이용하여 낱말 악센트를 평가하였다. 자료 분석은 5점 척도를 이용한 청지각적 분석과 지속시간과 경사를 매개변수로 한 음향학적 분석을 이용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내적 연접의 청지각적 평가에서는 발달성 말실행증 아동과 정상 통제집단의 아동만이 유의한 차이가 났다. 음향학적인 분석은 모든 집단이 총 지속시간에 대해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나, 연접 전후의 음절만을 포함하는 지속시간은 단지 발달성 말실행증과 조음음운장애 아동, 발달성 말실행증과 정상 통제집단 아동만이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청지각적 분석과 음향학적 분석의 유의한 상관은 거의 없었다.
      둘째, 청지각적 분석 결과 발달성 말실행증 집단이 조음음운장애와 정상 통제집단에 비해 유의하게 더 많은 문미 억양구 오류를 범하였다. 음향학적 분석 중 문미 억양구의 총 지속시간은 발달성 말실행증 집단과 조음음운장애 집단이 유의하게 차이가 나타났다. 그러나 음절의 음도 경사는 문미 억양구×집단, 문미 억양구×경사 위치에서 유의한 상호작용이 나타났다. 발달성 말실행증 아동들은 문미 억양구 LH%의 후행경사가 다른 지반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셋째, 낱말 악센트는 청지각적 분석 중 분절 정확성은 발달성 말실행증, 조음음운장애, 정상 통제집단 모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나, 강세 정확성은 단지 발달성 말실행증과 정상 통제집단만 유의한 차가 나타났다. 음향학적 분석 중 유의미 낱말의 총 지속시간은 조음 난이도×강세유형×집단의 유의한 상호작용이 있었으며, 무의미 낱말은 조음 난이도×집단의 유의한 상호작용이 있었다. 발달성 말실행증 집단은 유의미 낱말에서 총 지속시간이 가장 길었지만, 무의미 낱말에서는 조음 난이도 ‘저’의 낱말 총 지속시간이 가장 길었으나, 조음 난이도 ‘고’에서는 낱말의 총 지속시간이 가장 짧았다. 음절의 음도 경사 역시 유의미 낱말은 조음 난이도×집단, 무의미 낱말은 조음 난이도×강세유형의 상호작용이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발달성 말실행증 집단은 음절의 음도 경사가 낮았다. 청지각적 분석과 음향학적 분석의 유의한 상관은 거의 없었다. 모든 연구문제에서 청지각적 분석과 음향학적 분석의 유의한 상관이 없다는 것은 청지각적 분석만으로 발달성 말실행증의 치료 효과를 설명할 수 없다는 것을 시사한다. 따라서 언어치료사들은 아동들의 비정상적인 운율을 치료할 때 청지각적 측정뿐만 아니라 음향학적 매개 변수에 대한 정보도 있어야 한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통해 발달성 말실행증은 음운적 표상 시스템과 초분절적 능력이 지체되거나 편차되었고 이는 그들이 운동 프로그래밍뿐만 아니라 언어적 계획에도 문제가 있다고 해석할 수 있다. 따라서 발달성 말실행증을 치료할 때 단지 운동 프로그램과 관련된 중재뿐만 아니라 언어 처리 과정 역시 중재가 필요하다는 것을 시사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One characteristic included in many definitions of developmental apraxia of speech/developmental verbal apraxia(DAS/DVA) is a description of abnormal prosody. Although some authors posit that disordered prosody is a fundamental part of DAS/DVA or a subtype of DAS/DVA, these studies were reported on suprasegmental abilities in children with DAS/DVA using only perceptual or acoustic measures. A few study to data has systematically examined suprasegmental abilities in DAS/DVA and phonological disorder(PD) or DAS/DVA and typically developing speech(TD).
      The purpose of this investigation was to study, both perceptually and acoustically, suprasegmental abilities of three children who had been diagnosed with DAS/DVA, PD and TD. By focusing on perceptual and acoustic analysis, this study was able to assess whether children can produce perceptually detectable differences suprasegmental abilities, even if it were to fail to measure the acoustic parameters that the individual child is using. Three groups of children, who are 5 children with DAS/DVD, 10 children with PD, 10 children with TD were administered suprasegmental tasks.
      This study is designed to examine the internal juncture, IP-final boundary tone in sentence accent, and lexical accent. First, internal juncture is divided into internal open and close juncture. Second, since an accentual phrase(AP) boundary tone in an intonation phrase(IP)-final position is overridden by the IP-final boundary tone, only the IP-final boundary tone(%) was labeled at the end of an IP. This study was used to H%, LH%, HL%, LHL% in IP-final position. Finally, lexical accent is composed of phonetic complexity(easy, difficulty) and stress pattern(iambic and trochaic) on productions of real words and nonsense words. Perceptual measures of accuracy of target words or phrases used 5 rating scales. Acoustic measures were examined on duration and slope.
      The principal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perceptual analysis that interval scales of internal juncture produced by children with DAS/DVA and TD was only significant in this study. Juncture pattern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all of group. In acoustic analysis, total duration was significantly different in all of groups. Also internal juncture was only significantly different in children with DAS/DVA and PD, DAS/DVA and TD. Hower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acoustic analysis and perceptual analysis.
      Second, in perceptual analysis, when IP-final position in sentence accent was examined, DAS/DVA group made significantly more error than the PD group. In acoustic analysis, total sentence duration was significantly different all of group. Result of pitch slopes of IP% indicated a significant interaction between intonation pattern and groups, and IP% pattern and slope position. However, the interactions between perceptual analysis and acoustic analysis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Finally, it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for both real words and nonreal words in perceptual analysis in all groups while Post Hoc test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accuracy of segmental in all groups except only in accuracy of stress the DAS/DVA and PD showing significant difference. Total duration of acoustic analysis indicated a significant interaction among phonetic complexity, stress and groups in real words. Unlike real words, there was a significant interaction between phonetic complexity and stress. Pitch slopes of acoustic analysis was a significant interaction between phonetic complexity and groups in real words and between phonetic complexity and stress in nonreal words. However, the interactions between perceptual analysis and acoustic analysis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The fact that the interactions between these perceptual analysis and acoustic analysis were no significantly different in this study suggests that targeting them in remediation might not effect a large increase in the production of prosodically normal speech. This information may inform clinical speech-language pathologists about which phonetic parameters as well as perceptual measures to target in remediation with children demonstrating atypical prosody.
      Overall, the results of this study support the theory that DAS/DVA may have an deviant and delayed phonological representation system and suprasegmental ability in children with DAS/DVA were reflected "linguistic planning" as well as motoric programming" processes.
      These results suggest that treatment protocols for DAS/DVD should encompass linguistic processing as well as motor programming activities.
      번역하기

      One characteristic included in many definitions of developmental apraxia of speech/developmental verbal apraxia(DAS/DVA) is a description of abnormal prosody. Although some authors posit that disordered prosody is a fundamental part of DAS/DVA or a su...

      One characteristic included in many definitions of developmental apraxia of speech/developmental verbal apraxia(DAS/DVA) is a description of abnormal prosody. Although some authors posit that disordered prosody is a fundamental part of DAS/DVA or a subtype of DAS/DVA, these studies were reported on suprasegmental abilities in children with DAS/DVA using only perceptual or acoustic measures. A few study to data has systematically examined suprasegmental abilities in DAS/DVA and phonological disorder(PD) or DAS/DVA and typically developing speech(TD).
      The purpose of this investigation was to study, both perceptually and acoustically, suprasegmental abilities of three children who had been diagnosed with DAS/DVA, PD and TD. By focusing on perceptual and acoustic analysis, this study was able to assess whether children can produce perceptually detectable differences suprasegmental abilities, even if it were to fail to measure the acoustic parameters that the individual child is using. Three groups of children, who are 5 children with DAS/DVD, 10 children with PD, 10 children with TD were administered suprasegmental tasks.
      This study is designed to examine the internal juncture, IP-final boundary tone in sentence accent, and lexical accent. First, internal juncture is divided into internal open and close juncture. Second, since an accentual phrase(AP) boundary tone in an intonation phrase(IP)-final position is overridden by the IP-final boundary tone, only the IP-final boundary tone(%) was labeled at the end of an IP. This study was used to H%, LH%, HL%, LHL% in IP-final position. Finally, lexical accent is composed of phonetic complexity(easy, difficulty) and stress pattern(iambic and trochaic) on productions of real words and nonsense words. Perceptual measures of accuracy of target words or phrases used 5 rating scales. Acoustic measures were examined on duration and slope.
      The principal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perceptual analysis that interval scales of internal juncture produced by children with DAS/DVA and TD was only significant in this study. Juncture pattern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all of group. In acoustic analysis, total duration was significantly different in all of groups. Also internal juncture was only significantly different in children with DAS/DVA and PD, DAS/DVA and TD. Hower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acoustic analysis and perceptual analysis.
      Second, in perceptual analysis, when IP-final position in sentence accent was examined, DAS/DVA group made significantly more error than the PD group. In acoustic analysis, total sentence duration was significantly different all of group. Result of pitch slopes of IP% indicated a significant interaction between intonation pattern and groups, and IP% pattern and slope position. However, the interactions between perceptual analysis and acoustic analysis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Finally, it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for both real words and nonreal words in perceptual analysis in all groups while Post Hoc test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accuracy of segmental in all groups except only in accuracy of stress the DAS/DVA and PD showing significant difference. Total duration of acoustic analysis indicated a significant interaction among phonetic complexity, stress and groups in real words. Unlike real words, there was a significant interaction between phonetic complexity and stress. Pitch slopes of acoustic analysis was a significant interaction between phonetic complexity and groups in real words and between phonetic complexity and stress in nonreal words. However, the interactions between perceptual analysis and acoustic analysis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The fact that the interactions between these perceptual analysis and acoustic analysis were no significantly different in this study suggests that targeting them in remediation might not effect a large increase in the production of prosodically normal speech. This information may inform clinical speech-language pathologists about which phonetic parameters as well as perceptual measures to target in remediation with children demonstrating atypical prosody.
      Overall, the results of this study support the theory that DAS/DVA may have an deviant and delayed phonological representation system and suprasegmental ability in children with DAS/DVA were reflected "linguistic planning" as well as motoric programming" processes.
      These results suggest that treatment protocols for DAS/DVD should encompass linguistic processing as well as motor programming activitie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 1
      • 1. 연구의 의의 = 1
      • 2. 연구의 문제 = 3
      • 3. 용어 정의 = 5
      • Ⅱ. 이론적 배경 = 6
      • Ⅰ. 서론 = 1
      • 1. 연구의 의의 = 1
      • 2. 연구의 문제 = 3
      • 3. 용어 정의 = 5
      • Ⅱ. 이론적 배경 = 6
      • 1. 발달성 말실행증의 원인과 증후에 대한 이론적 탐색 = 6
      • 2. 초분절의 특성 및 발달 = 10
      • 3. 조음음운장애 아동의 정의 및 초분절적 특징 = 15
      • 4. 발달성 말실행증 아동의 초분절적 특징 = 17
      • Ⅲ. 연구 방법 = 20
      • 1. 연구 대상 = 20
      • 2. 대상자 선별 검사 도구 및 선정 절차 = 24
      • 3. 평가 도구 및 자료 분석 = 26
      • 4. 연구 절차 = 35
      • 5. 자료 처리 = 36
      • Ⅳ. 결과 및 해석 = 37
      • 1. 연접 = 37
      • 2. 문미 억양구 = 43
      • 3. 낱말 악센트 = 51
      • Ⅴ. 논의 및 고찰 = 68
      • 1. 방법에 대한 논의 및 고찰 = 68
      • 2. 결과에 대한 논의 및 고찰 = 71
      • Ⅵ. 결론 및 제언 = 80
      • 참고문헌 = 83
      • 영문초록 = 99
      • 부록 Ⅰ. 비구두 구강 검사 = 102
      • 부록 Ⅱ. 음소 및 음절의 일관성 검사 = 103
      • 부록 Ⅲ. 교호운동 검사 = 104
      • 부록 Ⅳ. 음성 및 운율 평가 = 105
      • 부록 Ⅴ. 발화길이 증가에 따른 조음오류 평가 = 106
      • 부록 Ⅵ. 연접 검사 = 107
      • 부록 Ⅶ. 문미 억양구 검사 = 108
      • 부록 Ⅷ. 낱말 악센트 검사 = 109
      • 부록 Ⅸ. 낱말 악센트 그림도구 = 110
      • 부록 Ⅹ. 연접의 청지각·음향학적 분석 상관 = 111
      • 부록 ⅩⅠ. 문미 억양구의 청지각·음향학적 분석 상관 = 112
      • 부록 ⅩⅡ. 발달성 말실행증 낱말 악센트의 청지각·음향학적 분석 상관 = 113
      • 부록 ⅩⅢ. 조음음운장애 낱말 악센트의 청지각·음향학적 분석 상관 = 114
      • 부록 ⅩⅣ. 정상 통제집단 낱말 악센트의 청지각·음향학적 분석 상관 = 115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