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인공지능 시대 공공성의 기독교교육적 이해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99853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2019년에 이미 시작하여 2020년에 거세게 밀어닥치고 2021년에도 기세가 꺾이지 않은 COVID-19 감염사태를 겪으면서 세계는 뉴노멀을 생각하게 되었다. 아울러 인공지능으로 인한 뉴노멀도 생각...

      2019년에 이미 시작하여 2020년에 거세게 밀어닥치고 2021년에도 기세가 꺾이지 않은 COVID-19 감염사태를 겪으면서 세계는 뉴노멀을 생각하게 되었다. 아울러 인공지능으로 인한 뉴노멀도 생각하게 되었다. 본 논문은 그 문제에 다가가고자 하였으며, 그것을 기독교 교육적으로 어떻게 해석할지에 관심을 기울였다. 그리하여 다음과 같은 추론의 단계를 따라 진술하였다. 1. 서론적으로 뉴노멀, 인공지능, 기독교교육적 관점 등의 상호연관에 대하여 밝혔다; 2. 인공지능의 역사는 전단계 뿐만 아니라 이미 80년의 본격적 과정에 걸쳐 있다. 그 전개 과정 및 이에 대한 역사적 철학적 이해가 필요하였다. 특히 기독교적 시선으로 이 내용들을 진술하였다; 3. 다음으로 본 논문은 인공지능 기술의 이와 같은 전개가 실제 인류의 실존과 미래에 어떤 양상으로 나타날지를 기술하고자 하였다. 어떤 사람은 적극적으로 환영하고 또 어떤 사람은 불가피하지만 걱정스러워하며, 또 어떤 사람은 그저 혼란스럽게 여긴다. 그런 입장들을 정리하여 보았다; 4. 인류의 실존과 미래에 연관된 인공지능의 영향을 담아낼 일관적 개념을 채택해야 했는데, ‘공공성’이란 개념을 취했다. 공공성이란 개념을 따라 인공지능 기술의 좋고 나쁨, 환영과 우려, 요청되는 태도와 관점을 기술하고자 하였다. 결국은 인공지능에 대한 기독교교육적 윤리적 해석이 되었다고 본다. 가르치는 세대와 배우는 세대의 격차가 오히려 역전되어 있는 디지털 첨단에 대한 교육적 사태는 늘 곤혹스럽다. 이 연구가 그런 곤혹스러움을 넘어가는 하나님의 디딤돌이 되기를 기대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world is thinking of the new normal as we experience the COVID-19 outbreak that started in 2019, hit hard in 2020, and didn"t dampen its momentum in 2021. In addition, I came to think of the new normal caused by artificial intelligence. This thesi...

      The world is thinking of the new normal as we experience the COVID-19 outbreak that started in 2019, hit hard in 2020, and didn"t dampen its momentum in 2021. In addition, I came to think of the new normal caused by artificial intelligence. This thesis tried to approach the problem, and paid attention to how to interpret it in Christian education. Therefore, it was stated according to the following inference steps. 1. In the introduction, the correlation between the new normal, artificial intelligence, and Christian education perspectives was revealed; 2. The history of artificial intelligence has not only the previous stage, but also the regular process of 80 years. The development process and historical and philosophical understanding of it were necessary. Specifically, these statements were made from a Christian perspective; 3. Next, this paper intends to describe how this development of artificial intelligence technology will appear in the real human existence and future. Some are positively welcoming, others are unavoidable but worried, and others are just confused. I have summarized those positions; 4. We had to adopt a consistent concept that would capture the impact of artificial intelligence related to the existence of mankind and the future, and we took the concept of ‘publicity’. Following the concept of publicity, I tried to describe the good and bad, welcome and worry, and requested attitudes and viewpoints of AI technology. In the end, I think it has become a Christian educational and ethical interpretation of artificial intelligence. The educational situation for the digital cutting-edge technology, where the gap between the teaching generation and the learning generation is rather inverted, is always difficult. It is hoped that this study will serve as a divine stepping stone to overcome such difficultie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 Ⅱ. 기독교적 시선으로 본 인공지능의 역사
      • Ⅲ. 인류의 우환거리가 된 초능력자 인공지능
      • Ⅳ. 인공지능과 관련한 공공성의 문제
      • Ⅴ. 결어: 해석의 범위를 넓힌 공공신학의 길
      • Ⅰ. 서론
      • Ⅱ. 기독교적 시선으로 본 인공지능의 역사
      • Ⅲ. 인류의 우환거리가 된 초능력자 인공지능
      • Ⅳ. 인공지능과 관련한 공공성의 문제
      • Ⅴ. 결어: 해석의 범위를 넓힌 공공신학의 길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한전숙, "현상학의 이해" 민음사 1984

      2 Kurzweil, R., "특이점이 온다" 김영사 2007

      3 Schwab, K., "클라우스 슈밥의 제4차산업혁명" 새로운 현재 2016

      4 이광근, "컴퓨터과학이 여는 세계" 인사이트 2015

      5 Whitehead, A. N., "종교란 무엇인가" 사월의 책 2015

      6 고선규, "인공지능과 어떻게 공존할 것인가" 타커스 2019

      7 유경동, "인공지능과 기독교윤리 : 신학과 인공지능 연구와의 대화" 95 : 149-179, 2019

      8 Russel, S., "인공지능-2" 제이펍 2016

      9 Russel, S., "인공지능-1" 제이펍 2016

      10 Le Blanc C., "이창실, 키에르케고르" 동문선 2004

      1 한전숙, "현상학의 이해" 민음사 1984

      2 Kurzweil, R., "특이점이 온다" 김영사 2007

      3 Schwab, K., "클라우스 슈밥의 제4차산업혁명" 새로운 현재 2016

      4 이광근, "컴퓨터과학이 여는 세계" 인사이트 2015

      5 Whitehead, A. N., "종교란 무엇인가" 사월의 책 2015

      6 고선규, "인공지능과 어떻게 공존할 것인가" 타커스 2019

      7 유경동, "인공지능과 기독교윤리 : 신학과 인공지능 연구와의 대화" 95 : 149-179, 2019

      8 Russel, S., "인공지능-2" 제이펍 2016

      9 Russel, S., "인공지능-1" 제이펍 2016

      10 Le Blanc C., "이창실, 키에르케고르" 동문선 2004

      11 정재승, "열두 발자국" 어크로스 2018

      12 Erikson, E. H., "아동기와 사회" 중앙적성출판사 285-, 1988

      13 Bostrom, N., "슈퍼인텔리전스" 까치 2017

      14 오진곤, "서양과학사" 전파과학사 1977

      15 Kierkegaard S. A., "불안의 개념" 한길사 1999

      16 Comenius, J. A., "범교육학" 그리심 2005

      17 van der Linde, J. M., "미래를 가진 하나님의 세계" 여수룬 1999

      18 Harrisville R. A., "문화변혁과 성경읽기" 예영커뮤니케이션 2002

      19 김응종, "근대 무신론의 철학적 기원 -베네딕투스 데 스피노자와 피에르 밸을 중심으로" 한국프랑스사학회 (20) : 45-72, 2009

      20 Russel, B., "과학의 미래" 열린책들 2011

      21 최경환, "공공신학으로 가는 길" 도서출판 100 2019

      22 Comenius, J. A., "Panorthosia" Peter Lang 1998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54 0.54 0.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8 0.59 0.655 0.1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