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SCOPUS KCI등재

      발아(發芽)가 유채의 질소화합물 분획에 미치는 영향 = Effect of Germination on the Fractions of Nitrogeneous Component of Rapeseed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37127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내한유채를 $25^{\circ}C$에서 발아시키는동안 질소화합물, 전기영동pattern 및 색도의 변화를 조사하였다. 1, 유채의 단백질은 수용성비단백해 질소가 9.3%, albumin 25.1%, globulin이 24.7%, Prolamine of 2.2%...

      내한유채를 $25^{\circ}C$에서 발아시키는동안 질소화합물, 전기영동pattern 및 색도의 변화를 조사하였다. 1, 유채의 단백질은 수용성비단백해 질소가 9.3%, albumin 25.1%, globulin이 24.7%, Prolamine of 2.2%, glutelin이 1.7%였는데 발아에 의하여 수용성비단 백태 질소는 증가하였으나 albumin과 globulin은 감소하였고 prolamine과 glutelin은 발아초기에는 감소하다가 그 이후는 증가하였다. 2. 2%SHMP에 의해 추출되는 유채단백질은 발아시간에 관계없이 53.5$\sim$54.5의 추출율을 나타냈다. 3. 유채단백질을 7.5%polyacrylamide gel로써 전기영동한 결과는 2개의 큰peak와 2개의 작은peak를 보이던 것이 발아30시간에는 각peak의 모양이 둥그스럼해지고, 발아45시간 이후에는 큰Peak 1개만이 둥근 모양으로 나타났다. 4. 유채발아중 단백질추출액의 색도는 400$\sim$700mm의 전파장에서 흡광도가 증가하였으며 특히 500mm에서 현저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changes in protein fractions and its gel electrophoretic pattern of rapeseeds (Brassica napus L) were investigated during germination at $25^{\circ}C$ under dark condition. The major protein fraction was found to be albumin 25.0%) and globulin (24...

      The changes in protein fractions and its gel electrophoretic pattern of rapeseeds (Brassica napus L) were investigated during germination at $25^{\circ}C$ under dark condition. The major protein fraction was found to be albumin 25.0%) and globulin (24.6%). Both fractions were decreased throughout germination, particularly significant for albumin, while prolamine(2.2%) and glutelin (1.8%) showed an initial decrease followed by a slow increase at the later stage of germination. The initial 5-6 peaks of gel electrophoresis were reduced to a few after 45 hours. The absorption spectrum at the range of 400-700 nm showed a significant increase in absorbance for sodium hexametaphosphate (SHMP) extract of rapeseeds. The protein extractability with SHMP was not significantly affected by germination.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