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청소년 가출과 다중피해의 관계에서 지역사회 무질서의 가중효과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34774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 가출과 다중피해의 관계에서 지역사회 무질서의 가중효과를 검증하여 이를 바탕으로 정책적, 학술적 함의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한국형사정책연구원에서 ...

      본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 가출과 다중피해의 관계에서 지역사회 무질서의 가중효과를 검증하여 이를 바탕으로 정책적, 학술적 함의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한국형사정책연구원에서 2014년 진행한 ‘청소년 대상 범죄피해조사’연구에서 전국의 중․고등학생을 대상으로 수집한 횡단데이터를 활용하였으며, 최종적으로 총 7,109명의 응답을 분석 자료로 활용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 대상자 중 가출 유경험 청소년은 전체의 2.6%(186명)으로 나타났으며, 가출 유경험 청소년일수록 거의 모든 범죄피해 유형에 노출될 승산이 무경험 집단에 비해 유의미하게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둘째, 지역사회 무질서 수준을 분석하기 위해 물리적 무질서, 사회적 무질서, 그리고 경찰활동을 투입하여 잠재프로파일을 분석한 결과 무질서 수준에 따라 ‘고’, ‘중’, ‘저’의 세 집단으로 구분되었으며 무질서 수준이 높은 집단일수록 다중피해 유경험자의 비율이 유의미하게 높은 것으로 검증되었다. 셋째, 모형 분석 결과, 가출 유경험 여부와 지역사회 무질서 수준은 모두 다중피해 위험을 유의미하게 예측하는 가운데, 가출 무경험 청소년의 지역사회 무질서 수준의 증가에 따른 다중피해위험은 3.65배 증가하는 반면, 가출 유경험 청소년은 최대 6.08배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나 가출 유경험 청소년에게서 지역사회 무질서의 가중효과가 더욱 가파르게 증가하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청소년 가출에 대한 인식의 개선 및 이들의 다중피해 예방을 위한 지역사회적 개입의 중요성과 이를 위한 정책적, 학술적 방안을 논의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s between runaway youth and poly-victimization, with a focus on the aggravating effect of community disorders. Cross-sectional data taken from 7,109 middle and high school aged adolescents were obtained b...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s between runaway youth and poly-victimization, with a focus on the aggravating effect of community disorders. Cross-sectional data taken from 7,109 middle and high school aged adolescents were obtained by the Korean Institute of Criminology in 2014. Frequency and descriptive analysis, latent profile analysis, logistic and negative binomial regression were conducted utilizing both the Mplus 6.0 and Stata 13.0.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2.6% (n=186) of participants had experience of running away from home, and those subjects were more vulnerable to be exposed to almost all sub-types of poly-victimization. Second, three profiles with levels of community disorders were identified, and the higher level of disorders were associated with the greater level of poly-victimization. Third, participants with experience of having run away from home showed larger aggravating effect as the level of community disorder rose toward polyvictimization than those from the non-experienced group. Based on these results the political, and research implications for mitigating the risks of poly-victimization among runaway youth were discussed.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초록
      • Ⅰ. 서론
      • Ⅱ. 이론적 배경
      • Ⅲ. 연구방법
      • Ⅳ. 연구결과
      • 초록
      • Ⅰ. 서론
      • Ⅱ. 이론적 배경
      • Ⅲ. 연구방법
      • Ⅳ. 연구결과
      • Ⅴ. 논의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준호, "한국의 범죄피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형사정책연구원 21 (21): 135-172, 2010

      2 이현철, "한국 청소년의 지위비행 ‧ 범죄행위에 대한 종단분석" 한국청소년상담복지개발원 24 (24): 125-147, 2016

      3 민가영, "피해 경험의 다층성과 피해자다움의 각본 수용에 관한 연구: 십대 가출여성의 경험을 중심으로" 한국여성연구원 35 (35): 39-67, 2018

      4 김준범, "초기 청소년기 다중폭력피해자의 자살시도에관한 연구: 심리적 불안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피해자학회 26 (26): 121-149, 2018

      5 여성가족부, "청소년통계"

      6 오봉욱, "청소년의 구체적 범죄피해 두려움 영향요인 분석" 사단법인 아시아문화학술원 10 (10): 1709-1720, 2019

      7 김지연, "청소년의 가출횟수 및 청소년쉼터 이용경험에 따른 집단 특성 검증"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6 (26): 207-237, 2015

      8 곽대훈, "청소년비행원인에 대한 다층적 분석: 제3차 국제청소년비행조사를 중심으로" 한국과학수사학회 13 (13): 43-49, 2019

      9 윤우석, "청소년 지위비행과 부모의 양육행위에 지역사회의 생태학적 특성이 미치는 영향" 한국형사정책연구원 21 (21): 175-202, 2010

      10 이시연, "청소년 ‘가출팸’의 현황과 대책" 한국지역문화학회 5 (5): 85-101, 2018

      1 김준호, "한국의 범죄피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형사정책연구원 21 (21): 135-172, 2010

      2 이현철, "한국 청소년의 지위비행 ‧ 범죄행위에 대한 종단분석" 한국청소년상담복지개발원 24 (24): 125-147, 2016

      3 민가영, "피해 경험의 다층성과 피해자다움의 각본 수용에 관한 연구: 십대 가출여성의 경험을 중심으로" 한국여성연구원 35 (35): 39-67, 2018

      4 김준범, "초기 청소년기 다중폭력피해자의 자살시도에관한 연구: 심리적 불안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피해자학회 26 (26): 121-149, 2018

      5 여성가족부, "청소년통계"

      6 오봉욱, "청소년의 구체적 범죄피해 두려움 영향요인 분석" 사단법인 아시아문화학술원 10 (10): 1709-1720, 2019

      7 김지연, "청소년의 가출횟수 및 청소년쉼터 이용경험에 따른 집단 특성 검증"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6 (26): 207-237, 2015

      8 곽대훈, "청소년비행원인에 대한 다층적 분석: 제3차 국제청소년비행조사를 중심으로" 한국과학수사학회 13 (13): 43-49, 2019

      9 윤우석, "청소년 지위비행과 부모의 양육행위에 지역사회의 생태학적 특성이 미치는 영향" 한국형사정책연구원 21 (21): 175-202, 2010

      10 이시연, "청소년 ‘가출팸’의 현황과 대책" 한국지역문화학회 5 (5): 85-101, 2018

      11 노성훈, "지역사회의 범죄, 외국인, 무질서가 범죄두려움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다수준 분석" 한국형사정책연구원 25 (25): 1-36, 2014

      12 윤희중, "지역사회에 있어서 청소년의 범죄통제에 대한 인식 : 전북지역을 중심으로" 경찰학연구소 10 (10): 383-410, 2015

      13 김찬선, "지역사회 안전문화정착과 시민안전의식 및 범죄두려움의 관계" 한국융합과학회 8 (8): 111-126, 2019

      14 이명우, "지역사회 경찰활동이 범죄두려움에 미치는 영향: 무질서 감소의 매개효과 측정" 한국경찰학회 16 (16): 73-102, 2014

      15 유진이, "중장기청소년쉼터 여자청소년들의 SNS 사용 분석" 3 (3): 67-97, 2018

      16 정부24, "위기청소년 통합지원시스템 구축, 위기청소년 맞춤형 지원 강화"

      17 김의명, "연속수치지도와 유동인구를 이용한 범죄취약 추정지역 추출" 한국지도학회 19 (19): 59-68, 2019

      18 "여성가족부"

      19 김승섭, "아픔이 길이 되려면 : 정의로운 건강을 찾아 질병의 사회적 책임을 묻다" 동아시아 2017

      20 박윤환, "수도권청소년성매매의공간패턴에관한연구: 탐색적 공간자료 분석의 활용을 중심으로" 대한범죄학회 7 (7): 109-152, 2013

      21 박지선, "비행청소년의 전과 유무에 따른 제반 특성 및 위험 요인 비교" 한국법심리학회 6 (6): 71-84, 2015

      22 김중곤, "부모의 학대, 방임 및 존중의 결여가아동⋅청소년의 성폭력피해에 미치는 영향: 가출의 매개효과" 대한범죄학회 12 (12): 95-110, 2018

      23 황지태, "범죄피해율과 공식범죄발생률간의 비교분석: 2008년도 주요범죄 암수추정" 한국형사정책연구원 21 (21): 7-51, 2010

      24 구교태, "범죄피해 두려움 관련 요인에 대한 연구: 직간접적 경험을 중심으로" 사회과학연구원 9 (9): 113-126, 2016

      25 법무연수원, "범죄백서" 법무연수원 2019

      26 정진성, "무질서와 범죄와의 관계에 대한 문헌분석:방법론적 이슈들을 중심으로" 한국공안행정학회 19 (19): 227-258, 2010

      27 김혜영, "무질서 인식이 청소년들의 부정적 감정 및 지위비행에 미치는 영향 검증" 한국공안행정학회 24 (24): 9-43, 2015

      28 시민건강연구소, "몸은 사회를 기록한다" 낮은산 2018

      29 최열, "근린환경 무질서에 대한 주민인식 및 결정요인 분석- 부산광역시 공동주택단지를 중심으로"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43 (43): 193-206, 2008

      30 이선범, "경찰활동, 무질서와 범죄두려움의구조적 관계" 경찰학연구소 13 (13): 57-79, 2018

      31 홍서아, "경찰의 학교폭력예방 및 피해자 지원방안 연구" 한국교정학회 28 (28): 111-136, 2018

      32 김상호, "경찰공무원의 노력보상불균형에 관한 연구" 한국경찰연구학회 17 (17): 3-28, 2018

      33 최순실, "강력범죄 가해자 가족 지원 방안에 관한 고찰" 한국교정복지학회 (56) : 165-187, 2018

      34 오세연, "가출팸 청소년들의 범죄피해대상자 선택에 관한 연구" 한국경찰연구학회 17 (17): 177-200, 2018

      35 유서구, "가출팸 경험과 비행행동의 차이: 실천 대안의 탐색" 비판과대안을위한사회복지학회/비판과대안을위한건강정책학회 (54) : 52-80, 2017

      36 백혜영, "가출청소년 정책 분석: Gilbert와 Terrell의 분석틀을 적용한 청소년쉼터 정책 분석" 한국교정복지학회 (43) : 33-66, 2016

      37 치안정책연구소, "가출청소년 보호와 지역사회 안전을 위한 경찰의 역할 연구" 치안정책연구소 2013

      38 김지혜, "가출의 비범죄화— 소년법상 가출 규정과 가정밖 청소년의 인권 —" 한국소년정책학회 23 : 35-60, 2013

      39 구길모, "가출 아동·청소년 대상 ‘위력’에 의한 성범죄에 대한 고찰" 법학연구소 25 (25): 147-177, 2014

      40 이창훈, "가정 밖 청소년의 범죄 가해 및 피해와 관련된 요인 연구" 한국범죄심리학회 13 (13): 153-166, 2017

      41 David Finkelhor, "Violence, crime, and abuse exposure in a national sample of children and youth: An update" American Medical Association (AMA) 167 (167): 614-, 2013

      42 D. Finkelhor, "Violence, Abuse, and Crime Exposure in a National Sample of Children and Youth" American Academy of Pediatrics (AAP) 124 (124): 1411-1423, 2009

      43 Jessica A. Heerde, "Stealing and being stolen from:Perpetration of property offenses and property victimization among homeless youth: A systematic review" SAGE Publications 48 (48): 265-300, 2013

      44 Morewitz, S. J., "Runaway and Homeless Youth" Springer 175-185, 2016

      45 Helen W. Wilson, "Research Review: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hood violence exposure and juvenile antisocial behavior: a meta-analytic review" Wiley 50 (50): 769-779, 2009

      46 Finkelhor, D., "Polyvictimization:Children’s Exposure to Multiple Types of Violence, Crime, and Abuse" National survey of children’s exposure to violence 2011

      47 Andrews, A. R., "Polyvictimization, related symptoms, and familial and neighborhood contexts as longitudinal mediators of racial/ethnic disparities in violence exposure across adolescence" 1-14, 2018

      48 David Finkelhor, "Poly-victimization: A neglected component in child victimization" Elsevier BV 31 (31): 7-26, 2007

      49 Anat Brunstein Klomek, "Peer Victimization, Depression, and Suicidiality in Adolescents" Wiley 38 (38): 166-180, 2008

      50 Catherine E. Ross, "Neighborhood Disorder, Subjective Alienation, and Distress" SAGE Publications 50 (50): 49-64, 2009

      51 Catherine E. Ross, "Neighborhood Disorder, Fear, and Mistrust: The Buffering Role of Social Ties with Neighbors" Wiley 28 (28): 401-420, 2000

      52 David Finkelhor, "Measuring poly-victimization using the Juvenile Victimization Questionnaire" Elsevier BV 29 (29): 1297-1312, 2005

      53 Johnson, K. D., "Juvenile runaways. Problem-oriented guides for police problem-specific guides series guide No. 37"

      54 Sara M. Walsh, "Invited Commentary: National Safe Place: Meeting the Immediate Needs of Runaway and Homeless Youth" Springer Science and Business Media LLC 39 (39): 437-445, 2010

      55 Linda M. Williams, "Harm and Resilience among Prostituted Teens: Broadening our Understanding of Victimisation and Survival" Cambridge University Press (CUP) 9 (9): 243-254, 2010

      56 Turner, H. A., "Effects of poly-victimization on adolescent social support, self-concept, and psychological distress" 32 (32): 755-780, 2017

      57 Sunghoon Roh, "Effects of community policing upon fear of crime" Emerald 28 (28): 670-683, 2005

      58 Perkins, D. D., "Ecological research to promote social change" Springer 127-170, 2002

      59 Akers, R. L, "Criminological Theories:Introduction, Evaluation, and Application" Oxford University Press 2017

      60 Turner, H. A., "Community disorder, victimization exposure, and mental health in a national sample of youth" 54 (54): 258-275, 2013

      61 Anderson, E., "Code of Street: Decency, Violence, and the Moral Life of the Inner City" W. W. Norton 1999

      62 Finkelhor, D., "Childhood victimization: Violence, crime, and abuse in the lives of young people" Oxford university Press 2008

      63 Sampson, R. J., "Assessing"neighborhood effects" : Social processes and new directions in research" 28 (28): 443-478, 2002

      64 권구환, "Akers의 사회학습이론을 적용한 청소년 비행 연구에 대한 체계적 문헌고찰" 한국보건사회연구원 39 (39): 424-468, 2019

      65 Travis W. Franklin, "A Multilevel Analysis of the Vulnerability, Disorder, and Social Integration Models of Fear of Crime" Springer Science and Business Media LLC 21 (21): 204-227, 2008

      66 여성가족부, "2019년도 여성가족부 소관 예산 및 기금운용계획 개요" 여성가족부 2019

      67 여성가족부, "2019년 청소년사업 안내"

      68 법무연수원, "2018 범죄분석" 법무연수원 2019

      69 황순길, "2016년 전국 청소년 위기실태조사" 한국청소년상담복지개발원 2016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5-30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청소년개발원 ->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영문명 : 미등록 -> National Youth Policy Institute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5-19 학술지등록 한글명 : 한국청소년연구
      외국어명 : Studies on Korean Youth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2.86 2.86 3.7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3.84 3.58 4.967 0.3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