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자녀의 학업동기 증진을 위한 부모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 자기결정성이론을 중심으로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3392324

      • 저자
      • 발행사항

        용인: 단국대학교 대학원, 2014

      •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박사) -- 단국대학교 대학원 , 교육학과 교육심리전공 , 2014. 2

      • 발행연도

        2014

      • 작성언어

        한국어

      • DDC

        370.1507 판사항(22)

      • 발행국(도시)

        경기도

      • 기타서명

        Development and Effectiveness of the Parent Education Program for Children's Academic Motivation Improvement : Focusing on Self-Determination Theory

      • 형태사항

        vi, 109장: 삽화; 30 cm.

      • 일반주기명

        단국대학교 논문은 저작권에 의해 보호받습니다.
        지도교수:윤미선
        참고문헌(70-78장)수록

      • 소장기관
        • 국립중앙도서관 국립중앙도서관 우편복사 서비스
        • 단국대학교 율곡기념도서관(천안) 소장기관정보
        • 단국대학교 퇴계기념도서관(중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kakao i 다국어 번역

      본 연구의 목적은 자기결정성이론을 중심으로 자녀의 학업동기 증진을 위한 부모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연구문제는 부모교육 프로그램을 어떻게 구성할 수 있으며, 개발한 부모교육 프로그램이 부모의 학습지원행동 및 자녀의 학업동기 증진에 효과가 있는지 알아보는 것으로 설정하였다.
      부모교육 프로그램의 개발은 다음과 같은 절차에 의해 이루어졌다.
      프로그램 개발을 위해 자기결정성이론 관련 문헌과 선행연구를 고찰하고 분석하였다. 이를 토대로 학습 선택권 부여, 민주적인 규칙 제공, 적정성과 추구, 학업향상 격려, 학업정보 제공, 긍정적인 피드백 제공, 동기자원을 끌어낼 수 있는 환경 조성, 자녀와 친밀한 관계 맺기 등 8가지 학업동기 증진 구성요소를 추출하였다. 다음으로 학습목표와 교육내용을 선정하여 프로그램을 8차시로 구성하였으며 세부적인 교수-학습 지도계획안을 작성하였다. 부모의 학습지원행동의 변화를 파악하기 위해 학습지원행동 검사를, 자녀의 기본심리욕구의 변화를 알아보기 위해 한국형 기본심리욕구 척도를, 자녀의 학업동기 변화를 측정하기 위해 한국판 학업적 자기조절 설문지를 선정하였다. 그리고 프로그램의 내용 타당도를 확보하기 위해 이론 적용의 적절성, 개발절차의 오류 여부, 적용의 용이성 등에 대한 전문가의 검토를 받아 내용을 보완하였다.
      개발된 부모교육 프로그램의 적용효과 및 검증 결과는 다음과 같다.
      부모교육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2012년 10월부터 11월까지 초등학교 학부모를 대상으로 주 1회, 2시간씩 8주 동안 부모교육을 실시하였다. 프로그램을 실시하기 전과 종료 후에 연구 변인에 대한 양적자료를 수집하였으며, 개방형 질문을 통해 변화 정도와 만족도, 차시별 수행도를 알아보았다.
      프로그램을 실시한 결과 부모의 학습지원행동 중 학습 선택권 부여, 학업정보 제공에 대한 부모 보고 점수와 민주적인 규칙 제공에 대한 자녀 보고 점수가 실험집단이 통제집단보다 높게 나타났다. 자녀의 기본심리욕구 중 자율성, 유능성, 총점의 부모 보고 점수에서도 차이가 있었다. 그리고 자녀의 학업적 자기조절 중 확인된 조절 동기, 내재적 동기, 총점의 부모 보고 점수에서 변화가 있었다. 교육내용, 교육 운영방법 등에 대해서도 대체적으로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부모가 지각한 점수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으며, 자녀가 보고한 점수에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에 차이가 있었다. 따라서 부모교육을 통해서 자녀의 학업동기를 증진시키고자 했던 연구의 목적이 일부 달성되었다고 할 수 있다.
      프로그램을 부모들에게 적용한 결과 부모들이 자녀의 동기 수준을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었으며 학업동기 증진 방법을 습득할 수 있었다. 부모들이 자녀의 학업지도에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을 감안할 때, 본 연구에서 제시한 동기 증진 방안들은 자녀의 학업지도에 대한 지침이 될 수 있을 것이며, 학습상담에서도 많이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연구의 제한점은 초등학교 자녀를 둔 적은 수의 어머니만을 대상으로 하였다는 점, 부모가 배운 내용을 자녀에게 적용시키는 기간이 짧았다는 점 등이다.
      번역하기

      본 연구의 목적은 자기결정성이론을 중심으로 자녀의 학업동기 증진을 위한 부모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연구문제는 부모교육 프로그램을 어떻게 구성할 수 있...

      본 연구의 목적은 자기결정성이론을 중심으로 자녀의 학업동기 증진을 위한 부모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연구문제는 부모교육 프로그램을 어떻게 구성할 수 있으며, 개발한 부모교육 프로그램이 부모의 학습지원행동 및 자녀의 학업동기 증진에 효과가 있는지 알아보는 것으로 설정하였다.
      부모교육 프로그램의 개발은 다음과 같은 절차에 의해 이루어졌다.
      프로그램 개발을 위해 자기결정성이론 관련 문헌과 선행연구를 고찰하고 분석하였다. 이를 토대로 학습 선택권 부여, 민주적인 규칙 제공, 적정성과 추구, 학업향상 격려, 학업정보 제공, 긍정적인 피드백 제공, 동기자원을 끌어낼 수 있는 환경 조성, 자녀와 친밀한 관계 맺기 등 8가지 학업동기 증진 구성요소를 추출하였다. 다음으로 학습목표와 교육내용을 선정하여 프로그램을 8차시로 구성하였으며 세부적인 교수-학습 지도계획안을 작성하였다. 부모의 학습지원행동의 변화를 파악하기 위해 학습지원행동 검사를, 자녀의 기본심리욕구의 변화를 알아보기 위해 한국형 기본심리욕구 척도를, 자녀의 학업동기 변화를 측정하기 위해 한국판 학업적 자기조절 설문지를 선정하였다. 그리고 프로그램의 내용 타당도를 확보하기 위해 이론 적용의 적절성, 개발절차의 오류 여부, 적용의 용이성 등에 대한 전문가의 검토를 받아 내용을 보완하였다.
      개발된 부모교육 프로그램의 적용효과 및 검증 결과는 다음과 같다.
      부모교육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2012년 10월부터 11월까지 초등학교 학부모를 대상으로 주 1회, 2시간씩 8주 동안 부모교육을 실시하였다. 프로그램을 실시하기 전과 종료 후에 연구 변인에 대한 양적자료를 수집하였으며, 개방형 질문을 통해 변화 정도와 만족도, 차시별 수행도를 알아보았다.
      프로그램을 실시한 결과 부모의 학습지원행동 중 학습 선택권 부여, 학업정보 제공에 대한 부모 보고 점수와 민주적인 규칙 제공에 대한 자녀 보고 점수가 실험집단이 통제집단보다 높게 나타났다. 자녀의 기본심리욕구 중 자율성, 유능성, 총점의 부모 보고 점수에서도 차이가 있었다. 그리고 자녀의 학업적 자기조절 중 확인된 조절 동기, 내재적 동기, 총점의 부모 보고 점수에서 변화가 있었다. 교육내용, 교육 운영방법 등에 대해서도 대체적으로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부모가 지각한 점수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으며, 자녀가 보고한 점수에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에 차이가 있었다. 따라서 부모교육을 통해서 자녀의 학업동기를 증진시키고자 했던 연구의 목적이 일부 달성되었다고 할 수 있다.
      프로그램을 부모들에게 적용한 결과 부모들이 자녀의 동기 수준을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었으며 학업동기 증진 방법을 습득할 수 있었다. 부모들이 자녀의 학업지도에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을 감안할 때, 본 연구에서 제시한 동기 증진 방안들은 자녀의 학업지도에 대한 지침이 될 수 있을 것이며, 학습상담에서도 많이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연구의 제한점은 초등학교 자녀를 둔 적은 수의 어머니만을 대상으로 하였다는 점, 부모가 배운 내용을 자녀에게 적용시키는 기간이 짧았다는 점 등이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초록 ⅰ
      • 표 목 차 ⅴ
      • 그림목차 ⅵ
      • Ⅰ. 서 론 1
      • 국문초록 ⅰ
      • 표 목 차 ⅴ
      • 그림목차 ⅵ
      • Ⅰ. 서 론 1
      •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 2. 연구 문제 3
      • Ⅱ. 이론적 배경 4
      • 1. 부모교육 4
      • 1.1 부모교육의 개념 4
      • 1.2 부모교육의 필요성 및 목적 5
      • 1.3 부모교육 프로그램 관련 선행연구 6
      • 2. 학업동기와 자기결정성이론 11
      • 2.1 학업동기 11
      • 2.2 자기결정성이론 11
      • 2.3 자기결정성이론 관련연구 고찰 16
      • 3. 학업동기 증진을 위한 부모의 지원 17
      • 3.1 부모의 학습지원행동 17
      • 3.2 부모의 학습지원 관련 연구 고찰 19
      • 3.3 자기결정성이론에서 동기증진 방안 20
      • Ⅲ. 연구 1: 자녀의 학업동기 증진을 위한 부모교육 프로그램 개발 21
      • 1. 부모교육 프로그램의 개발 과정 21
      • 1.1 문헌고찰과 분석을 통한 학업동기 증진 요소 추출 22
      • 1.2 부모교육 프로그램 설계 23
      • 1.3 부모교육 프로그램 개발 23
      • 1.4 부모교육 프로그램 실행 25
      • 1.5 부모교육 프로그램의 평가와 보완 25
      • 2. 부모교육 프로그램의 구성 및 내용 26
      • 2.1 부모교육 프로그램의 기본 방향 26
      • 2.2 부모교육 프로그램의 목표 27
      • 2.3 부모교육 프로그램의 내용 28
      • 2.4 부모교육 프로그램의 특성과 운영 지침 33
      • 2.5 부모교육 프로그램의 만족도 33
      • Ⅳ. 연구 2: 자녀의 학업동기 증진을 위한 부모교육 프로그램의 효과 검증 37
      • 1. 부모교육 프로그램의 연구 방법 및 절차 37
      • 1.1 연구 대상 37
      • 1.2 측정 도구 38
      • 1.3 실험 설계 44
      • 1.4 연구 절차 44
      • 1.5 자료 수집과 분석 46
      • 2. 부모교육 프로그램의 효과 46
      • 2.1 프로그램 참여 여부에 따른 부모의 학습지원행동 차이 47
      • 2.2 프로그램의 참여여부에 따른 자녀의 학업동기 차이 52
      • 2.3 부모교육 프로그램 질적 분석 60
      • Ⅴ. 논의 및 결론 64
      • 1. 논의 64
      • 2. 결론 67
      • 참고문헌 70
      • 부 록 79
      • Abstract 108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부모교육, 한국행동과학연구소, , 1983

      2. Parenteducation, Perou.R, Lesesne.C, Smith.C, , 2002

      3. Parent involvement, Shearer, , 1997

      4. 유아교육사전, 한국유아교육학회, 한국사전연구사, , 2006

      5. Betweenparentandchild, Hunt, , 1964

      6. 한국 가족의 심리, 김재은, , 1987

      7. Active Parenting Handbook, Popkin, , 1983

      8. 훈련중심 부모교육, 이 숙, , 2002

      9. Education for child rearing, Brim, Orville Gilbert, Russell Sage Foundation, , 1959

      10. Handbook on parent education, Fine, Marvin J, Academic Press, Handbook on Parent Education, , 1980

      1. 부모교육, 한국행동과학연구소, , 1983

      2. Parenteducation, Perou.R, Lesesne.C, Smith.C, , 2002

      3. Parent involvement, Shearer, , 1997

      4. 유아교육사전, 한국유아교육학회, 한국사전연구사, , 2006

      5. Betweenparentandchild, Hunt, , 1964

      6. 한국 가족의 심리, 김재은, , 1987

      7. Active Parenting Handbook, Popkin, , 1983

      8. 훈련중심 부모교육, 이 숙, , 2002

      9. Education for child rearing, Brim, Orville Gilbert, Russell Sage Foundation, , 1959

      10. Handbook on parent education, Fine, Marvin J, Academic Press, Handbook on Parent Education, , 1980

      11. Motivating students to learn, Brophy, Jere E, McGraw-Hill, , 1998

      12. 현대사회의 부모교육, 김명희, , 1997

      13. Parent Effectiveness Training, Gordon, T., Parent Effectiveness Training, , 1970

      14. (유아를 위한)부모교육, 이은화, 동문사, , 2000

      15. Learning to be Parent: Principle, Harman, Brim, , 1980

      16. 부모교육의 이론과 실제, 유안진, 동문사, , 2003

      17. Life-span development; Psychology, Simons, Irwin, , 1994

      18. 부모교육 : 부모역할의 이해, 정옥분, 양서원, 부모교육: 부모역할의 이해, , 2000

      19. 학업동기: 이론, 연구와 적용, 김아영, 학업동기 이론 연구와 적용, , 2010

      20. Adult education in developing countries, Townsend Coles, Edwin Keith, Pergamon, , 1977

      21. The Second Handbook on Parent Education, Fine, , 1980

      22. 한국 청소년의 학업동기 발달, 김아영 ( Ah Young Kim ), 한국심리학회, "한국심리학회지, , 2008

      23. Self-regulationandacademicprocrastination, S?necal, Koestner, Vallerand, , 1995

      24. 한국사회의 교육열 : 기원과 심화, 오욱환, 교육과학사, , 2002

      25. 예비입양부모 교육 프로그램 개발, 변미희 ( Mi Hee Byun ), 정혜선 ( Hae Sun Chung ), 한국가족복지학회, , 2006

      26. 자기결정성이론과 현장 적용 연구, 김아영 ( Ay Young Kim ), 한국교육심리학회, "교육심리연구, , 2010

      27. Parent effectiveness training instructor's guide, Linda, , 1989

      28. The practice and theory of individual psychology, Adler, , 1963

      29. Applying educational research : a practical guide, Gall, Joyce P, Pearson/Allyn and Bacon, , 2005

      30. The psychosocial origins of achievement motivation, DAndrade, Rosen, , 1959

      31. 부모역할훈련 [Parent Effectiveness Training], 이훈구, Gordon, , 2002

      32. The paramorphic representation of clinical judgment, Hoffman, , 1960

      33. The support of autonomy and the control of behavior, Deci, Ryan, , 1987

      34. 부모교육 프로그램에 관한 비교 연구 /, 김정옥, 배나래, 대구대학교 사회복지연구소,, "사회복지연구, , 2004

      35. Why we do what we do : understanding self-motivation, Deci, Edward L, Penguins Books, , 1996

      36. Parental involvement and student' academic achivement:, Fan, Chen, , 2001

      37. Intrinsic and extrinsicmotivation: A hierarchical model, Rattlle, Vallerand, Intrinsic and Extrinsic Motivation: A hierarchicalmodel, , 2004

      38. Parent's handbook (A part of the complete STEP Program), McKay, Dinkmeyer, Parents' handbook (A part of the complete STEPProgram), , 1976

      39. Thedynamicsofintrinsicand extrinsicmotivation in schools, Ryan, The dynamics of intrinsic and extrinsic motivation in schools, , 2003

      40. 자기 결정성 학습동기 이론의 교육적 적용, 최병연, 고려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교육문제연구, , 2002

      41. Self-determination theory applied to educational settings, Reeve, , 2004

      42. 예비부모교육 프로그램의 구성과 적용효과, 김정미, , 2004

      43.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공감척도 타당화 연구, 조용주, , 2010

      44. 학업동기 및 부모행동과 학업성취도의 관계, 임은미, , 1998

      45. A motivational approach to self: Integration in personality, Ryan, Deei, , 1991

      46. 학교생활에서 인성교육의 중요성과 부모역할, 최혜영, 한국국민윤리학회, "윤리연구, , 2001

      47. Intrinsic motivation and self-determination in human behavior, Deci, Edward L, Plenum, , 1985

      48. 부모 학습기술향상 교육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남경인, 명지대학교 대학원, 명지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2010

      49. 부모교육 프로그램에 관한 최근 연구 동향 분석, 서지영, 윤기영, 서원대학교 교육연구소, "교육발전, , 2001

      50. 학습동기 [Motivation to learn: From theory to practice 3/E], Stipek, 최병연, 전성연, , 1999

      51. 메타분석을 통한 부모교육 프로그램의 효과연구, 정혜선, 全州大學校, 메타분석을 통한 부모교육 프로그램의 효과 연구, , 2002

      52. Psychological needs and the facilitation of integrative processes, Ryan, , 1995

      53. Toward a hierarchical model of intrinsic and extrinsic motivation, Vallerand, , 1997

      54. 자기결정성이론을 토대로 한 학습상담 전략 탐색, 이민희, , 2009

      55.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의 양육행동 척도개발 연구, 허묘연, , 2000

      56. 이혼 가정의 자녀를 위한 부모교육 프로그램 개발, 이현정, , 2004

      57. 자기결정성을 토대로 한 학습동기 경로 모형 검증, 정태연, 이민희, , 2008

      58. Motivation in education. Theory, research and applications(2nd ed.), Printrich, P. R, "Motivation in education: Theory, , 2002

      59. 한국 학생의 학업에 대한 흥미: 실태, 진단 및 처방, 김성일 ( Sung Il Kim ), 윤미선 ( Mi Sun Yoon ), 소연희 ( Yeon Hee So ), 한국심리학회, 한국 학생의 학업에 대한 흥미: 실태 진단 및 처방, , 2008

      60. 가정의 과정환경과 학업동기 및 학업성취도의 관계, 김희수, 중앙대학교 대학원, , 2003

      61. 이혼가정 부모교육 프로그램의 개발과 활성화 방안, 황은숙,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박사학위논문, , 2006

      62. A configurational analysis of children’s reports of parent behavior, Shaefer, , 1965

      63. 자율성지지 기본적 욕구 및 심리적 안녕감과의 관계, 안도희, 박귀화, 정재우, , 2008

      64. Autonomy support as an interpersonal motivating style: Is it teachable, Reeve, , 1998

      65. Parent education encyclopedia of educational research Vol. 3. (5th Ed.), Becher R.M, , 1982

      66. Evidence-based parent involvement interventions withschool-aged children, Fishel, Ramirez, , 2005

      67. 아동발열관리에 대한 부모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정용선, , 2011

      68. Academic intrinsicmotivation in elementary and junior highschool students, Gottfried, Academic intrinsic motivation in elementary and junior high schoolstudents, , 1985

      69. 사회교육기관의 부모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일연구, 정인오,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사회교육기관의 부모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일 연구, , 1993

      70. Internalization whthin the family: Theself-determination theory perspective, Ryan, Grolnick, , 1997

      71. 부모의 학습관여 형태가 자녀의 학업동기에 미치는 영향, 김종덕,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부모의 학습관여형태가 자녀의 학업동기에 미치는 영향, , 2001

      72. 스포츠 활동을 통한 부모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검증, 장남제, 고려대학교 대학원, , 2010

      73. An overview of self-determination theory: An organismicdialectical perspective, Ryan, Deci, , 2002

      74. 남녀대학생의 부모기 준비 교육프로그램 개발 및 참여효과, 이경희, 한국아동학회, "아동학회지, , 2006

      75. 마음의 작동법: 무엇이 당신을 움직이는가 [Why we doWhat we do], 이상원, Flaste, Deci, , 2011

      76. 학습에 대한 흥미와 내재동기 증진을 위한 학습환경 디자인, 윤미선, 김성일, 한국교육방법학회, "교육방법연구, , 2004

      77. 부모의 교육 참여와 중·고등학생 자녀의 학업동기간의 관계, 박석철, , 2006

      78. Parent styles associated with children's self-regulation and competence in school, Ryan, Grolnick, Parent styles associated with children's self-regulationand competence in school, , 1989

      79. 시설청소년을 위한 예비부모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검증, 강기정, 배은숙,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 , 2008

      80. A cognitive developmental approach to the effects of rewardson intrinsic motivation, Danner, Lonky, , 1981

      81. 부모놀이치료를 이용한 대학생 예비부모교육 프로그램의 효과, 임원신, 장미경, 한국생활과학회, "한국생활과학회지, , 2004

      82. 고교생이 지각한 어머니의 촉진적 의사소통과 학업성취의 관계, 임은미, 서울대학교 대학원, , 1991

      83. 가정환경과 지능발달 및 학업성취도의 관계에 관한 종단적 연구, 윤경희, , 1999

      84. 자기결정이론을 근거로 한 부모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검증, 정교영 ( Gyo Young Jeong ), 신희천 ( Hee Cheon Shin ), 한국심리학회, 아주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2011

      85. 유아의 창의성 증진을 위한 부모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검증, 김경은, 고려대학교 대학원, 고려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2007

      86. 중학생의 부모 학습관여 지각과 교과흥미 및 교과 성적과의 관계, 윤미선, 홍창용, , 2006

      87. 새터민 아동,청소년의 적응력향상을 위한 부모교육프로그램 개발, 최대헌 ( Dae Hyeun Choi ), 이인수 ( In Soo Lee ), 김현아 ( Hyun Aha Kim ), 한국아동교육학회, , 2007

      88. 가족여가부모교육 프로그램개발-청소년 자녀의 부모를 대상 으로-, 한상금, 가족여가부모교육 프로그램 개발: 청소년 자녀의 부모를 대상으로, , 2006

      89. Agency and organization: Intrinsic motivation autonomy, and self inpsychology development, Ryan, "Agency and organization: Intrinsic motivation autonomy, , 1993

      90. Inner resources for school achievement:Motivators children's perceptions of their parents, Ryan, Grolnick, Deci, , 1991

      91. Choice, evaluation, and opportunitres for success: Academic motivation ofKorean adolescents, Bong, "Choice, , 2003

      92. 청소년 게임중독 예방을 위한 부모교육프로그램의 개발 및 효과검증, 장미경 ( Mi Kyung Jang ), 한국심리학회, "한국심리학회지, , 2011

      93. 학습코칭 부모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평가 : 학령기 가족을 중심으로, 노명숙, , 2009

      94. Mixed Methods and the politics of human research: Thetransformative-emancipatory perspective, Mertens, , 2003

      95. 발달 장애아 어머니의 양육행동 변화를 위한 부모교육 프로그램 개발, 최인경, 전남대학교 대학원, 전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2008

      96. 부모의 학습지원행동과 초·중학생의 학업동기 및 학업성취도의 관계, 문은식, 김충회, 한국교육심리학회, , 2003

      97. 자기결정성 및 부모의 학습지원 행동과 학습전략 및 학업성취의 관계, 김민수, 전북대학교 대학원, 자기결정성 및 부모의 학습지원행동과 학습전략 및 학업성취의 관계, , 2006

      98. 자기결정성이론에 근거한 한국형 기본 심리 욕구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이명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 2008

      99. A dark side of the American dream: Correlates of financial success as a central life aspiration, Kasser, Ryan, , 1993

      100. 가정내 영유아 안전사고 분석을 통한 부모안전교육 프로그램 개발 연구, 강성희,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2003

      101. 유아의 통합적 창의성 증진을 위한 부모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효과 검증, 김용수, 유아의 통합적 창의성 증진을 위한 부모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검증, , 2010

      102. Role of parent motivational practices in children's academic intrinsic motivation and achievement, Fleming, Gottfried, Role of parent motivationalpractices in children's academic intrinsic motivation and achievement, , 1994

      103. The “what” and “why” of goal pursuits: Human needs and the self-determination of behavior, Deci, E. L., "The ""what"" and ""why"" of goal pursuits: Human needs andthe self-determination of behavior", , 2000

      104. Leaders Resource Guide: Systematic Training for Effective Parenting (STEP) of Children Under Six kit, Dinkmeyer, Macay, , 1997

      105. Effects of teacher practices of parent involvement on change in studentachievement in reading and math, Epstein, , 1991

      106. 효율적인 부모역할훈련이 어머니의 양육태도와 언어통제유형에 미치는 영향, 여혜련, 유연옥, 한국아동교육학회, "아동교육, , 2004

      107. 청소년 부모교육 프로그램 개발연구: 평생 교육적 접근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장희양, , 2005

      108. Family factors related to children's intrinsic/extrinsic motivational orientation and academic performance, Bronstein, Ginsburg, , 1993

      109. 초등학생 자녀의 인터넷 사용지도를 위한 부모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연구, 류경희 ( Kyung Hee Ryu ), 대한가정학회, "대한가정학회지, , 2010

      110. 유아교육을 위한 부모교육 및 부모참여에 관한 연구: 서울시내유치원을 중심으로, Nandini,S., , 1981

      111. 보호시설 청소년 미혼모의 학습된 무기력 감소를 위한 예비부모교육 프로그램 개발, 지수연, 명지대학교 대학원, , 2011

      112. Self-determination theory: A dialecticalframework for understanding sociocultural influences on students motivation, Ryan, Deci, Reeve, , 2004

      113. 부모-자녀 의사소통 및 기본 심리적 욕구 척도 개발을 통한 청소년 안녕감 설명 변인 연구, 김현주, 김현주, 忠南大學校 大學院, 부모-자녀 의사소통 및 기본심리적 욕구 척도개발을 통한 청소년 안녕감 설명 변인 연구, , 2010

      114. 창의성 부모교육 프로그램개발 및 적용: 부모의 인지적,정의적 특성과 양육태도를 중심으로, 전정희 ( Chung Hi Chun ), 한국아동교육학회, 창의성 부모교육 프로그램개발 및 적용: 부모의 인지적·정의적 특성과양육태도를 중심으로, , 2008

      115. 유아기 자녀를 둔 다문화가족 부모자녀관계 증진을 위한 부모교육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성 연구, 김리진 ( Lee Jin Kim ), 김경은 ( Kyung Eun Kim ), 민성혜 ( Sung Hye Min ), 한국아동학회, 유아기 자녀를 둔 다문화가족 부모자녀관계 증진을 위한부모교육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성 연구, , 2011

      116. 이혼재판절차 중 부모교육프로그램의 효과: 이혼부모역할에 대한 인식과 이혼조정효과를 중심으로, 김재연, , 2005

      117. Motivating learning, performance, and persistence: The synergistic effects of intrinsic goal contents and autonomy- supportive contexts, Lens, Sheldon, Simons, Vansteenkiste, Deci, "Motivatinglearning performance, , 2004

      118. 지각된 부모의 학업지원, 성취기대, 일상통제가 학업성취 수준에 따라 자기결정성 동기에 미치는 영향, 신종호 ( Jong Ho Shin ), 김연제 ( Yeon Je Kim ), 진성조 ( Seong Jo Jin ), 한국교육심리학회, "지각된 부모의 학업지원 성취기대, , 2010

      119. 애니어그램을 활용한 의사소통 부모교육 프로그램이 의사소통, 양육태도 및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효과, 황정희, 애니어그램을 활용한 의사소통 부모교육 프로그램이 의사소통 양육태도 및자아존중감에 미치는 효과, , 2008

      120. Self-efficacy, attribution, andoutcome expectancy mechanisms in readingand writing achievement: Grade-level andachievement-level differences, 새천년민주당, "Self-efficacy, , 1995

      121. 자기결정성 이론에 근거한 부모훈련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연구: 파괴적 문제행동을 지닌 임상군 아동을 중심으로, 이혜란, , 2013

      122. "자녀의 힘을 북돋우는 부모" 프로그램이 어머니와 자녀에게 미치는 효과 : 어머니의 역할만족, 의사소통 및 자녀의 자아존중감, 사회적 능력을 중심으로, 김향은, 김향은, 고려대학교, "자녀의 힘을 북돋우는 부모 프로그램이 어머니와 자녀에게 미치는 효과: 어머니의 역할만족 의사소통 및 자녀의 자아존중감, , 1999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