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SCOPUS

      새만금간척지에서 뚱딴지(Helianthus tuberosus L.) 재배시 염류 특성 변화 및 적정 자원 선발 = The Selection of Proper Resource and Change of Salinity in Helianthus tuberosus L. Cultivated in Saemangeum Reclaimed Tidal Land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545594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2016년 한국에서 재배 및 유통되고 있는 뚱딴지 12점을 수집하여, 새만금간척지에 재배하였다. 간척지 적응성을 검토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1. 뚱딴지를 간척지에 재배하...

      2016년 한국에서 재배 및 유통되고 있는 뚱딴지 12점을 수집하여, 새만금간척지에 재배하였다. 간척지 적응성을 검토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1. 뚱딴지를 간척지에 재배하였을 때, 간척지 특성상 0.3% 이상일 때 밭작물 재배가 어려운데, 개화 전 8월 가뭄으로 인하여 토양 염농도가 전체적으로 0.3%이상 올라갔음에도 초장 및 수량으로 보았을 때 높은 염농도에 대한 적응성이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2. 개화기 무렵 꽃이 50%이상 피었을 때 뚱딴지 초장을 조사한 결과 WY3와 WI1가 207 cm, 202 cm로 가장 컸으며 WG1, WH1, PS1 144 cm, 139 cm, 131 cm로 가장 작았다.
      3. 11월 뚱딴지를 수확하여 수량을 확인한 결과 흰색 뚱딴지는 WG1이 549 kg/10 a, WH1이 477 kg/10 a로 가장 많은 수량을 나타내었으며, 자색 뚱딴지에서는 PY4와 PY1이 각각 10 a당 615 kg, 584 kg로 우수한 수량을 보였다.
      4. 수집한 뚱딴지 12점의 이눌린 함량을 분석한 결과 PY1이 33.9 g/100 g으로 가장 많은 이눌린 함량을 보였으며, 다음으로 D2가 33.7 g/100 g으로 많았다
      결론적으로 내염성이 우수한 뚱딴지가 간척지에서도 적응할 수 있는 것으로 판단되며, 수집 뚱딴지 중 흰색은 수량 및 이눌린함량을 고려하여 G1이 간척지에 적합할 것으로 보이며, 자색은 Y1이 이눌린함량이 두 번째로 많지만, 수량과의 관계를 고려할 때 간척지에서 재배하는데 더 적합한 것으로 판단된다. 각각 색깔별로 우수한 뚱딴지 2점을 가지고 내염성 및 간척지 재배법에 대한 연구가 더욱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BACKGROUND: Soil salinity of reclaimed tidal land in Korea is highly important factor. High salinity is harmful to crop productivity. Jerusalem artichoke (Helianthus tuberosus L.) is known to be salt-tolerant and has high adaptability to diverse pedo-...

      BACKGROUND: Soil salinity of reclaimed tidal land in Korea is highly important factor. High salinity is harmful to crop productivity. Jerusalem artichoke (Helianthus tuberosus L.) is known to be salt-tolerant and has high adaptability to diverse pedo-climatic conditions.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assess the changes of soil properties and crop productivity according to salt concentration in the reclaimed tidal lands.
      METHODS AND RESULTS: Experimental sites were selected at Saemangeum (35°46’N, 126°37’E) reclaimed tidal land, and their dominant soil series were Munpo (coarse loamy, mixed, non-acid, mesic, typic Fluvaquents). H. tuberosus L were collected from 12 locations across Korea. Tubers were planted at 75×25 cm with EC 2 to 7 dS m<sup>-1</sup>. Soil samples were periodically collected from both 0~20 cm and 20~40 cm depths of each site. Soil salinity and soil moisture contents were varied depending on weather conditions. Soil electrical conductivity varied from 1.0 to 5.9 dS m<sup>-1</sup>, and soil moisture contents varied from 9.2 to 28.7%. The white-colored tubers of H. tuberosus L. collected from `Yeongwol-gun’exhibited the highest height (207 cm), followed by the white-colored tubers of H. tuberosus L. collected from‘Iksan-si’(202 cm). The white-colored tubers of H. tuberosus L. collected from ‘GyeongJu-si’showed the highest yield (549 kg/10a). The purple-colored tubers of H. tuberosus L. collected from ‘Yeongwol-gun’showed the highest yield (615 kg/10a).
      CONCLUSION: Our results indicate that the plant height and tuber yield did not appear to be correlated. Considering yield and inulin content, the GyeongJu-si seemed to be suitable as the white-colored tubers of H. tuberosus L. and the Yeongwol-gun seemed to be suitable as the purplecolored tubers of H. tuberosus L. in the reclaimed tidal lands. However, it is necessary to consider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inulin content and the yield.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