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6년 11월 소상공인진흥공단에서 발표한 소상공인시장 경기동향조사 자료에 의하면 소상공인 11월 체감경기 BSI는 67.7P로 전월대비 8.9P 하락하고 업종별 11월 체감경기 BSI도 모든 업종에서 전...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T14407465
서울 : 국민대학교 글로벌창업벤처대학원, 2017
학위논문(석사) -- 국민대학교 글로벌창업벤처대학원 , 창업학전공 , 2017. 2
2017
한국어
658.11 판사항(23)
서울
Study on the Moderation Effect of the Governmental Supporting System on the Small Business Performance
ⅸ, 90 p. ; 26 cm
지도교수 : 황보윤
참고문헌: p. 76-78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2016년 11월 소상공인진흥공단에서 발표한 소상공인시장 경기동향조사 자료에 의하면 소상공인 11월 체감경기 BSI는 67.7P로 전월대비 8.9P 하락하고 업종별 11월 체감경기 BSI도 모든 업종에서 전...
2016년 11월 소상공인진흥공단에서 발표한 소상공인시장 경기동향조사 자료에 의하면 소상공인 11월 체감경기 BSI는 67.7P로 전월대비 8.9P 하락하고 업종별 11월 체감경기 BSI도 모든 업종에서 전월대비 하락하였다. 12월 체감경기도 스포츠 및 오락관련 서비스업을 제외한 모든 업종의 12월 체감경기는 하락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어 영세한 소상공인으로서는 더 불안한 현실이다.
2008년 세계금융위기 이후에 경영악화를 겪는 소상공인들을 위한 다양한 정부지원제도들이 실시되고 있지만 소상공인들의 창업 실패율은 여전히 높은 실정이다. 특히, 청년실업과 조기퇴직자들이 늘어감에 따라 준비되지 않은 상태에서 취업대신 1인기업 창업 등 소규모 창업으로 소상공인 업체 수는 증가하고 있으나, 소상공인의 성공률은 낮기 때문에 소상공인에 대한 정부지원제도가 효율적으로 지원될 수 있도록 다양한 연구가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소상공인 특성상 정부지원제도는 소상공인 핵심성공 요인인 경영자의 특성, 마케팅 차별성, 고객지향성이 소상공인의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해 보고 핵심성공요인이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 정부지원제도의 변인으로 경영자금지원제도, 교육지원제도, 경영컨설팅지원제도, 전문가상담지원제도가 조절효과를 갖는지 확인하였다. 또한, 정부지원제도를 받은 소상공인과 받지 않은 소상공인 간에는 정부지원제도의 변인들이 어떠한 영향을 미쳤는지 실증분석을 통해 알아보았다.
본 연구의 실증분석은 서울시에서 사업체를 운영하고 있는 소상공인 경영자를 대상으로 200부를 설문하여 유효하지 않은 자료를 제외한 168명의 유효한 자료를 바탕으로 설문지의 데이터 코딩을 거쳐 SPSS ver 19.0을 사용하여 통계적 자료처리를 실시하였다. 통계분석 방법은 인구통계적 요인에 대해서는 빈도분석, 타당성 분석을 위해 요인분석과 상관분석, 신뢰도 검증을 위해 Cronbach's Alpha값을 사용하였고, 측정변수에 대한 분포는 기술통계분석을 실시하였으며 가설의 검증을 위해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실증분석 결과 경영자의 특성에서 혁신성이 경영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마케팅적 차별성에서는 경영성과에 영향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고객지향성에서 고객관의 관계는 경영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부지원제도의 조절효과 부분에서 경영자금지원제도와 교육지원제도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 반면, 경영컨설팅지원제도와 전문가상담지원제도는 마케팅 차별화에 영향을 미쳐 소상공인의 경영성과에 조절효과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부지원제도를 이용한 소상공인과 이용하지 않은 소상공인간의 차이분석에서도 경영자금지원제도와 교육지원제도는 차이가 없었으나 경영컨설팅 지원과 전문가 상담지원을 받은 집단은 마케팅 차별화가 경영성과에 영향을 미치고, 받지 않은 소상공인은 경영자특성이 경영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얻은 결과와 시사점은 첫째, 소상공인 경영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경영컨설팅 지원제도와 전문가 상담지원제도는 더욱 활성화 시키는 방안을 마련하여야 하고 영세한 소상공인의 현실에 맞게 경영자금 지원제도는 절차를 간소화 할 수 있어야하고, 본 연구 대상자들의 나이가 40대 이상인 시니어 소상공인이 88.6%를 차지하고 있어 소상공인들에게 연령별, 창업단계에 맞춤 교육이 실효성을 거둘 것으로 사료되며, 정부지원제도에 대해서 소상공인 경영자에게 적극적인 홍보가 더 필요하다. 둘째, 소상공인 경영자특성에서 혁신성과 진취성은 경영성과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사실에 입각하여 Entrepreneurship(창업가정신)이 기업을 미래의 위험에 대비하고 창조적 시스템을 개발하여 기업을 지속 성장시키며 고용창출을 해나갈 수 있도록 정부지원제도를 개발할 필요성이 있다.
목차 (Table of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