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이종골 이식을 동반한 지르코니아와 타이타늄 임플란트의 골유착에 관한 연구 = On the osseointegration of zirconia and titanium implants installed at defect site filled with xenograft material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092780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연구 목적: 본 연구에서는 외과적으로 형성한 골 결손부에 이종골 이식과 함께 식립한 지르코니아 임플란트의 골유착에 대한 기계적 안정성과 조직학적 반응을 타이타늄 임플란트와 비교하...

      연구 목적: 본 연구에서는 외과적으로 형성한 골 결손부에 이종골 이식과 함께 식립한 지르코니아 임플란트의 골유착에 대한 기계적 안정성과 조직학적 반응을 타이타늄 임플란트와 비교하고자 하였다. 연구 재료 및 방법: 6마리 돼지의 경골에 인위적으로 형성한 골 결손 부위에 대조군인 18개의 상용 타이타늄 나사형 임플란트와 실험군인 18개의 샌드블라스팅한 지르코니아(Y-TZP) 나사형 임플란트를 각각 식립하고 차폐막을 이용하여 이종골을 이식하였으며 1주, 4주, 12주후에 각각 2마리씩 희생시켜 조직 시편을 제작하였다. 식립 직후와 식립 1주, 4주, 12주 후에 각각 페리오테스트를 이용하여 임플란트의 안정성을 측정하였고, 광학현미경으로 조직학적 관찰과 조직계측학적 분석을 하였으며 주사전자현미경으로 임플란트의 표면 특성과 골-임플란트 계면을 관찰하였다. 결과: 페리오테스트를 이용한 임플란트 안정성 분석 결과, 대조군과 실험군 사이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고, 조직학적 분석 결과, 각 군 모두 4주에 이식골의 재흡수와 조골세포의 활발한 활동에 의해 신생골이 형성되기 시작하였다. 골-임플란트 접촉률 분석 결과, 대조군과 실험군 사이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P<.05), 특히 4주와 12주에서 실험군과 대조군 사이에 2시점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5). 골 면적률 분석 결과, 대조군과 실험군 사이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주사전자현미경 관찰 결과, 대조군은 균일한 다공성의 거친 표면을 나타냈고 실험군은 무정형 입자들이 불규칙하게 산재된 표면을 보여 주었다. 각 군 모두 4주에 임플란트 표면과 골 조직 사이에 빈 공간이 관찰되었고 12주에는 일부 공간에서 골 조직으로 채워진 양상을 보였다. 결론: 차폐막을 이용한 이종골 이식을 동반하는 경우 본 실험에 사용된 지르코니아 임플란트의 골-임플란트 접촉률은 양극산화 표면처리를 한 타이타늄 임플란트에 크게 미치지 못하므로 지르코니아 임플란트의 실용화를 위해서는 표면 처리 방법 등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를 통한 개선이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zirconia implants with titanium implants from the view point of biomechanical stability and histologic response on osseointegration when those were placed with xenograft materials. Materials and method...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zirconia implants with titanium implants from the view point of biomechanical stability and histologic response on osseointegration when those were placed with xenograft materials. Materials and methods: Specimen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the control group was experimented with eighteen titanium implants which had anodized surface and the experimental group was experimented with eighteen sandblasted zirconia (Y-TZP) implants. At the tibias of six pigs, implants were installed into bone defect sites prepared surgically and treated with resorbable membranes and bovine bone. Two pigs were sacrificed after 1, 4 and 12 weeks respectively. Each implant site was sampled and processed for histologic and histomorphometric analysis. The stability of implants was evaluated with a $Periotest^{(R)}$. And the interfaces between bone and the implant were observed with a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Results: In stability analysi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Periotest values of the control group and the experimental group. In histologic analysis with a light microscope after 4 weeks, there was new bone formation with the resorption of bovine bone and the active synthesis of osteoblasts in both groups. In bone-implant contact percentage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both groups (P<.05). In bone area percentage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both groups. In analysis of both groups with a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there was a gap between bone and a surface at 4 weeks and it was filled up with bone formed newly at 12 weeks. Conclusion: When accompanied by xenograft using membrane, bone to implant contact percentage of zirconia implants used in this experiment was significantly less than that of the titanium implants by surface treatment of anodic oxidation. So, it is considered that the improvement of zirconia implant is needed through ongoing research on surface treatment methods for its practical use.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상한, "양극산화에 의한 티타늄 산화막의 표면 특성 및 생체 활성에 관한 연구" 대한치과보철학회 45 (45): 85-97, 2007

      2 송윤석, "알칼리와 열처리에 의한 임플란트의 표면 특성 및 골유착 안정성에 관한 연구" 대한치과보철학회 46 (46): 490-499, 2008

      3 박철, "공진 주파수 분석법에 의한 임플랜트의 안정성 측정에 관한 연구" 대한치과보철학회 41 (41): 182-206, 2003

      4 Piconi C, "Zirconia as a ceramic biomaterial" 20 : 1-25, 1999

      5 Wang S, "The miniature pig: a useful large animal model for dental and orofacial research" 13 : 530-537, 2007

      6 Lim JH, "The effect of various graft materials on the stability of implant and peri-implant tissue response in rabbit tibia" 5 : 41-64, 2001

      7 Nishimoto SK, "The effect of titanium surface roughening on protein absorption, cell attachment, and cell spreading" 23 : 675-680, 2008

      8 Hammerle CH, "The biological effect of natural bone mineral on bone neoformation on the rabbit skull" 8 : 198-207, 1997

      9 Rocchietta I, "Surface-modified zirconia implants: tissue response in rabbits" 20 : 844-850, 2009

      10 Hammerle CH, "Ridge augmentation by applying bioresorbable membranes and deproteinized bovine bone mineral: a report of twelve consecutive cases" 19 : 19-25, 2008

      1 이상한, "양극산화에 의한 티타늄 산화막의 표면 특성 및 생체 활성에 관한 연구" 대한치과보철학회 45 (45): 85-97, 2007

      2 송윤석, "알칼리와 열처리에 의한 임플란트의 표면 특성 및 골유착 안정성에 관한 연구" 대한치과보철학회 46 (46): 490-499, 2008

      3 박철, "공진 주파수 분석법에 의한 임플랜트의 안정성 측정에 관한 연구" 대한치과보철학회 41 (41): 182-206, 2003

      4 Piconi C, "Zirconia as a ceramic biomaterial" 20 : 1-25, 1999

      5 Wang S, "The miniature pig: a useful large animal model for dental and orofacial research" 13 : 530-537, 2007

      6 Lim JH, "The effect of various graft materials on the stability of implant and peri-implant tissue response in rabbit tibia" 5 : 41-64, 2001

      7 Nishimoto SK, "The effect of titanium surface roughening on protein absorption, cell attachment, and cell spreading" 23 : 675-680, 2008

      8 Hammerle CH, "The biological effect of natural bone mineral on bone neoformation on the rabbit skull" 8 : 198-207, 1997

      9 Rocchietta I, "Surface-modified zirconia implants: tissue response in rabbits" 20 : 844-850, 2009

      10 Hammerle CH, "Ridge augmentation by applying bioresorbable membranes and deproteinized bovine bone mineral: a report of twelve consecutive cases" 19 : 19-25, 2008

      11 Jang ES, "Restoration of peri-implant defects in immediate implant installations by Choukroun platelet-rich fibrin and silk fibroin powder combination graft" 109 : 831-836, 2010

      12 Lincks J, "Response of MG63 osteoblastlike cells to titanium and titanium alloy is dependent on surface roughness and composition" 19 : 2219-2232, 1998

      13 Schultze-Mosgau S, "Osseointegration of endodontic endosseous cones:zirconium oxide vs titanium" 89 : 91-98, 2000

      14 Schliephake H, "Mechanical anchorage and peri-implant bone formation of surface-modified zirconia in minipigs" 37 : 818-828, 2010

      15 Kohal RJ, "Loaded custom-made zirconia and titanium implants show similar osseointegration: an animal experiment" 75 : 1262-1268, 2004

      16 Neugebauer J, "Experimental immediate loading of dental implants in conjunction with grafting procedures" 91 : 604-612, 2009

      17 Akimoto K, "Evaluation of titanium implants placed into simulated extraction sockets: a study in dogs" 14 : 351-360, 1999

      18 Yamashita D, "Effect of surface roughness on initial responses of osteoblast-like cells on two types of zirconia" 28 : 461-470, 2009

      19 Langhoff JD, "Comparison of chemically and pharmaceutically modified titanium and zirconia implant surfaces in dentistry: a study in sheep" 37 : 1125-1132, 2008

      20 Scarano A, "Bone response to zirconia ceramic implants: an experimental study in rabbits" 29 : 8-12, 2003

      21 Nyman S, "Bone regeneration using the principle of guided tissue regeneration" 18 : 494-498, 1991

      22 Gahlert M, "Biomechanical and histomorphometric comparison between zirconia implants with varying surface textures and a titanium implant in the maxilla of miniature pigs" 18 : 662-668, 2007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학술지 분리 (기타)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1-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22 0.22 0.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21 0.21 0.353 0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