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일제 강점기 공민과 도입시기 전후 조선의 `공민교육(公民敎育)` 의미 변용에 관한 개념사 연구 = A Study on the Conceptual History of the "Civic Education" in Joseon and Japan with the Introduction of Civic Courses in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18255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메이지 유신 이후 성립된 일본의 `공민교육`이 식민지 조선으로 이식되는 과정에서 발생한 개념적 의미 변용과 식민지 조선으로 이식된 공민교육 개념이 시대적·정치적 변화에 ...

      본 연구는 메이지 유신 이후 성립된 일본의 `공민교육`이 식민지 조선으로 이식되는 과정에서 발생한 개념적 의미 변용과 식민지 조선으로 이식된 공민교육 개념이 시대적·정치적 변화에 따라 어떠한 양상을 보이는지에 대하여 라인하르트 코젤렉의 개념사 연구방법론과 롤프 라이하르트의 의미장을 활용한 개념사 연구이다. 근·현대한국의 공민교육은 일제 강점기에 이식된 근대적 공민교육을 시작으로 하여 현재의 시민교육으로 이어진다. 공민교육의 규범적 의미는 국민주권론에 기반 한 민주적 공민 양성에 있지만, 실제적으로는 국가의 정치적·사회적 이념에 합당한 국민을 구현해 내는 것에 더욱 비중을 둔다. 이렇듯 공민교육은 시대적 환경에서 추구했던 사회적 가치를 반영하기 때문에 시대와 장소에 따라 개념적 함의가 다를 수밖에 없고, 한국의 공민교육 역시 근·현대 사회의 정치사적 변천을 반영하여 시대와 장소에 따른 유의미한 의미 변용을 보인다. 특히 다이쇼데모크라시의 영향을 받은 일본 본토의 공민교육은 자유주의적 공민의 의미가 상당부분 수용되어 있던 반면에 식민지 조선으로 이식된 공민교육은 식민지 정책의 의도가 고스란히 반영된 사실을 확인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와중에서도 공민의 이상적 의미를 토대로 공민교육의 미래적 의미를 자생적으로 선취하여 개념의 `시간화` 양상을 보인다는 점, 그리고 자생적으로 구성된 공민교육의 의미들이 제도권 공민교육과 일정한 대립을 유지하며 개념의 `이념화` 양상을 보인다는 점에서 식민지 조선의 내부에서는 식민지 통치의 의도와는 다른 반의적 의미의 공민교육이 국민주권의 이상적 개념을 토대로 이루어졌다는 점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is conceptual history research on the transformation of the meanings of the concept of `civic education` as `Japanese civic education` established after the Meiji Restoration was transplanted to the colonial Joseon dynasty, and on the changes of ...

      This is conceptual history research on the transformation of the meanings of the concept of `civic education` as `Japanese civic education` established after the Meiji Restoration was transplanted to the colonial Joseon dynasty, and on the changes of the concept of civic education in the political conditions of Joeson dynasty. For this, the research methodology of Reinhart Koselleck and the semantic field of Rolf Lehrhart are used. Current civic education of Korea began with the modern education that was transplanted in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The normative meaning of civic education lies in the development of democratic citizens based on the doctrine of the national sovereignty, but in reality it places greater emphasis on cultivating the citizens loyal to the political and social ideology of the nation. In this way, the civic education reflects the social values pursued in the varying political environments, and the civic education of Korea also has seen the significant modification of its meanings with the political conditions of the modern society. Especially, the education of citizens in the mainland of Japan, which was affected by the Taisho Democracy, largely accepted the notion of libertarian citizens, while civic education transplanted to the colonial Joseon dynasty reflected the colonial policy. However, attention should be paid to the fact that in the civic education of the colonial Joseon was found the ideal concept of national sovereignty, unlike the intention of the colonial rule. The concept of civic education of the time had both the aspect of `time-shaping` by way of autonomously anticipating the future meaning of civic education on the basis of the ideal meaning of citizens, and the aspect of `idealization` that autonomously structured civic education stood in conflict with the institutional civic education.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동아일보, "兩交廢止를 보고 公民校設立運動"

      2 한승연, "해방공간의 ‘국가’ 개념사 연구: 이승만의 국가 개념을 중심으로" 한국정치사상학회 17 (17): 36-75, 2011

      3 고지현, "일상 개념 연구 - 이론 및 방법론의 정립을 위한 소론 -" 한림과학원 (5) : 5-38, 2010

      4 안병식, "오늘의 역사학" 한겨레출판사 1998

      5 Goertz, H J., "역사학이란 무엇인가" 뿌리와이파리 2003

      6 정혜경, "식민지시기 조선 거주 일본인들의 조선농촌진흥교육 -특수사례를 중심으로-" 한국민족운동사학회 (67) : 295-340, 2011

      7 차조일, "사회과 교육과 공민교육" 한국학술정보 2012

      8 김종식, "근대 일본 공민교육의 성립과 청년정책― 1910년 전후 ?岡? 安倍郡을 중심으로 ―" 역사교육연구회 (96) : 195-224, 2005

      9 서울대학교 교육연구소, "교육학용어사전" 배영사 1995

      10 조상식, "교육사상(敎育思想) 연구방법으로서 해석학- 개념과 모형, 한계 그리고 대안" 한국교육사상학회 28 (28): 299-319, 2014

      1 동아일보, "兩交廢止를 보고 公民校設立運動"

      2 한승연, "해방공간의 ‘국가’ 개념사 연구: 이승만의 국가 개념을 중심으로" 한국정치사상학회 17 (17): 36-75, 2011

      3 고지현, "일상 개념 연구 - 이론 및 방법론의 정립을 위한 소론 -" 한림과학원 (5) : 5-38, 2010

      4 안병식, "오늘의 역사학" 한겨레출판사 1998

      5 Goertz, H J., "역사학이란 무엇인가" 뿌리와이파리 2003

      6 정혜경, "식민지시기 조선 거주 일본인들의 조선농촌진흥교육 -특수사례를 중심으로-" 한국민족운동사학회 (67) : 295-340, 2011

      7 차조일, "사회과 교육과 공민교육" 한국학술정보 2012

      8 김종식, "근대 일본 공민교육의 성립과 청년정책― 1910년 전후 ?岡? 安倍郡을 중심으로 ―" 역사교육연구회 (96) : 195-224, 2005

      9 서울대학교 교육연구소, "교육학용어사전" 배영사 1995

      10 조상식, "교육사상(敎育思想) 연구방법으로서 해석학- 개념과 모형, 한계 그리고 대안" 한국교육사상학회 28 (28): 299-319, 2014

      11 정혜정, "개화기 서구 입헌국가학(立憲國家學)의 수용과 국민교육: 천도교 기관지『만세보(萬世報)』를 중심으로" 한국교육철학학회 (49) : 155-178, 2010

      12 박근갑, "개념사의 지평과 전망" 소화 2009

      13 나인호, "개념사란 무엇인가-역사와 언어의 새로운 만남" 역사비평사 2013

      14 동아일보, "각고녀교에도 정치교육개시"

      15 松野 修, "近代日本の公民教育" 名古屋大学出版会 1997

      16 김경혜, "近代 中國의 西洋 敎育制度 紹介" 중국사학회 (75) : 143-167, 2011

      17 동아일보, "軍隊敎育化 文部省에서 計劃中"

      18 동아일보, "眞實의 敎育"

      19 동아일보, "民政黨의 敎育改革案"

      20 동아일보, "朝鮮女子敎育의 缺點"

      21 後藤長治, "朝鮮靑年公民敎科書" 朝鮮公民敎育會 1937

      22 동아일보, "朝鮮敎育問題 七"

      23 동아일보, "朝鮮心朝鮮語 敎科書改正의 眼目"

      24 동아일보, "朝鮮少年運動과 指導者問題"

      25 동아일보, "朝鮮少年軍의 社會的立脚地"

      26 동아일보, "普敎敎科書의 減價"

      27 동아일보, "普敎兒童入學難"

      28 동아일보, "明倫學院規定"

      29 동아일보, "旱害와 退學生 그 對策을 講究하라"

      30 동아일보, "新騎士道 朝鮮少年軍의 進路를 밝힘 二"

      31 松月秀雄, "新制朝鮮公民科提要" 朝鮮印刷 1933

      32 동아일보, "文部省이 選擧革正의 敎化總動員"

      33 片桐 芳雄, "教育から見る日本の社会と歴史" 八千代出版 2008

      34 동아일보, "敎育의 生活化 協成實業學校의 新案"

      35 동아일보, "敎育問題管見 一 實際問題를 爲主로"

      36 동아일보, "指導者와 民衆"

      37 동아일보, "師範敎育 改善調査會"

      38 동아일보, "少年軍의 眞意義"

      39 동아일보, "小, 中學校에 政治敎育獎勵 大體成案成立"

      40 동아일보, "實業補習敎育"

      41 中野 光, "大正自由教育の研究" 黎明書房 1998

      42 斉藤利彦, "大正デモクラシー』と公民科の成立―文部省少壯官僚の公民科論ー" 2 : 64-103, 1983

      43 동아일보, "城津時事懇談"

      44 동아일보, "十日부터 開催될 各都市學官會"

      45 동아일보, "初等學校를 設立하자"

      46 동아일보, "初步敎育과 實業法聖普交의 錯覺"

      47 千葉敬止, "公民教育指導要説" 厚生閣書店 1932

      48 木村正義, "公民教育" 富士房 1925

      49 동아일보, "入學難과 就職難"

      50 동아일보, "人格과 敎育"

      51 동아일보, "中等敎育 實際化"

      52 朝鮮總督府, "中等敎育 公民科敎科書" 朝鮮總督府 1934

      53 동아일보, "一人一話 政治的覺醒"

      54 山崎裕美, "1920年代における文部省の公民教育論" 49 (49): 365-403, 1983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3-29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교육철학 -> 교육철학연구 KCI등재
      2011-03-22 학회명변경 한글명 : 교육철학회 -> 한국교육철학학회
      영문명 : 미등록 -> The Korean Philosophy of Education Society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5-30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The Korean Philosophy of Education Society -> The Korean Journal of Philosophy of Education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1-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75 0.75 0.8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84 0.88 1.27 0.3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