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은 이미 조선기술, 첨단 IT 과학기술을 포함해 각종 스포츠 대회에서 1위를 휩쓸며 세계적으로 유명한 나라가 되었다. 그러나 높아진 국가 위상에도 불구하고 우리의 기부문화는 제...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T12126862
서울 : 한양대학교 공공정책대학원, 2010
학위논문(석사) -- 한양대학교 공공정책대학원 , 사회복지실천 전공 , 2010. 8
2010
한국어
서울
vi, 83 p. : 삽도 ; 26 cm.
국문초록: p. i-ii
Abstract: p. 80-83
부록: 설문지
지도교수: 이희선
참고문헌: p. 71-74
서지적 각주 수록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대한민국은 이미 조선기술, 첨단 IT 과학기술을 포함해 각종 스포츠 대회에서 1위를 휩쓸며 세계적으로 유명한 나라가 되었다. 그러나 높아진 국가 위상에도 불구하고 우리의 기부문화는 제...
대한민국은 이미 조선기술, 첨단 IT 과학기술을 포함해 각종 스포츠 대회에서 1위를 휩쓸며 세계적으로 유명한 나라가 되었다. 그러나 높아진 국가 위상에도 불구하고 우리의 기부문화는 제자리걸음을 걷고 있었다. 하지만 최근 대중매체를 통해 차인표 신애라 부부, 션 정혜영 부부, 기부천사라 불리는 가수 감장훈의 선행이 알려지며 일반인들에게 다양한 기부방법을 제시하고 있다. 그리하여 본 연구는 강력한 정보 소통의 도구인 대중매체가 기부인식과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향후 대중의 기부인식과 태도 변화를 주도할 방안을 탐구해 보고자 한다.
조사는 대중매체를 쉽게 접하는 20대 이상의 경제활동이 가능한, 서울시에 거주하는 남․여를 대상으로 하였고 표집의 편중을 방지하기 위해 남․여 비율을 50:50으로 선정하였다. 남․여 각 106부를 회수해 총 212명의 자료를 가지고 SPSS Ver. 16.0을 사용해 분석하였다.
먼저 기술통계로 조사대상자들의 일반적 특성과 기부관련 특성을 살펴보았고 대중매체가 기부인식 및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상관관계분석(Correlation Analysis) 및 다중회귀분석(Multiple Regression Analysis)을 실시하였다. 그리고 대중매체 및 인구사회학적 요인에 따라 기부인식과 태도에 어떤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 T-test와 일원변량분석(one-way anova)을 진행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중매체가 기부인식과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면 기부관련 TV프로그램 시청을 제외하고 신문기사 열독(閱讀) 및 인터넷 사이트 이용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일방적인 정보 전달 매체보다 내용을 직접 탐색하는 매체가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볼 수 있다.
둘째, 대중매체에 따라 기부인식과 태도에 나타나는 차이는 모든 요인이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 기부관련 인터넷 사이트 이용정도와 신문기사 열독정도 그리고 TV 프로그램 시청정도 순서로 뚜렷한 차이를 보였다.
셋째, 인구사회학적 요인에 따라 기부인식과 태도에 나타나는 차이는 모든 요인이 유의했으나 특히 학력과 종교가 뚜렷한 차이를 보였다.
연구에서 도출된 시사점을 살펴보면 첫째, 직접적인 모금활동을 위한 TV 프로그램 편성보다 국제이슈, 뉴스, 사설과 같이 객관적 정보를 제공하는 매체가 대중의 기부인식과 태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둘째, 기부인식과 태도는 단순히 정보의 제공 빈도나 시간의 양보다 대중이 메시지에 몰입하는 정도에 따라 달라진다.
셋째, 기부는 여유 있는 집단의 자선행위가 아니라 사회 속에서 다양한 기회를 경험한 집단의 사회적 책임이며, 그들의 솔선수범이 기부문화를 활성화 시킬 수 있다. 이러한 시사점뿐만 아니라 본 연구의 미흡한 부분을 보완할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을 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전통적인 대중매체뿐만 아니라 뉴미디어를 추가 제시할 필요가 있다. 점차 고도화되는 휴대폰 기능과 뉴미디어 출시로 TV시청이나 신문독서 시간이 줄어들고 뉴미디어 이용이 늘고 있다. 이러한 추세에 따라 후속연구는 다양한 미디어 기기를 반영할 필요가 있다.
둘째, 각 매체를 통해 제공되는 정보 컨텐츠의 범위를 다양화해야한다. 본 연구에서 TV매체는 모금 프로그램을, 신문매체는 기부관련 보도나 국제이슈를, 인터넷 매체는 NGO 사이트 이용을 정보 컨텐츠로 제시했다. 하지만, 직접적인 모금 활동이 없더라도 구호 단체 소개 및 지구촌 재난 재해 소식, 엔터테인먼트 프로그램을 통한 스타의 기부활동 등 좀 더 다양한 정보 컨텐츠의 접촉 경험을 설문으로 확대할 필요가 있다.
셋째, 조사대상자를 인구사회학적 요인으로만 분석하기보다 개인의 다양한 경험을 반영해 구성할 필요가 있다. 예를 들어 장기간 해외 거주 경험이 있거나, 주위에 기부 관련 일을 하는 사람이 있거나, 과거 기부 활동에 참여한 경험이 있는 사람을 대상으로 조사가 이루어진다면 그 결과는 향후 미디어 프로파일로서 기부관련 홍보나 광고를 위한 대상자 타겟팅(Targeting)및 매체 컨설팅 자료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후속연구에서는 앞서 말한 부분들 토대로 기부인식과 태도의 변화를 주도 할 수 있는 실증적 연구를 통해 우리 국민들의 기부문화 정착과 활성화를 이루는데 큰 도움이 되는 조사가 실행되었으면 하는 바람이다.
목차 (Table of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