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은 효행을 표창하면서 백성을 교화시키고 이를 근간으로 국가를 운영해 나갔다. 본고에서는 일제강점기 효행표창의 현황과 성격을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효행표창기관의 변화, 일제강...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2056720
2016
Korean
KCI등재
학술저널
401-439(39쪽)
1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조선은 효행을 표창하면서 백성을 교화시키고 이를 근간으로 국가를 운영해 나갔다. 본고에서는 일제강점기 효행표창의 현황과 성격을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효행표창기관의 변화, 일제강...
조선은 효행을 표창하면서 백성을 교화시키고 이를 근간으로 국가를 운영해 나갔다. 본고에서는 일제강점기 효행표창의 현황과 성격을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효행표창기관의 변화, 일제강점기 효행표창현황, 효행 유형을 분석하였다.
첫 번째로 한말 관제개혁 이후 효행표창기관의 변화과정을 살펴보았다. 본래 효행표창은 예조에서 담당하였는데, 1894년 관제개혁이 이루어지면서 종백부로 예조의 업무가 이관되었다. 그러나 종백부는 설치된 지 8개월만에 혁파되었으며, 궁내부 내 장례원으로 담당 사무가 분장되었다. 이후 1905년 궁내부 관제가 개정됨에 따라 장례원이 폐지되고 예식원으로 이관되었으며, 1년 여 만에 예식원이 폐지되고 다시 장례원으로 이관되었다. 1910년 3월에는 궁내부 장례원에서 내부로 이속되었다. 조선시대에 전통적으로 행해지던 효행표창은 일제강점기에 들어서도 여전히 시행되고 있었다.
두 번째로 일제강점기 효행표창 현황에 대해 살펴보았다. 일제강점기에는 조선총독부뿐만 아니라 사회단체와 심지어 개인까지도 전국 각지에서 효행을 표창하는 독특한 상황이 전개되었다. 따라서 표창 주체별로 나눠 이를 살펴보았다. 일제는 조선 병합 직후 조선인들의 반감을 해소시킬 방법이 필요하였다. 이때 일제가 주목한 것은 전통적으로 조선인들에게 강조되어 왔던 유교사상이었고, 그 일환으로 효행의 표창이 대대적으로 이루어졌다. 1920년대에는 유교단체가 급증하게 되었는데, 이는 유교를 기치로 유림들을 앞에 내세워 조선인의 사상을 통제하고자 하였기 때문이었다. 하지만 일제 초기 조선인들의 사상통제에 이용되었던 효행표창은 일제말기 조선총독부의 정책 방향이 전시체제로 바뀜에 따라 그 필요성이 이전보다 줄어들게 되었다. 이는 효행표창이 일본 제국주의의 시책에 따라 변화하는 양상을 보여준다.
세 번째로 효행 유형을 분석하였다. 1910년대 효행 유형은 조선시대의 효행 유형과 크게 다르지 않다. 그러나 1930년대에는 효행 유형의 대부분이 정절과 봉양으로 변화되는 양상을 보이고 있어, 1910년대의 효행 유형이 단지·할고·여묘가 중점이 되는 것과 대비된다. 더불어 표창자명감에 소개된 효자·절부는 정절・봉양을 하기 위해 저축, 근검·근면장려, 잠업교사 등을 했다는 점을 드러내고 있다. 당시 사회정책으로 저축, 근검・근면장려, 잠업 등이 강조되는 상황이었다. 일제는 정책을 충실히 따랐던 사람들을 표창함으로써 일반민들에게 다시 한 번 되새길 수 있었으며, 정책을 충실히 따른 사람에게는 보상이 주어짐을 선전하였다.
일제는 조선인의 사상을 통제하기 위해 유교를 이용하여 인의충효를 활용한 정책을 전개했으며, 그 중 하나가 효행표창이었다. 일제강점 초기의 효행표창은 이러한 일환에서 볼 수 있는 방책이었던 것이다. 그러나 일제강점 말기로 갈수록 전시체제가 전개되는 상황 속에서 효행표창은 더 이상 조선인들을 통제하기 위한 방법으로 적절치 않았던 것으로 보인다.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황성신문"
2 "호남기록문화시스템"
3 금장태, "현대 한국유교와 전통" 서울대학교 출판부 2004
4 "한국역사정보통합시스템"
5 "한국사데이터베이스"
6 국사편찬위원회, "한국사 40" 2000
7 친일반민족행위진상규명위원회, "친일반민족행위관계사료집Ⅲ-일제의 식민통치정책과 협력조선인(1919~1937)-" 도서출판 선인 2008
8 친일반민족행위진상규명위원회, "친일반민족행위관계사료집Ⅰ-조약과 법령-" 도서출판 선인 2007
9 "중외일보"
10 이명화, "조선총독부의 유교정책(1910~1920년대)" 7 : 1993
1 "황성신문"
2 "호남기록문화시스템"
3 금장태, "현대 한국유교와 전통" 서울대학교 출판부 2004
4 "한국역사정보통합시스템"
5 "한국사데이터베이스"
6 국사편찬위원회, "한국사 40" 2000
7 친일반민족행위진상규명위원회, "친일반민족행위관계사료집Ⅲ-일제의 식민통치정책과 협력조선인(1919~1937)-" 도서출판 선인 2008
8 친일반민족행위진상규명위원회, "친일반민족행위관계사료집Ⅰ-조약과 법령-" 도서출판 선인 2007
9 "중외일보"
10 이명화, "조선총독부의 유교정책(1910~1920년대)" 7 : 1993
11 "조선중앙일보"
12 "조선왕조실록"
13 이희환, "조선 말기의 정려와 가문 숭상의 풍조" 17 : 2001
14 류미나, "전시체제기 조선총독부의 유림정책" 한국역사연구회 (63) : 309-341, 2007
15 이정선, "전시체제기 일제의 총동원정책과 ‘內鮮混血’ 문제" 역사문제연구소 17 (17): 217-255, 2013
16 민족문제연구소, "자료소개:朝鮮紳士大同譜" 1 : 1991
17 친일인명사전편찬위원회, "일제협력단체사전-국내 중앙편-" 민족문제연구소 2004
18 지수걸, "일제하 충남 서산군의 ‘관료-유지 지배체제’-「서산군지」(1927)에 대한 분석을 중심으로" 3 : 1999
19 수요역사연구회, "일제의 식민지 지배정책과 매일신보 : 1910년대" 두리미디어 2005
20 성주현, "일제의 식민지 지배정책과 매일신보" 두리미디어 2005
21 정혜정, "일제의 식민지 지배정책과 매일신보" 두리미디어 2005
22 김순석, "일제강점기 「향교재산관리규칙」 연구" 태동고전연구소 33 : 35-59, 2014
23 김명우, "일제 식민지시기 향교 연구" 중앙대학교 대학원 2008
24 최유리, "일제 말기 식민지 지배정책연구" 국학자료원 1997
25 류미나, "일본의 ‘조선 신민화’정책과 유림 동원의 실태" 일본학연구소 31 : 7-42, 2010
26 류미나, "식민지기 조선의 명륜학원" 교육사학회 17 (17): 53-77, 2007
27 류미나, "식민지권력에의 ‘협력’과 좌절― 經學院과 향교 및 문묘와의 관계를 중심으로 ―" 규장각한국학연구원 (36) : 157-191, 2005
28 "시대일보"
29 "매일신보"
30 "동아일보"
31 남금자, "대한제국기 민영휘의 충주 일대 토지 소유와 경영 사례" 한국근현대사학회 (65) : 69-103, 2013
32 "대한매일신보"
33 김영희, "농촌진흥운동을 통한 일제의 농촌통제와 농민의 반응" 한국민족운동사학회 30 : 297-342, 2002
34 심산사상연구회, "김창숙문존" 성균관대학교 출판부 1997
35 "高宗實錄"
36 송병기, "韓末近代法令資料集Ⅰ・Ⅳ・Ⅴ" 국회도서관 1970
37 "經國大典"
38 "純宗實錄"
39 조선총독부, "朝鮮總督府施政二十五周年記念表彰者名鑑"
40 조선총독부, "朝鮮總督府官報"
41 大垣丈夫, "朝鮮紳士大同譜" 朝鮮紳士大同譜發行事務所 1913
42 이순재, "朝鮮王朝官制에 關한 硏究: 宗伯府의 事例를 中心으로" 단국대학교 1972
43 조선총독부, "朝鮮法令輯覽"
44 박주, "朝鮮時代孝子에 대한 旌表政策" 10 : 1998
45 조선총독부 학무국 사회과, "朝鮮の社會事業"
46 강동진, "日帝의 韓國侵略政策史" 한길사 1980
47 대동사문회, "大東斯文會會則"
48 "大典通編"
49 "大典會通"
50 정욱재, "20세기 초 일제협력유림의 경학원 활동-李大榮(1874~1950)을 중심으로-" 고려사학회 (56) : 249-278, 2014
51 김혁, "19세기 김채상 집안의 효자정려 취득과정" 12 : 2004
52 류미나, "19c말~20c초 일본제국주의의 유교 이용과 조선 지배" 동양사학회 (111) : 127-158, 2010
53 김종식, "1919년 일본의 조선문제에 대한 정치과정―인사와 관제개혁을 중심으로―" 한일관계사학회 (26) : 273-302, 2007
54 서영희, "1894~1904년의 政治體制變動과 宮內府" 23 : 1990
55 박주, "18,19세기 東萊府 潁陽千氏 집안의 孝子旌閭 청원 과정 - 『石臺千氏五代六孝古文書』를 중심으로" 한국사학회 (85) : 77-120, 2007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5-05-30 | 학술지명변경 | 한글명 : 한일관계사학회 -> 한일관계사연구 | ![]() |
2005-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3-07-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1.5 | 1.5 | 1.38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1.17 | 1.09 | 1.872 | 0.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