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속적인 교세 감소와 교회 재정의 어려움으로 이중직 목회자가 증가하고 있다. 이중직 목회가 이상적인 것은 아니지만 현재로서는 불가피한 대안이 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중직 목회...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7261395
2020
Korean
KCI등재
학술저널
99-122(24쪽)
0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지속적인 교세 감소와 교회 재정의 어려움으로 이중직 목회자가 증가하고 있다. 이중직 목회가 이상적인 것은 아니지만 현재로서는 불가피한 대안이 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중직 목회...
지속적인 교세 감소와 교회 재정의 어려움으로 이중직 목회자가 증가하고 있다. 이중직 목회가 이상적인 것은 아니지만 현재로서는 불가피한 대안이 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중직 목회자에 대한 성경적, 역사적 고찰과 함께, 이중직 목회자가 겪게 되는 심리적 어려움인 정체성 갈등, 낮은 자존감, 죄책감 등을 중심으로 논의하였다. 정체성과 관련하여 첫 번째 문제가 되는 것은 이중직 목회로의 부르심이 타당한가에 대한 의문이다. 이중직 목회가 성경적으로 신학적으로 충분한 근거가 있는가? 이중직 목회에 부르심을 받았는가 하는 소명의 문제이다. 이중직 목회자가 갖는 또 다른 정체성 문제는 목회와 다른 직업 사이에서 오는 역할에 대한 갈등이다.
많은 이중직 목회자들이 낮은 자존감을 가지고 있다. 그 이유는 교회에서 전적으로 지원하는 전임사역을 하는 목회자들이 이중직 목회자들을 무시하는 경향이 있고, 이중직 목회자들이 섬기고 있는 대부분의 교회가 작기 때문에 교회의 크기가 자존감에 영향을 미친다.
이중직 목회자는 또한 죄책감을 가진다. 재정적으로 어려워 다른 직업을 갖고 일을 하는 것이 목회자 자신이 믿음이 없어 전적으로 하나님을 신뢰하지 못하기 때문이라고 생각하고 죄책감을 느낀다. 이중직 목회자는 자신이 소속한 교단에서 규정해 놓은 이중직 금지 조항을 어기고 있기에 또한 양심의 가책을 가진다. 이중직 목회자는 시간이 많지 않아 영적인 생활도 충분히 하지 못하고, 교인들을 충분히 돌볼 수 없으며, 가족을 잘 돌보지 못하기 때문에 죄책감을 느낀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number of bivocational pastors is increasing due to the continuous decrease in church growth and the difficulty of church finances. While bi-vocational ministry is not ideal, it is now an inevitable alternative. In this paper, along with biblical ...
The number of bivocational pastors is increasing due to the continuous decrease in church growth and the difficulty of church finances. While bi-vocational ministry is not ideal, it is now an inevitable alternative. In this paper, along with biblical and historical considerations of bi-vocational pastors, the psychological difficulties faced by bi-vocationalual pastors, such as identity conflicts, low self-esteem, and guilt were discussed.
The first issue in relation to identity is the question of whether the call to bi-vocational is reasonable. The question is whether the bi-vocational pastor has sufficient grounds for biblical theology, and whether the bi-vocational pastor has been called to the bi-vocational. It is a conflict over one"s role between the ministry of dual-career and other profession.
Many bi-vocational pastors have low self-esteem. The reason for this is that pastors who serve full-time ministry fully supported by the church tend to ignore bi-vocational pastors, and the second seems to come from the size of the church served by bi-vocational pastors.
Bi-vocational pastors feel guilty. It is a lack of faith for pastors to work with other jobs due to financial difficulties, and they feel guilty for not trusting and devoting entirely to God. A bi-vocational pastors feel guilty because they can"t think enough of the church members when they don’t have much time, lack spiritual life, and can"t spend time with his family.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방선기, "크리스천@직장" 도서출판한세 2003
2 김명기, "이중직 목회 허용정책에 대한 고찰" 한국실천신학회 (66) : 561-588, 2019
3 오요셉, "목회자이중직 생활목회를 위한 연대와 협력"
4 조성돈, "목회자의 이중직에 대한 실증 연구 - 목회자 이중직에 대한 설문조사 및 심층인터뷰를 기반하여 -" 한국실천신학회 (49) : 245-268, 2016
5 강춘근, "목회자의 이중직" 38 : 50-69, 2017
6 류호영, "목회자의 소명/사명에 대한 성경-신학적 이해" 한국실천신학회 (49) : 185-217, 2016
7 김한옥, "목회자 이중직에 대한 신학적 조명" 762 (762): 36-39, 2017
8 김승호, "목회자 이중직에 대한 신학적 고찰" 한국실천신학회 (47) : 571-594, 2015
9 Peterson, A., "Working priests: Improving the care for vineyard bivocational pastors" George Fox University 2018
10 Maxwell, J., "What I believe about success"
1 방선기, "크리스천@직장" 도서출판한세 2003
2 김명기, "이중직 목회 허용정책에 대한 고찰" 한국실천신학회 (66) : 561-588, 2019
3 오요셉, "목회자이중직 생활목회를 위한 연대와 협력"
4 조성돈, "목회자의 이중직에 대한 실증 연구 - 목회자 이중직에 대한 설문조사 및 심층인터뷰를 기반하여 -" 한국실천신학회 (49) : 245-268, 2016
5 강춘근, "목회자의 이중직" 38 : 50-69, 2017
6 류호영, "목회자의 소명/사명에 대한 성경-신학적 이해" 한국실천신학회 (49) : 185-217, 2016
7 김한옥, "목회자 이중직에 대한 신학적 조명" 762 (762): 36-39, 2017
8 김승호, "목회자 이중직에 대한 신학적 고찰" 한국실천신학회 (47) : 571-594, 2015
9 Peterson, A., "Working priests: Improving the care for vineyard bivocational pastors" George Fox University 2018
10 Maxwell, J., "What I believe about success"
11 Harper, D., "Vocation"
12 Lindner, C. G., "Varieties of gifts: Multiplicity and the well-lived pastoral life" Rowman & Littlefield 2016
13 Dizon, A. P., "Towards a theology of bi-vocational mission with missiological application to creative access cities" 15 (15): 237-253, 2019
14 Marshall, J. L., "Toward the development of a pastoral soul: Reflections on identity and theological education" 43 (43): 11-29, 1994
15 Bickers, D. W., "The work of bivocational minister" Judson Press 2007
16 McDougall, D., "The many-layered lives of bivocational pastors" 91 (91): 3-5, 2016
17 Flyant, J. W., "The impact of social factors on Southern Baptist expansion 188-1914" 17 (17): 20-31, 1982
18 Gilder, R., "The demands and benefits of the bivocational minister"
19 Underwood, B., "The danger of bivocational ministry"
20 Dorr, L. M., "The bivocational pastor" Broadman Press 1988
21 Bickers, D. W., "The art and practice of bivocational ministry; A pastor’s guide" Beacon Hill Press 2013
22 Stanley, C., "Success God’s way: Achieving true contentment" Thomas Nelson 2000
23 Horowitz, M. J., "Self-identity theory and research methods" 8 (8): 2012
24 Ryken, L., "Redeeming the time: A Christian approach to work and leisure" Baker Books 1995
25 Edward, L. S., "Mission in the early church" Cascade Books. An Alban Institue 2014
26 Riordan, C. M., "How to guggle multiple roles" 2013
27 Miller-McLemore, B. J., "From midterms to ministry: Practical theologians on pastoral beginnings" William B. Eerdmans Publishing Company 2008
28 Hargadon, K., "Difficulties of double identity: Psychotherapist / pastoral counselor" 18 : 29-33, 1983
29 Wilson, E., "Counseling and guilt" Word Publishing 1987
30 Bruce, F. F., "Commentary on the book of Acts" Eerdman Publishing 1986
31 Cooper-White, P., "Braided selves: Collected essays on multiplicity, God, and persons" Cascade Books 2011
32 Brown, P. N., "Bivocational ministry on the rise"
33 Stetzer, Ed, "Bivocational ministry as an evangelism opportunity"
34 Nerger, S., "Bivocational church planters" North American Missions Board of the Southern Baptist Convention 2008
35 Belden, A. C., "Anterior insula volume and guilt: Neurobehavioral markers of recurrence after early childhood major depressive disorder" 72 (72): 40-48, 2015
36 Samushonga, H. M., "A theological refelcetion of bivocational pastoral ministry: A personal reflective account of a decade of bivocational ministry practice experience" 12 (12): 66-80, 2019
37 Helsel, P. B., "A snapshop of bivocational ministry"
38 Gustafson, D. M., "A church history of bivo; Tentmaking from the beginning until now" 91 (91): 8-11, 2016
39 Samushonga, H. M., "A European theological pentecostal perspective to bivocational ministry" 40 (40): 144-159, 2020
40 Stevens, P., "21세기를 위한 평신도 신학" IVP 2001
기독교 대학에서 집단 임팩트(Collective Impact) 활성화를 위한 공학 봉사-학습 개발 및 운영 사례
종교갈등의 극복을 위한 종교평화교육모델의 탐색: 개신교인의 훼불 사건을 중심으로
이혼예방을 위한 결혼전 준비교육에서 헌신(獻身)이 주는 의미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5-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3-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54 | 0.54 | 0.5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58 | 0.59 | 0.655 | 0.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