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QR 코드를 이용한 패션제품의 정보제공에 대한 20대 소비자의 인식과 선호조사 연구 = A Study on Consumer’s Perception and Preference for Providing Information of Fashion Products by Using QR Cod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31177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패션제품에 QR코드를 부착하여 소재와 세탁 등의 전문적 정보의 제공뿐 아니라 기업과 소비자, 소비자와 소비자를 연결하는 기능을 부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기초연구로 QR코드...

      본 연구는 패션제품에 QR코드를 부착하여 소재와 세탁 등의 전문적 정보의 제공뿐 아니라 기업과 소비자, 소비자와 소비자를 연결하는 기능을 부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기초연구로 QR코드 적용 시 요구되는 정보에 대한 소비자의 인식과 선호를 조사하였다. 타 연령대보다 스마트폰 보급률이 높고 1인 가구의 비율이 높아 비대면 정보교환의 필요성이 높을 것으로 생각되는 20대를 대상으로 설문하였다. 현행 라벨을 통한 의류제품의 정보제공 방법에 대해서 개선의 필요성이 확인되었으며 특히 불충분한 정보제공, 전문적인 용어 사용, 세탁 기호의 불확실함이 불만족의 요인이었다. 따라서 다양한 방식으로 많은 정보를 전달할 수 있는 QR코드는 패션제품의 관리 정보제공의 효율적인 대안이 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응답자들은 아웃도어, 패딩, 정장 등의 고관여 의류 상품과 신체에 닿는 언더웨어류에 대해서 자세한 세탁방법, 사용 및 보관 시 유의사항, 소재의 기능성에 대한 정보를 얻고 싶어 했으며 캐주얼웨어, 코트에 대해서는 제품을 활용한 SNS 데일리룩, 제품과 어울리는 다른 상품, 비슷한 아이템의 추천 등 스타일링이나 의복구매 정보를 제공받고 싶어했다. 따라서 QR코드를 이와 같은 다양한 정보 제공을 위한 웹사이트 또는 SNS의 연결수단으로 사용한다면 소비자들의 정보추구 욕구의 충족과 함께 현명한 제품 사용을 도울 수 있을 것이며 초 연결시대 패션제품의 새로운 역할을 부여하는 대안이 될 수 있을 것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resent study explored consumer's perception and preference on providing information of fashion products by using QR code and suggested the possibility for consumer-to-consumer and consumer-to-company connection. A survey was conducted on males an...

      The present study explored consumer's perception and preference on providing information of fashion products by using QR code and suggested the possibility for consumer-to-consumer and consumer-to-company connection. A survey was conducted on males and females in their 20s-a population among whom the rate of smart phone penetration is higher than in any other age group and who tend to exchange information online. The results showed that consumers are dissatisfied with the amount of information, terms of instructions, and ambiguous washing symbols currently provided. Therefore, the study identified the need for better methods of providing information and found that QR code, which is able to deliver high-quality information on fashion products, can be an efficient alternative. Moreover, respondents felt the need for detailed washing instructions, information on handling, and functionality of material on high-involvement fashion products such as outdoor, padding, suit, and underwear worn next to the skin. They also desire styling tips or purchasing information such as SNS OOTD (Outfit Of The Day) utilizing the product, other products that may go well with the one purchased, and similar products on casual wear and coat used on a daily basis. Therefore, QR code used as a link to information web pages or a social network can help consumers to satisfy information needs and to use the products effectively.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S. Y. Choi, "해피랜드 F&C 스마트 미아방지아동복 출시"

      2 김용주, "한국 패션 브랜드 광고의 QR(Quick Response) 코드 활용에 관한 연구 -패션잡지 광고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 (20): 109-119, 2014

      3 신상무, "패션비즈니스 모바일 마케팅의 QR Code 속성이 소비자구매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선행변수연구" 한국패션비즈니스학회 18 (18): 80-94, 2014

      4 Park, I, "지표로 보는 이슈 제98호"

      5 문지애, "의류 행택(Hang-Tag)의 브랜드 관리 모형연구" 한국디자인트렌드학회 (55) : 7-20, 2017

      6 배정연, "스포츠 의류 라벨의 표준화 디자인 제안-시각 정보디자인을 중심으로-" 한국융합학회 8 (8): 243-248, 2017

      7 윤남희, "소매업체의 멀티채널 전략을 위한 QR코드 활용의 탐색적 연구" 한국의류산업학회 16 (16): 730-744, 2014

      8 조윤진, "성별과 연령에 따른 기능성 소재 의류제품 평가기준과 정보원 연구" 한국복식학회 60 (60): 150-161, 2010

      9 박은지, "사례 분석을 통한 QR 코드의 활용방안 연구-물류· 유통분야를 중심으로-" 한국항만경제학회 29 (29): 247-264, 2013

      10 이은별, "기능성 아웃도어 재킷의 행택을 통한 성능정보 제공 현황과 유용성 및 대안연구" 한국의류산업학회 16 (16): 800-810, 2014

      1 S. Y. Choi, "해피랜드 F&C 스마트 미아방지아동복 출시"

      2 김용주, "한국 패션 브랜드 광고의 QR(Quick Response) 코드 활용에 관한 연구 -패션잡지 광고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 (20): 109-119, 2014

      3 신상무, "패션비즈니스 모바일 마케팅의 QR Code 속성이 소비자구매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선행변수연구" 한국패션비즈니스학회 18 (18): 80-94, 2014

      4 Park, I, "지표로 보는 이슈 제98호"

      5 문지애, "의류 행택(Hang-Tag)의 브랜드 관리 모형연구" 한국디자인트렌드학회 (55) : 7-20, 2017

      6 배정연, "스포츠 의류 라벨의 표준화 디자인 제안-시각 정보디자인을 중심으로-" 한국융합학회 8 (8): 243-248, 2017

      7 윤남희, "소매업체의 멀티채널 전략을 위한 QR코드 활용의 탐색적 연구" 한국의류산업학회 16 (16): 730-744, 2014

      8 조윤진, "성별과 연령에 따른 기능성 소재 의류제품 평가기준과 정보원 연구" 한국복식학회 60 (60): 150-161, 2010

      9 박은지, "사례 분석을 통한 QR 코드의 활용방안 연구-물류· 유통분야를 중심으로-" 한국항만경제학회 29 (29): 247-264, 2013

      10 이은별, "기능성 아웃도어 재킷의 행택을 통한 성능정보 제공 현황과 유용성 및 대안연구" 한국의류산업학회 16 (16): 800-810, 2014

      11 문지현, "기능성 소재 스포츠웨어 구입시의 정보이용행태 -의복 및 스포츠 관심의 영향-" 한국의류학회 32 (32): 1814-1824, 2008

      12 김은영, "QR코드 기반 가상패션점포의 지각된 혜택과 위험요소에 대한 탐색적 연구" 한국생활과학회 22 (22): 477-490, 2013

      13 박선주, "QR 코드를 활용한 스마트폰 기반 출석체크 시스템" 한국정보교육학회 18 (18): 325-334, 2014

      14 Park, D, "QR code based Research System for Missing Children" 223-225, 2011

      15 "Moncler"

      16 Heon-Sik Joo, "A Using and comparison of bar code and QR code" 21 (21): 269-270, 2013

      17 Samsungfashion.men, "3040세대 핵심패션 키워드는 '스마트'"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6-03-08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Koean Journal of The Science of Emotion & Sensibility -> Science of Emotion & Sensibility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59 0.59 0.49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5 0.52 0.779 0.1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