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출산연도가 서로 다른 250명의 여성을 대상으로 그들이 실천했던 산후조리의 내용과 수행 형태 등을 분석하여 한국 산후조리의 모습을 파악하기 위하여 이루어졌다. 본 연구는 산...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60210841
2012
Korean
산후조리 ; 세대 ; 전승 ; 신체적 회복 ; 정서적 회복 ; postpartum care ; generation ; transmission ; physical recovery ; emotional recovery
KCI등재
학술저널
217-240(24쪽)
11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출산연도가 서로 다른 250명의 여성을 대상으로 그들이 실천했던 산후조리의 내용과 수행 형태 등을 분석하여 한국 산후조리의 모습을 파악하기 위하여 이루어졌다. 본 연구는 산...
본 연구는 출산연도가 서로 다른 250명의 여성을 대상으로 그들이 실천했던 산후조리의 내용과 수행 형태 등을 분석하여 한국 산후조리의 모습을 파악하기 위하여 이루어졌다. 본 연구는 산후조리와 관련된 설문지를 통한 조사연구로 진행되었다. 설문 문항은 산과적 특성, 산후조리 형태, 신체적 정서적 회복을 위한 실천내용 등에 관한 25문항으로 구성되었다. 그 결과 산후조리의 형태 및 신체적, 정서적 회복을 위한 수행내용에 있어서 세대 간 전승되고 있는 것과 변화를 보이는 것들이 있었다. 예를 들면 무거운 것을 들지 않는 등의 몸 보호를 위한 주의사항은 1세대에서 3세대까지 모든 대상자들이 잘 수행했던 내용이었다. 또한 찬 자극 피하기는 1세대 보다 3세대가 더 잘 수행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울러 정서적 회복을 위한 사항으로는 산모자신이 스스로 마음을 다스리는 방법을 사용하고 있었으며 3세대는 가족이나 외부의 도움을 받아 정서적 회복을 하려는 새로운 움직임도 보였다. 산후조리는 그 사회의 사회적, 문화적 영향을 크게 받는다. 따라서 산후조리에 관한 연구는 각 세대의 사회, 문화적 측면에서의 특성을 이해하는 것이 중요하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hed light on the conditions of postpartum care between generations. Method: This study analyzed the conditions of postpartum care by carrying out a survey targeting 250 women with different birth year who e...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hed light on the conditions of postpartum care between generations.
Method: This study analyzed the conditions of postpartum care by carrying out a survey targeting 250 women with different birth year who experienced postpartum care. The survey consists of 25 questions including the background of birth, the form of postpartum care, the contents of physical and emotional recovery (including food), and the like.
Result and Conclusion: In this study, the form of postpartum care(period, place, assistant) and the contents of physical and emotional recovery show differences between generations. One of the examples of physical recovery, not to life heavy things, is transmitted from generation to generation. Avoiding chilly wind and cold stuff is well conformed by the third generation better than the first generation. Although all of each generation make an effort to relax by themselves, the third generation shows an attempt to receive help from family or others compared with another generations. Postpartum care is under the great influence of social and cultural factors. It therefore might seem that understanding for the characteristics of each generation would be necessary to study postpartum care.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한양명, "한국 産俗의 체계적 이해를 위한 試論" 1999
2 박소월, "출산후 여성의 산후조리 및 산후질병에 대한 인식 조사" 2000
3 김증임, "출산여성의 산후관리수행의 관련요인" 여성건강간호학회 13 (13): 98-104, 2007
4 김은실, "출산문화와 여성" 1996
5 조주연, "출산기 여성의 산후경험" 중앙대학교 대학원 2001
6 金兌勁, "출산경험 여성의 산후관리 중요도, 수행정도 및 건강상태와의 관계 연구" 漢陽大學校 大學院 1998
7 김태경, "출산경험 여성의 산후관리 중요도, 수행정도 및 건강상태와의 관계 연구" 1998
8 이은희, "초산 부부의 임신경험에 관한 연구 : 부모 전환 과정" 서울大學校 大學院 1995
9 강문정, "제주도의 전통적 출산관리에 관한 연구" 모자간호학회 1992
10 서영승, "일개 대도시 산모들의 산후조리 수행" 한국모자보건학회 7 (7): 5-, 2003
1 한양명, "한국 産俗의 체계적 이해를 위한 試論" 1999
2 박소월, "출산후 여성의 산후조리 및 산후질병에 대한 인식 조사" 2000
3 김증임, "출산여성의 산후관리수행의 관련요인" 여성건강간호학회 13 (13): 98-104, 2007
4 김은실, "출산문화와 여성" 1996
5 조주연, "출산기 여성의 산후경험" 중앙대학교 대학원 2001
6 金兌勁, "출산경험 여성의 산후관리 중요도, 수행정도 및 건강상태와의 관계 연구" 漢陽大學校 大學院 1998
7 김태경, "출산경험 여성의 산후관리 중요도, 수행정도 및 건강상태와의 관계 연구" 1998
8 이은희, "초산 부부의 임신경험에 관한 연구 : 부모 전환 과정" 서울大學校 大學院 1995
9 강문정, "제주도의 전통적 출산관리에 관한 연구" 모자간호학회 1992
10 서영승, "일개 대도시 산모들의 산후조리 수행" 한국모자보건학회 7 (7): 5-, 2003
11 강종근, "연령에 따른 산후조리에 대한 인식과 수행정도가 산후풍 발생에 미치는 영향" 대한한방부인과학회 21 (21): 143-166, 2008
12 유은광, "여성의 산후 문화적 요구 : 산후조리의 의미 제고와 현 간호실무적용" 1998
13 유은광, "여성건강을 위한 건강증진행위: 산후조리 의미의 분석" 1993
14 이경혜, "여성건강에 대한 개념분석 연구" 1995
15 고효정, "어머니 역할의 개념분석" 1994
16 권정혜, "심리사회적 요인이 산후우울에 미치는 영향: 산후우울에 대한 스트레스 취약성 모델 검증" 1997
17 허지원, "산후조리의 실태 및 산후조리에 대한 인식조사" 2001
18 유은광, "산후조리원의 역할과 제도 정비를 위한 방안" 한국모자보건학회 2001
19 조결자, "산후조리원의 산모의 신생아 돌보기 교육 요구도와교육 만족도" 2000
20 박심훈, "산후조리원 이용 산모의 산후조리 인지도와 수행도" 2002
21 김소연, "산후조리에 대한 전통․양방․한방적 비교와 한방산후조리원의 운용에 관한 고찰" 2001
22 안숙희, "산후조리 수행과 산후 건강상태간 정준상관관계" 한국간호과학회 35 (35): 37-46, 2005
23 박형숙, "산후조리 개념분석 및 도구 개발" 2001
24 이태균, "산후관리에 관한 문헌적 고찰Ⅱ" 2001
25 김지양, "산후 우울감을 예측하는 심리적 요인 연구:사회적지지, 자아존중감, 스트레스를 중심으로" 한국건강심리학회 13 (13): 111-140, 2008
26 배경미, "문화별 산후조리의 전통과 실재에 대한 고찰" 대한한방부인과학회 22 (22): 231-242, 2009
27 이희승, "국어대사전" 민중서림 1982
28 郭貴連, "韓國의 傳統的 産後調理에 對한 探索的 硏究" 漢陽大學校 行政大學院 1991
29 Fawcett, J., "Spouses' physical and psychological symptoms during pregnancy and the postpartum" 1986
30 Tulman, L, "Changes in functon ststus after childbirth" 1990
31 김주희, "2000년대 도시 여성의 출산문화: 문화변동의 장" 한국문화인류학회 40 (40): 253-286, 2007
32 김주희, "1930-1940년대 출산풍속에 대한 사례 연구"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 10 (10): 17-32, 2006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8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2-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9-04-16 | 학회명변경 | 영문명 : Institute of Asian Culture Studies -> Asian Cultural Studies Research Institute | ![]() |
201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 |
2015-12-01 | 평가 | 등재후보로 하락 (기타) | ![]()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10-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8-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55 | 0.55 | 0.55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58 | 0.56 | 0.974 | 0.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