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다문화 병사의 복무 적응과정에 관한 연구 : 근거이론 방법을 중심으로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5373416

      • 저자
      • 발행사항

        서울 : 중앙대학교 대학원, 2019

      •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박사) -- 중앙대학교 대학원 , 행정학과 행정학전공 , 2019. 8

      • 발행연도

        2019

      • 작성언어

        한국어

      • 발행국(도시)

        서울

      • 기타서명

        (A) study on the service adaptation process of multicultural soldiers : focused on ground theory

      • 형태사항

        vi, 270 p. : 삽화, 도표 ; 26 cm

      • 일반주기명

        중앙대학교 논문은 저작권에 의해 보호받습니다.
        지도교수: 황윤원
        참고문헌수록

      • UCI식별코드

        I804:11052-000000230613

      • DOI식별코드
      • 소장기관
        • 국립중앙도서관 국립중앙도서관 우편복사 서비스
        • 중앙대학교 서울캠퍼스 학술정보원 소장기관정보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kakao i 다국어 번역

      In terms of population structure, the military power of our country has entered a serious danger zone, in addition, ‘low birthrate’ has led not only a decrease in the number of the nation's economically active population, but also a decrease in the number of troops in the military, adding to the seriousness of the problem. The trend of the enlistment of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will soon become an inevitable shift in the military under the circumstance annual average 8,000 men are expected to be enlisted in the army from 2025 to 2031. After all, the seriousness of the problem of a multi-cultural army and a reduction in troop resources in the military organization, the nation's last security base will be serious.
      Therefore, this study reveals how multicultural soldiers are adapting to the military service and categorizes a series of processes on military life adaptation to analyze them in depth. In addition, the researcher conducted the study on military service adaptation of multi-cultural soldier by observing present phenomena as it is with objective view and the neutral attitude rather than the external perspective.
      The ground of research stems from my experiences in military career (professional solder) for many years, which is the reason why I came to be interested in the multicultral soldier’s adaptation process to the military service, which is the ground and starting point of this study.
      This study targeted all 10 soldiers who belong to ‘the army’, their average ages are in their early 20s. In addition, the research targets consist of ‘1 PX sales soldier’ ‘1 firearm maintenance soldier’, ‘6 rifle soldiers’ and ‘2 administrative soldiers', their educational backgrounds were ’2 high school graduates', ‘5 soldiers who attend university’, ‘3 soldiers who attend college’. In addition, the nationalities of their mothers were ‘1 from Japan’, ‘3 from China’ ‘1 from Vietnam’, ‘1 from Taiwan’, ‘1 from Philippines’ ‘1 from Myanmar’, ‘1 from Thailand’ while the nationality of their father shows ‘1 from china’.
      This study shows that the parents of all 10 targets lived in Korea for more than 20 years, while the current state of the domestic economy shows 1 person earning more than 2 million won per month, 5 people earning more than 3 million won per month, 3 people earning more than 4 million won per month, and 1 person earning more than 5 million won per month. When researching "country and period of residence abroad,“ 1 participated in the language program in the Philippines for 1 years, in addition, in terms of ‘family relation‘, the biological father of 1 among 10 was remarried while the biological mother of 1 was remarried, and one has a half brother.
      In order to achieve the principle of saturation proposed by Strauss &Corbin (1998) for their depth interview, this researcher conducted continuous interviews and field records(handwriting) by increasing the frequency of depth interview, selected 10 interviewees by reputational case selection method for interview, recorded the contents of depth interview of study targets in the personal study note while the contents are also handwritten, and the recorded contents are interpreted by verbatim record to form the data collection of this study.
      The results of this study 'Study on Multicultural Soldier's Adaptation to Military Service'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As a result of analysis through depth interview and raw data of the depth interview of the study participants, the basis data categorization of open coding was derived into 100 concepts, 26 subcategories, 14 categories, and the ranges of coding paradigm established in axial coding show 'Communication barriers', 'Prejudice and discrimination' are analyzed as 「causal condition」, ‘unpalatable food’ ‘loneliness’ are analyzed as 「contextual condition」, ‘burden’ ‘physical/mental difficulty’ are analyzed as 「central phenomenon」, ‘challenge’, ‘adaptation to environment’ are analyzed as 「action/interaction」, ‘formation of sense of purpose’ ‘will’ and formation of interpersonal relationship are analyzed as 「arbitration condition」 and 'Hope', 'Power of Faith' and 'Return of Home' are analyzed as 「Result」’
      Also, for the process analysis of axial coding when systematically analyzing the empirical step to the study targets under the condition we recognize the importance about time and space for study target in the stage of action/interaction, the first stage shows ‘unstable and confused’ as 「disorder」, the second stage shows ‘stimulating painful emotion’ as 「suppression」, the third stage shows ‘what am I’ as 「self-identity confusion」, the fourth stage shows ‘coping stress and frustration as 「regression」 and final the fifth stage shows ’other direction and situation change’ as 「conversion」.
      In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derived based on the results of revision, supplement and integration of the concepts created in selective coding and open coding and the relationship revealed in the subcategory structural analysis and the story outline, it shows overcoming the prejudice and setting a new sense of goal after discharge and new hope.
      Therefore, since there exists lack of study related to grounded theory so far in Korea, we can expect this study will provide the theoretical foundation through depth analysis of all the processes about the adaptation to the military life.
      번역하기

      In terms of population structure, the military power of our country has entered a serious danger zone, in addition, ‘low birthrate’ has led not only a decrease in the number of the nation's economically active population, but also a decrease in th...

      In terms of population structure, the military power of our country has entered a serious danger zone, in addition, ‘low birthrate’ has led not only a decrease in the number of the nation's economically active population, but also a decrease in the number of troops in the military, adding to the seriousness of the problem. The trend of the enlistment of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will soon become an inevitable shift in the military under the circumstance annual average 8,000 men are expected to be enlisted in the army from 2025 to 2031. After all, the seriousness of the problem of a multi-cultural army and a reduction in troop resources in the military organization, the nation's last security base will be serious.
      Therefore, this study reveals how multicultural soldiers are adapting to the military service and categorizes a series of processes on military life adaptation to analyze them in depth. In addition, the researcher conducted the study on military service adaptation of multi-cultural soldier by observing present phenomena as it is with objective view and the neutral attitude rather than the external perspective.
      The ground of research stems from my experiences in military career (professional solder) for many years, which is the reason why I came to be interested in the multicultral soldier’s adaptation process to the military service, which is the ground and starting point of this study.
      This study targeted all 10 soldiers who belong to ‘the army’, their average ages are in their early 20s. In addition, the research targets consist of ‘1 PX sales soldier’ ‘1 firearm maintenance soldier’, ‘6 rifle soldiers’ and ‘2 administrative soldiers', their educational backgrounds were ’2 high school graduates', ‘5 soldiers who attend university’, ‘3 soldiers who attend college’. In addition, the nationalities of their mothers were ‘1 from Japan’, ‘3 from China’ ‘1 from Vietnam’, ‘1 from Taiwan’, ‘1 from Philippines’ ‘1 from Myanmar’, ‘1 from Thailand’ while the nationality of their father shows ‘1 from china’.
      This study shows that the parents of all 10 targets lived in Korea for more than 20 years, while the current state of the domestic economy shows 1 person earning more than 2 million won per month, 5 people earning more than 3 million won per month, 3 people earning more than 4 million won per month, and 1 person earning more than 5 million won per month. When researching "country and period of residence abroad,“ 1 participated in the language program in the Philippines for 1 years, in addition, in terms of ‘family relation‘, the biological father of 1 among 10 was remarried while the biological mother of 1 was remarried, and one has a half brother.
      In order to achieve the principle of saturation proposed by Strauss &Corbin (1998) for their depth interview, this researcher conducted continuous interviews and field records(handwriting) by increasing the frequency of depth interview, selected 10 interviewees by reputational case selection method for interview, recorded the contents of depth interview of study targets in the personal study note while the contents are also handwritten, and the recorded contents are interpreted by verbatim record to form the data collection of this study.
      The results of this study 'Study on Multicultural Soldier's Adaptation to Military Service'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As a result of analysis through depth interview and raw data of the depth interview of the study participants, the basis data categorization of open coding was derived into 100 concepts, 26 subcategories, 14 categories, and the ranges of coding paradigm established in axial coding show 'Communication barriers', 'Prejudice and discrimination' are analyzed as 「causal condition」, ‘unpalatable food’ ‘loneliness’ are analyzed as 「contextual condition」, ‘burden’ ‘physical/mental difficulty’ are analyzed as 「central phenomenon」, ‘challenge’, ‘adaptation to environment’ are analyzed as 「action/interaction」, ‘formation of sense of purpose’ ‘will’ and formation of interpersonal relationship are analyzed as 「arbitration condition」 and 'Hope', 'Power of Faith' and 'Return of Home' are analyzed as 「Result」’
      Also, for the process analysis of axial coding when systematically analyzing the empirical step to the study targets under the condition we recognize the importance about time and space for study target in the stage of action/interaction, the first stage shows ‘unstable and confused’ as 「disorder」, the second stage shows ‘stimulating painful emotion’ as 「suppression」, the third stage shows ‘what am I’ as 「self-identity confusion」, the fourth stage shows ‘coping stress and frustration as 「regression」 and final the fifth stage shows ’other direction and situation change’ as 「conversion」.
      In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derived based on the results of revision, supplement and integration of the concepts created in selective coding and open coding and the relationship revealed in the subcategory structural analysis and the story outline, it shows overcoming the prejudice and setting a new sense of goal after discharge and new hope.
      Therefore, since there exists lack of study related to grounded theory so far in Korea, we can expect this study will provide the theoretical foundation through depth analysis of all the processes about the adaptation to the military life.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kakao i 다국어 번역

      우리나라는 인구구조 측면에서 군사력이 심각한 위험 구간에 진입하였으며, 또한, 저 출산은 단순히 국가 경제활동 인구의 감소뿐만 아니라, 우리나라 최후의 안보 보루인 군 조직에서의 병력자원 감소로 이어져 문제의 심각성은 더해가며 곧, ‘다문화 가정 출신 자녀’ 의 군 입대 추세는 2025년부터 2031년 사이에 연 평균 8천여 명이 입대할 것으로 예측됨으로서, 대한민국 국군의 병력 자원은 ‘다문화 군대’ 로 변모하는 것은 불가피한 상항이 될 것이다. 결국 우리나라 최후의 안보 보루인 군 조직에서의 병력자원 감소와 다문화 군대라는 문제의 심각성은 더해갈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다문화 병사가 군(軍) 복무 적응과정을 어떻게 적응해 가고 있는가를 밝히고, 군(軍) 생활 적응에 대한 일련의 과정을 범주화 시켜 심층적으로 분석하는 연구이다. 또한, 본 연구자는 다문화 병사의 군 복무 적응과정 현상에 대한 관점을 외부적 관점의 시각이 아닌, 중립자적 태도를 지녀 객관적 관점을 통해 있는 그대로의 현상과 관찰을 통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이러한 배경에는 과거 군 생활(직업군인) 경험간 다문화 병사의 군 복무 적응과정에 대한 연구 관심을 갖게 된 이유이며, 이것이 본 연구의 배경이자 출발점이다.
      본 연구 대상자의 특성으로는 군(軍)소속은 10명 모두 ‘육군’ 에 소속된 대상자로서 평균 연령은 20대 초반으로 나타났다. 또한, 육군 조직에 소속된 연구 대상자의 직책은 ‘PX판매병 1명’, ‘무기 손질병 1명’, ‘소총수 6명’, ‘행정병 2명’ 으로 구성되었으며, 이들의 학력은 ‘고졸 2명’, ‘대재 5명’, ‘전문 대재 3명’ 이였다. 또한, 연구 대상자들의 ‘모의 출신국적’ 은 ‘일본 1명’, ‘중국 3명’, ‘베트남 1명’, ‘타이완 1명’, ‘필리핀 1명’, ‘미얀마 1명’, ‘태국 1명’ 이며, ‘부의 출신국적’ 은 ‘중국 1명’ 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연구 대상자 10명 모두 ‘부모들의 한국 거주기간’ 은 20년 이상 거주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가정경제 현황’ 으로는 월수입200만 원 이상은 1명, 월수입 300만 원 이상은 5명, 월수입 400만 원 이상은 3명, 월수입 500만 원 이상은 1명으로 각각 나타났다.
      이들의 ‘국외 거주국과 기간’ 을 살펴보면 전체 연구 대상자 중, 1명이 필리핀에서 1년 동안 어학연수 프로그램에 참여한 것으로 분석되었고, 또한 이들의 ‘가족관계’ 측면에서 10명 대상자 중 1명은 친부가 재혼, 1명은 친모가 재혼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복형제를 둔 연구 대상자는 1명으로 조사되었다.
      본 연구자는 이들의 심층면담(depth interview)을 위해 Strauss & Corbin(1998)이 제안한 포화(Saturated)의 원칙을 달성하려 심층면담(depth interview)의 횟수의 빈도를 높여 지속 면접 및 현장기록(필사)을 진행하였으며, 심층면담(depth interview)의 진행에 있어 연구 대상자 10명을 대상으로 연구대상자 선정을 위해서 세평적 사례선택(Reputational Case Selection) 연구방법으로 연구 참여자를 10명 선정하여 연구 대상자의 동의 하, 심층면담(depth interview)내용을 개인용 연구노트를 활용해 현장기록(필사)을 통해 병행 하, 연구 대상자의 면담내용을 녹음기에 담아 녹음을 하여 축어록(verbatim record)으로 풀어 본 연구의 자료 수집을 구성하였다.
      본 연구의 ‘다문화 병사의 군(軍) 복무 적응과정에 관한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이 정리 할 수 있다. 연구 대상자들에 대한 심층면담(depth interview) 진행 결과 원 자료(raw data)를 통해 분석된 결과로 개방코딩(opening coding)의 근거자료 범주화는 100개의 개념, 26개의 하위범주, 14개의 범주가 도출되었으며, 축 코딩(Axial coding)에서 정립한 코딩 패러다임(coding paradigm)은 범주는 「인과적 조건」은 ‘의사소통의 장벽’, ‘편견 및 차별’, 「맥락적 조건」은 ‘식단의 고충’, ‘외로움’, 「중심현상」은 ‘부담감’, ‘체력적/정신적 고충’, 「작용/상호작용」은 ‘도전’, ‘환경의 적응’, 「중재적 조건」, ‘목표의식 형성’, ‘의지’, ‘대인관계 형성’, 「결과」는 ‘희망’, ‘신앙의 힘’, ‘가정의 회귀’로 분석되었다.
      또한, 축 코딩(Axial coding)에서의 ‘과정분석’은 작용/상호작용의 단계에서 도출된 내용을 연구 대상자들에 대한 시간과 공간에 중요성을 인지한 상태에서 연구 대상자들에 대한 경험적 단계를 체계적으로 분석한 결과 1단계 ‘불안정하고 혼란스러움’을「무질서」로, 2단계 ‘고통스러운 정서를 자극’을「억압」으로, 3단계 ‘내가 누구인가?’를 「자아 정체성 혼란」으로 4단계 ‘개인이 느끼는 감정의 생활불안, 욕구불만’의「사회적 불안」으로 마지막 5단계 ‘다른 방향 및 상태의 변화’ 를「적응」의 과정으로 다섯 가지로 분석되었다. 결국, 본 연구의 결과는 선택코딩(selective Coding)과 개방코딩(opening coding)에서 생성되어진 개념과 하위범주 구조분석에 드러난 관계를 연관시켜 수정·보완 및 통합하는 나타난 결과와 이야기 윤곽으로 근거를 기반으로 도출된 결과로 ‘선입견의 색안경을 극복하고 전역 후의 목표의식 설정 및 새로운 희망’ 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는 아직까지 국내 연구에서 다루는 ‘근거이론(Grounded Theory)’ 방법론에 대해서는 현재까지 관련 연구가 미비한 실정으로 ‘다문화 병사’의 경험을 통해, 군(軍) 생활 적응에 관한 일련의 과정들을 심층적으로 분석한 연구의 결과가 제공하는 이론적 토대를 제공할 수 있는 것으로 기대할 수 있다.
      번역하기

      우리나라는 인구구조 측면에서 군사력이 심각한 위험 구간에 진입하였으며, 또한, 저 출산은 단순히 국가 경제활동 인구의 감소뿐만 아니라, 우리나라 최후의 안보 보루인 군 조직에서의 병...

      우리나라는 인구구조 측면에서 군사력이 심각한 위험 구간에 진입하였으며, 또한, 저 출산은 단순히 국가 경제활동 인구의 감소뿐만 아니라, 우리나라 최후의 안보 보루인 군 조직에서의 병력자원 감소로 이어져 문제의 심각성은 더해가며 곧, ‘다문화 가정 출신 자녀’ 의 군 입대 추세는 2025년부터 2031년 사이에 연 평균 8천여 명이 입대할 것으로 예측됨으로서, 대한민국 국군의 병력 자원은 ‘다문화 군대’ 로 변모하는 것은 불가피한 상항이 될 것이다. 결국 우리나라 최후의 안보 보루인 군 조직에서의 병력자원 감소와 다문화 군대라는 문제의 심각성은 더해갈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다문화 병사가 군(軍) 복무 적응과정을 어떻게 적응해 가고 있는가를 밝히고, 군(軍) 생활 적응에 대한 일련의 과정을 범주화 시켜 심층적으로 분석하는 연구이다. 또한, 본 연구자는 다문화 병사의 군 복무 적응과정 현상에 대한 관점을 외부적 관점의 시각이 아닌, 중립자적 태도를 지녀 객관적 관점을 통해 있는 그대로의 현상과 관찰을 통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이러한 배경에는 과거 군 생활(직업군인) 경험간 다문화 병사의 군 복무 적응과정에 대한 연구 관심을 갖게 된 이유이며, 이것이 본 연구의 배경이자 출발점이다.
      본 연구 대상자의 특성으로는 군(軍)소속은 10명 모두 ‘육군’ 에 소속된 대상자로서 평균 연령은 20대 초반으로 나타났다. 또한, 육군 조직에 소속된 연구 대상자의 직책은 ‘PX판매병 1명’, ‘무기 손질병 1명’, ‘소총수 6명’, ‘행정병 2명’ 으로 구성되었으며, 이들의 학력은 ‘고졸 2명’, ‘대재 5명’, ‘전문 대재 3명’ 이였다. 또한, 연구 대상자들의 ‘모의 출신국적’ 은 ‘일본 1명’, ‘중국 3명’, ‘베트남 1명’, ‘타이완 1명’, ‘필리핀 1명’, ‘미얀마 1명’, ‘태국 1명’ 이며, ‘부의 출신국적’ 은 ‘중국 1명’ 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연구 대상자 10명 모두 ‘부모들의 한국 거주기간’ 은 20년 이상 거주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가정경제 현황’ 으로는 월수입200만 원 이상은 1명, 월수입 300만 원 이상은 5명, 월수입 400만 원 이상은 3명, 월수입 500만 원 이상은 1명으로 각각 나타났다.
      이들의 ‘국외 거주국과 기간’ 을 살펴보면 전체 연구 대상자 중, 1명이 필리핀에서 1년 동안 어학연수 프로그램에 참여한 것으로 분석되었고, 또한 이들의 ‘가족관계’ 측면에서 10명 대상자 중 1명은 친부가 재혼, 1명은 친모가 재혼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복형제를 둔 연구 대상자는 1명으로 조사되었다.
      본 연구자는 이들의 심층면담(depth interview)을 위해 Strauss & Corbin(1998)이 제안한 포화(Saturated)의 원칙을 달성하려 심층면담(depth interview)의 횟수의 빈도를 높여 지속 면접 및 현장기록(필사)을 진행하였으며, 심층면담(depth interview)의 진행에 있어 연구 대상자 10명을 대상으로 연구대상자 선정을 위해서 세평적 사례선택(Reputational Case Selection) 연구방법으로 연구 참여자를 10명 선정하여 연구 대상자의 동의 하, 심층면담(depth interview)내용을 개인용 연구노트를 활용해 현장기록(필사)을 통해 병행 하, 연구 대상자의 면담내용을 녹음기에 담아 녹음을 하여 축어록(verbatim record)으로 풀어 본 연구의 자료 수집을 구성하였다.
      본 연구의 ‘다문화 병사의 군(軍) 복무 적응과정에 관한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이 정리 할 수 있다. 연구 대상자들에 대한 심층면담(depth interview) 진행 결과 원 자료(raw data)를 통해 분석된 결과로 개방코딩(opening coding)의 근거자료 범주화는 100개의 개념, 26개의 하위범주, 14개의 범주가 도출되었으며, 축 코딩(Axial coding)에서 정립한 코딩 패러다임(coding paradigm)은 범주는 「인과적 조건」은 ‘의사소통의 장벽’, ‘편견 및 차별’, 「맥락적 조건」은 ‘식단의 고충’, ‘외로움’, 「중심현상」은 ‘부담감’, ‘체력적/정신적 고충’, 「작용/상호작용」은 ‘도전’, ‘환경의 적응’, 「중재적 조건」, ‘목표의식 형성’, ‘의지’, ‘대인관계 형성’, 「결과」는 ‘희망’, ‘신앙의 힘’, ‘가정의 회귀’로 분석되었다.
      또한, 축 코딩(Axial coding)에서의 ‘과정분석’은 작용/상호작용의 단계에서 도출된 내용을 연구 대상자들에 대한 시간과 공간에 중요성을 인지한 상태에서 연구 대상자들에 대한 경험적 단계를 체계적으로 분석한 결과 1단계 ‘불안정하고 혼란스러움’을「무질서」로, 2단계 ‘고통스러운 정서를 자극’을「억압」으로, 3단계 ‘내가 누구인가?’를 「자아 정체성 혼란」으로 4단계 ‘개인이 느끼는 감정의 생활불안, 욕구불만’의「사회적 불안」으로 마지막 5단계 ‘다른 방향 및 상태의 변화’ 를「적응」의 과정으로 다섯 가지로 분석되었다. 결국, 본 연구의 결과는 선택코딩(selective Coding)과 개방코딩(opening coding)에서 생성되어진 개념과 하위범주 구조분석에 드러난 관계를 연관시켜 수정·보완 및 통합하는 나타난 결과와 이야기 윤곽으로 근거를 기반으로 도출된 결과로 ‘선입견의 색안경을 극복하고 전역 후의 목표의식 설정 및 새로운 희망’ 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는 아직까지 국내 연구에서 다루는 ‘근거이론(Grounded Theory)’ 방법론에 대해서는 현재까지 관련 연구가 미비한 실정으로 ‘다문화 병사’의 경험을 통해, 군(軍) 생활 적응에 관한 일련의 과정들을 심층적으로 분석한 연구의 결과가 제공하는 이론적 토대를 제공할 수 있는 것으로 기대할 수 있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제 1장 서 론 1
      • 제 1절 연구배경 및 목적 1
      • 제 2절 연구범위 및 방법 5
      • 제 2장 이론적 배경 7
      • 제 1절 다문화 사회의 진입 7
      • 제 1장 서 론 1
      • 제 1절 연구배경 및 목적 1
      • 제 2절 연구범위 및 방법 5
      • 제 2장 이론적 배경 7
      • 제 1절 다문화 사회의 진입 7
      • 1. 다문화의 개념 7
      • 2. 다문화가정 정착화 13
      • 3. 다문화가정 인구동태 17
      • 4. 다문화가정 자녀의 실상 28
      • 제 2절 군(軍) 조직의 다문화 실태 39
      • 1. 병력자원의 구조변화 39
      • 2. 다문화 병사의 군 병영생활 현실 48
      • 3. 다문화 병사의 병영생활 관계 법령 52
      • 제 3절 다문화 병사의 군(軍) 병영생활 55
      • 1. 군대의 특징 55
      • 2. 계급구조에 의한 명령체계 63
      • 3. 병영생활 행동강령 68
      • 4. 다문화병사의 병영생활 스트레스 80
      • 제 4절 다문화 차별사례 83
      • 1. 국내사례 83
      • 2. 해외사례 88
      • 제 5절 선행연구 검토 94
      • 1. 군 조직에 대한 선행연구 94
      • 2. 군 다문화에 관한 선행연구 99
      • 3. 선행연구의 한계점과 연구의 방향 106
      • 제 3장 연구 설계 109
      • 제 1절 근거이론 연구접근의 적절성 109
      • 제 2절 연구 방법 114
      • 1. 연구문제 115
      • 2. 연구과정 116
      • 3. 연구의 대상 및 범위 117
      • 4. 연구 참여자 118
      • 5. 연구의 자료수집 122
      • 6. 연구의 자료분석 123
      • 7. 연구의 엄격성 124
      • 제 4장 연구결과 125
      • 제 1절 연구 참여자들의 배경 125
      • 제 2절 개방코딩 139
      • 1. 근거자료의 범주화 139
      • 2. 해석학적 기술 169
      • 제 3절 축코딩 207
      • 1. 패러다임에 의한 범주 분석 207
      • 2. 과정분석 215
      • 제 4절 선택코딩 221
      • 1. 핵심범주 221
      • 2. 이야기 윤곽 224
      • 제 5장 결론 및 제언 227
      • 제 1절 연구의 요약 227
      • 제 2절 연구의 의의 233
      • 제 3절 연구의 한계 236
      • 참고문헌 238
      • 부 록 259
      • 국문초록 263
      • Abstract 267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군대윤리」, 조은영, 정은진, 이택호, 박연수, 조승옥, 파주: 지문당, , 2013

      2. 「한국논단」, 홍두승, 군사문화와 군대문화는 별개의 것이다, , 1993

      3. 「국방관리론」, 육군사관학교, 서울: 경문사. 322-354, , 1984

      4. 「군대 문화사」, 김순현, 병학사, , 1990

      5. 「군대 사회학」, 온만금, 황금알, , 2006

      6. 「조직 관리론」, 안병영, 노화준, 윤재풍, 서울: 법문사, , 1981

      7. 군대 생활의 적응, 이윤희, 서울대학교 대학원, , 1963

      8. 한국군과 국가발전, 화랑대 연구소, 육군사관학교 화랑대 연구소, , 1993

      9. 한국 군대문화 연구, 이동훈, 「한국사회학」. 29: 171-198, , 1995

      10. 한국 군대의 사회학, 홍두승, 파주: 나남, 124, , 1996

      1. 「군대윤리」, 조은영, 정은진, 이택호, 박연수, 조승옥, 파주: 지문당, , 2013

      2. 「한국논단」, 홍두승, 군사문화와 군대문화는 별개의 것이다, , 1993

      3. 「국방관리론」, 육군사관학교, 서울: 경문사. 322-354, , 1984

      4. 「군대 문화사」, 김순현, 병학사, , 1990

      5. 「군대 사회학」, 온만금, 황금알, , 2006

      6. 「조직 관리론」, 안병영, 노화준, 윤재풍, 서울: 법문사, , 1981

      7. 군대 생활의 적응, 이윤희, 서울대학교 대학원, , 1963

      8. 한국군과 국가발전, 화랑대 연구소, 육군사관학교 화랑대 연구소, , 1993

      9. 한국 군대문화 연구, 이동훈, 「한국사회학」. 29: 171-198, , 1995

      10. 한국 군대의 사회학, 홍두승, 파주: 나남, 124, , 1996

      11. 「한국 민군관계론」, 조영갑, 서울: 한원. 714-715, , 1993

      12. 군대문화에 대한 연구, 이동희, 「성곡논총」. 3: 498-542, , 1972

      13. 「질적연구방법론Ⅱ」, 김영천, 서울: 아카데미프레스, , 2013

      14. 「군대생활과 심리학」, 최무덕, 공학사, , 2002

      15. 「직업군인윤리 연구」, 독고순, 한국국방연구원, , 2002

      16. 「군 문화와 사회발전」, 안소룡, 박재하, 독고순, 한국국방연구원, , 1991

      17. 「최신 군사용어 사전」, 국방부, 서울: 한영문화사, , 2006

      18. 다문화 시대와 언어정책, 양명희, 국제한국어교육학회. 112, , 2009

      19. 다문화 교육: 이론과 실제, 서종남, 서울: 학지사, , 2010

      20. 다문화 교육의 이론과 실제, 한국사회교육연구회, 파주: 이담북스, , 2011

      21. 다문화 교육의 이해와 실천, 박윤경, 구정화, 설규주, 서울: 동 문사, , 2010

      22. 야전교범 006-00-01, 지휘통솔, 육군본부, 서울: 육군인쇄창, , 2004

      23. 정당한 명령과 진정한 복종, 박연수, 「육사논문집」50-56, , 1996

      24. 한국적 다문화 운동의 실천, 박천응, 동북아시대 위원회 용역과제. 7(8): 179, , 2007

      25. 「도덕교육의 새로운 해법」, 정창우, 서울: 교육과학사, , 2007

      26. 「병영생활 행동강령 지시」, 대한민국 정책브리핑, 국방부 병영 정책과, , 2011

      27. ‘다문화 용어’ 불편한 진실, 경기일보, . http://www.kyeonggi.com/news/article View.html?mod=news&act= articleView&idxno=1192943, , 2016

      28. 「군 사회복지 이론과 실천」, 서해석, 유홍위, 경기도: 양서원, , 2008

      29. 다문화 사회와 국제이해 교육, 최현덕, 파주: 동녁, , 2009

      30. 다문화가족지원법에 관한 고찰, 이영주, 「법학연구」. 제 31집, , 2008

      31. 「다문화 사회의 다문화 교 육」, 권순희, 박상준, 천호성, 이경한, 정윤정, 112-118, , 2010

      32. 다문화 교사 교육의 현황과 과제, 모경환, 「한국교과교육연구」. 26(4): 246, , 2009

      33. 병사용 대인관계 조화 척도 개발, 조미경, 김성희, 「상담학 연구」. 14(4): 2375-2393, , 2013

      34. 상관 명령의 위법성에 관한 고찰, 이만종, 「한국법정책학회」. 4(2): 651-672, , 2004

      35. “근거이론의 개념과 연구방법”, 최지영,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2, , 2012

      36. 다문화 병사의 군 생활 적응 경험, 김중배,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 2016

      37. “군대조직의 특성에 관한 연구”, 민진, 「국방연구」. 51(3): 61-64, , 2008

      38. 한국인의 눈치의 심리적 표상체계, 최상진, 진승범, 「한국심리학회」. 1: 511-521, , 1995

      39. 군 복무 부적응의 심리적 특성분석, 신응섭, 육군사관학교 화랑대연구소, , 2004

      40. 병사들의 적응과 관련된 변인 연구, 박선화, 고려대학교 대학원, , 1997

      41. 문화 활동을 통한 군 문화 개선방향, 김세훈, 「국방정책연구」. 27(4): 94, , 2011

      42. 「9가지 접근 다문화 사회 의 이해」, 엄수영, 성용구, 선우현, 김성일, 권금상, 태영출판사, , 2012

      43. 「생애사에 기초한 질적 연구방법」, 박서희, 서울: 원미사, , 2011

      44. 「우리의 고유사상과 효 교육문화」, 김익수, 서울: 수덕문화사, , 2007

      45. 다문화 군대와 다문화교육의 필요성, 모경환, 박성혁, 김명정, 「다문화 교육 연구와 실천」. 1: 1-14, , 2009

      46. 다문화가정 자녀의 사회적 차별문제, 조민식, 중앙대학교 문화콘텐츠 기술연구원 학술대회, 5(3): 17, , 2012

      47. 다문화 시대의 군 인력관리 개선방안, 유승범, 아주대학교 대학원, , 2012

      48. 다문화가정시대의 군 복무 관리 방향, 김기춘, 경북대학교 대학원, , 2011

      49. 군인들의 군 적응에 미치는 관련 요인, 정향인, 강희선, 현명선, 「정 신간호학회지」. 18(3): 305-312, , 2009

      50. 대학생의 군 다문화 인식에 관한 연구, 김정수, 박진옥, 「민족문화 논총」. 68: 25-55, , 2018

      51. “한국적 다문화주의의 전개와 특성.”, 윤인진, 「한국사회학」. 42(2), , 2008

      52. 다문화 사회에 대응한 유아교육의 방향, 김영옥, 제32회 유아 교육학 학술대회, , 2008

      53. 다문화가정 자녀를 위한 교육지원 방안, 김선희, 동아대학교 대학원, , 2009

      54. 다문화복지 아동 청소년의 실태와 과제, 김현희, 「청소년보호지도 연구」. 75-92, , 2007

      55. 군 조직문화와 리더십 발전에 관한 연구, 김세영, 국방대학교 대학원, , 1996

      56. 다문화가정 청소년의 군 생활 적응 연구, 이미선, 수원대학교 대학원, , 2014

      57. 다문화가족지원법의 문제점과 개선방향, 이경희, 「법학논고」32: 512-513, , 2010

      58. 다문화군대 전환에 대비한 군 정책 방안, 정민화, 군사평론 제 412호, , 2011

      59. 「국가발전과 민군관계의 이론과 실제」, 국방부, 서울: 을지서적, , 1999

      60. 신세대 병사의 군 생활 적응에 관한 연구, 구승신,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 2004

      61. 초등학생의 다문화 인식과 영향요인 분석, 하경애,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 2010

      62. 하이브리드적 사고와 한국문화 교육 방향, 김영만, 「겨레어문학 회」. 42: 27-45, , 2009

      63. 한국군 다문화군대로의 전환에 관한 연구, 조기형, 홍석조, 「경제정책 연구」. 166: 131-166, , 2010

      64. 군 복무중인 장병의 인권보장에 관한 연구, 송용석, 경성대학교 대학원, , 2006

      65. 다문화가족아동의 학교생활적응실태 연구, 고재욱, 황선영, 「한국케어 매니지먼트연구」.97-117, , 2013

      66. 다문화사회의 군 리더십 개선에 관한 연구, 이동구, 동국대학교 대학원, , 2017

      67. 명령에 의한 행위의 형사책임에 관한 연구, 유영무, 고려대학교 대학원, , 2004

      68. 한국 다문화교육 정책에 대한 비판적 고찰, 이경희, 「교육사회학 연구」. 21(1): 111-131, , 2011

      69. 한국군 다문화 군대로의 전환에 관한 연구, 홍석조, 상지대학교 대학원, , 2010

      70. 한국군 장병의 다문화 수용성에 관한 연구, 박효선, 진병규, 「한국 위기관리논집」. 14(4): 15-17, , 2018

      71. 다문화 환경 대비 한국군 대응에 관한 연구, 정명호, 국민대학교 대학원, , 2014

      72. “여성의 이혼과정에 관한 근거이론 연구”, 최정숙,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 2004

      73. 군 병사의 군 생활 적응 척도 개발 및 타당화, 김완일, 김옥란, 「상담학 연구」. 15(4): 1627-1646, , 2014

      74. 다문화 장병 입영에 따른 병영환경 조성방안, 박안서, 「국방정책연 구」. 26(4), , 2010

      75. 다문화 정책의 방향과 문화적 지원방안 연구, 홍기원, 서울: 한국 문화관광정책연구원. 84-88, , 2006

      76. 전투경 찰의 정신건강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안영미, 김윤정, 오금숙, 권혜진, 차혜경, 박선아, 권수진, 이경숙, 「다문화건강학회지」. 4(1): 29-38, , 2014

      77. 초급장교의 지휘통솔 향상 방안에 관한 연구, 김문상, 동국대학교 대학원, , 2004

      78. 한국 사회의 다문화현실 비판과 정책적 과제, 박천응, 「다문화선 교」. 29: 13-56, , 2013

      79. 한국의 다인종사회 진입에 따른 정치적 함의, 박정화, 전남대학교 대학원, , 2008

      80. 군 조직 내 의사소통의 영향요인데 관한 연구, 김천환, 진송순, 「한국조직학회보」. 7(2): 207-226, , 2010

      81. 다문화 아동 청소년을 위한 성격적 상담 적용, 서은경, 「한국성경 적상담학회」. 39-60, , 2014

      82. 다문화사회와 다문화가정에서의 종교적 갈등, 박승길, 「민족연구」. 104-135, , 2010

      83. 한국의 다인종 사회 진입에 따른 정치적 함의, 김정화, 전북대학교 대학원, , 2008

      84. 다문화 사회 추세에 대비한 군 복무 발전 방향, 김광억, 「한국 사 회과학」. 31: 85-101, , 2009

      85. 「효교육을 통한 다문화가정 교육 방향 모색」, 곽종형, 「한국사상과 문화」. 77(0): 357-376, , 2015

      86. 군대 폭행사고 및 자살사고의 실태와 예방대책, 장성대, 연세대학교 대학원, , 2004

      87. 다문화 아동과 일반아동 문제 행동의 변화추이, 강지현, 김명섭, 황매향, 하혜숙, 「상담학 연구」. 18(6): 341-361, , 2017

      88. 징병제하 인권 침해적 관점에서 군대문화 고찰, 권인숙, 「민주주 의와 인권」. 9(2): 185-219, , 2009

      89. 「한국군 장병의 다문화 수용성에 관한 연구」, 진병규, 대전대학교 대학원, , 2018

      90. 다문화 가족 청소년들의 군 복무관련 인식 분석, 이월형, 정병삼, 「한국군사학 논집」69(3), , 2013

      91. 다문화 군대에 대비한 병영 환경 조성방안 연구, 임태욱, 한성대학교 대학원, , 2016

      92. 병 정체성에 대한 올바른 인식과 군대문화 혁신, 김용주, 「군사 논단」. 94(0): 175-194, , 2018

      93. 전문가 평가에 의한 군대조직 평가 모형의 개발, 민 진, 「국방연 구」. 57(4): 105-135, , 2014

      94. 계급구조 특성을 고려한 군(軍) 조사연구의 탐색, 기노경, 「한국 조사연구학회」. 10(2): 115-136, , 2009

      95. 신세대 병사의 군 생활 적응에 영향을 주는 요인, 구승신, 「국방정 책연구」. 68: 199-216, , 2005

      96. 국제결혼 가정 자녀의 교육기회 실태와 대안 모색, 오성배, 「인간 연구」. 64, , 2007

      97. 다문화 가정을 위한 사회통합 정책의 현황과 과제, 최연선, 「임상 사회사업연구」. 6(3): 161-179, , 2009

      98. 상담의 윤리와 효율성 향상을 위한 다문화적 접근, 김태호, 「다 문화교육연구」. 2(1): 54-55, , 2009

      99. 해군 수병의 건강과 여가 체육활동에 대한 관심도, 홍석준, 한남대학교 대학원, , 2004

      100. 병사의 스포츠 활동 참여와 군 복무 만족과의 관계, 양웅비, 「한 국여가크리에이션학회지」. 31(4): 213-227, , 2007

      101. 다문화 군대에 대비한 한국군의 병영정책 발전방안, 나태종, 노양규, 「다문화교육연구」. 7(4): 55-80, , 2014

      102. 한국사회의 다민족 다문화 지향성에 대한 조사연구, 김이선, 최현, 이동, 황정미, 한국 여성정책연구원, , 2007

      103. 사회 통합적 관점에서 본 다문화가족의 개념과 범위, 김상명, 「국제법무」8(2): 79-103, , 2016

      104. 상징적 접근에 의한 한국 군대조직문화에 대한 분석, 민진, 「한국 조직학회보」. 9(3): 29-57, , 2012

      105. 신세대 병사들의 병영생활과 군 복지 향상방안 연구, 이재성, 동국 대학교 대학원, , 2001

      106. 듀이의 경험론에서 본 지식의 총체성과 탐구의 성 격, 박용호, 윤영순, 「교육철학 연구」. 38: 85-111, , 2007

      107. 우리나라 자살의 현황과 군 복무 중 자살행동의 이해, 홍강의, 군 의문사 진상규명위원회 토론회 자료집, , 2007

      108. 다문화 가정 자녀의 군 적응정책 방안. 석사학위 논문, 정민화, 동아 대학교 대학원, , 2011

      109. 다문화가정 자녀의 사회통합에 관한 문화기술적 연구, 송진영, 백설아, 「교육문화연구」. 687-705, , 2018

      110. 인권 친화적 병영문화 개선방안 연구. 정책연구보고서, 정혜웅, 국방 대학교 대학원, , 2013

      111. 접적지역 복무 소대장의 적응도 결정요인에 대한 연구, 황윤원, 박상혁, 「한국군사회 복지학회」. 8(2): 127-153, , 2015

      112. 군 생활 적응에 영향을 주는 위험요인과 보호요인 연구, 최혜란, 우석대학교 대학원, , 2009

      113. 군대조직문화 특성의 도출과 분석 「한국조직학회보」, 민진, 8(3): 91-121, , 2011

      114. 다문화 군대를 대비한 민과 군의 준비방향에 관한 제언, 최선애, 「한국군사회복지학회」. 3(1): 93-113, , 2010

      115. 병사의 계급별 군대 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요인 연구, 강동화, 광운대학교 대학원, , 2016

      116. 「군 사병들의 정신건강과 군 사회복지 도입의 필요성」, 구승신, 경기 파주: 한국학술정보, , 2005

      117. 한국군의 다문화자녀 입영에 따른 대비방안에 관한 연구, 김용기, 조선대학교 대학원, , 2014

      118. 여가활동 유 형에 따른 여가만족과 생활만족의 관계 연구, 한승엽, 김형태, 장윤정, 윤설민, 「관광연구」. 22(3): 323-339, , 2007

      119. 프랑스의 이주민 갈등과 통합: 마그렙 이주민을 중심으로, 양미애, 「프랑스학연구」. 267-285, , 2008

      120. 군 복무 부적응 환자의 입원 빈도와 위험요인에 대한 연구, 노규식, 신동수, 양지인, 서만길, 이경희, 송헌일, 「대한군진의학」. 73-77, , 2002

      121. 다문화 교육이 대학생들의 다문화 인식에 미친 영향 조 사, 강진구, 「다문화 콘텐츠 연구」. 4: 53-77, , 2008

      122. 교사를 통해 본 다문화 가정 유아의 특성 및 교사의 어려움, 박미경,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 2007

      123. 한국군 장병의 문화적 역량이 군 생활 적응 에 미치는 영향, 양명호, 김경학, 강영신, 「한국군사학논집」. 73(1): 121-145, , 2017

      124. 「한국군의 다문화가정 장병 증가에 따른 대비방안 연구」, 박재용, 한 성대학교 대학원, , 2016

      125. 한국사회의 군대문화와 군 자살사고에 대한 사회학적 고 찰, 윤민재, 담론201. 165-193, , 2008

      126. 가정환경이 병사의 군 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정우석, 호남대학교 대학원, , 2001

      127. 군 복무 부적응 병사의 심리 상담을 위한 권한부여 과정 연구, 차정철, 서강대학교 대학원, , 2005

      128. 병사의 군 부적응 및 적응력 향상 관련 국내 연구 동향의 개관, 박영주, 정원철, 「청소년학 연구」 18(1): 49-71, , 2011

      129. 「다민족 다문화 사회로의 이행을 위한 정 착 패러다임 구축」, 정해숙, 김이선, 이정덕, 한국여성정책 연구원, , 2007

      130. 노르웨이 극우테러 사건을 통해 본 한국 다문화사회 통합 방안, 박성면, 국방대학교 대학원, , 2011

      131. 대상관계의 변화 과정에 관한 질적 연구: 근거이론을 중심으로, 유근준,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 2008

      132. 다문화가정 청소년의 비행경험 수준에 영향을 미 치는 위험요인, 배미경, 송진영, 「교정복지연구」. 39: 29-58, , 2015

      133. 신세대 병사의 자아존중감과 스트레스가 군 생활에 미치는 영향, 장경숙, 숭실대학교 대학원, , 2008

      134. 외국인 출신 농촌주부들의 갈등과 적응: 필리핀 여성을 중심으로, 윤현숙, 「역사문화학회」. 8(2): 299-339, , 2005

      135. 한국적 의사소통 교육 프로그램 개발과 효과-군 장병을 대상으로, 송경재, 고려대학교 대학원, , 2011

      136. 육군병사들의 군 조직공정성에 대한 인식과 군 생활 적응 의 관계, 김진아, 「한국군사회복지학」. 7(2): 57-86, , 2014

      137. 군 조직문화 유형과 개인: 조직접합이 조직 유효성에 미 치는 영향, 윤봉희, 국방대학교 대학원, , 2004

      138. 근거이론으로 분석한 대졸 청소년 구직자의 심리적 외상 회복과정, 김혜미,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 2017

      139. 이슬람 여성과 다문화주의: 테일러, 오킨, 지젝의 통찰을 중심으로, 오은경, 「페미니즘연구」. 9(1): 1-29, , 2009

      140. 군 생활 스트레스와 심리적 적응과의 관계: 전 의경대원을 대상으로, 김효영, 연세대학교 대학원, , 1999

      141. 미군의 인종차별 사례와 한국군의 다문화 군대 전환을 위 한 시사점, 정민화, 「평화연구」. 11(3): 288-289, , 2011

      142. 군 장병의 문화적 역량 함양의 필요성과 군 다문화 교육의 방향 탐색, 정지언, 「국방정책연구」. 28(4), , 2012

      143. 군 지휘관 대상 다문화 교육관련 프 로그램을 위한 탐색적 모델 연구, 배현경, 조대연, 박용호, 신혜연, 「HRD연구」. 15(1): 57-81, , 2013

      144. 군대 내의 여가활동 종류에 따른 자기결정 성 및 집단 응집력의 차이, 이종형, 김민종, 송경재, 「한국군사회복지학」. 9(1): 163-187, , 2016

      145. 현역복무 부적합 전역 장병의 군 복무 부적응에 관한 현상 학적 연구, 정성모, 명지대학교 대학원, , 2016

      146. 군복무 스트레스와 사회적 지지가 군대 문화적응 능력에 미치는 영향, 이주원, 나동석, 「청소년학 연구」. 20(6): 29-48, , 2013

      147. 해외파병 부대원들을 위한 정신건강 증진 프 로그램 개발에 관한 연구, 김영희, 지지은, 이연미, 「군진간호연구」. 28(1): 70-83, , 2010

      148. 경로분석을 이용한 군대의 여가활동 유형이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요인, 김호원, 김동현, 김남송, 「디지털정책연구」. 11(11): 471-478, , 2013

      149. 군 병사의 스포츠 참여와 집단응집성, 군 생활 적응성, 조직효과성관계, 구희곤, 경북대학교 대학원, , 2009

      150. 군대 내 인권실태 및 개선방 안을 위한 기초 연구. 민주주의 법학연구회, 남상덕, 정경수, 임찬영, 김형태, 이계수, 서울: 국가인권위원회, , 2002

      151. 군대 조직 구성원의 자아정체감과 군대생활에서의 적응과 의 연계 연구, 신태수, 연세대학교 대학원, , 1981

      152. 다문화가정 청소년의 정신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 한 융합연구, 김민경, 「한국융합학회」. 9(1): 31, , 2018

      153. “다문화가정 청소년의 문화적응 스트레스와 심리사회적 적응의 관계”, 김종남, 김은경, 「다문화교육연구」. 9(4): 21-43, , 2016

      154. 다문화가정 자녀의 병영생활에서 예상되는 문제와 그 대 응에 관한 연구, 이광석, 「한국행정논집」 25(4): 1003-1021, , 2013

      155. 군인의 삶의 질 향상에 관한 연구: 스트레스 원, 사회적 지 지를 중심으로, 박현철, 연세대학교 대학원, , 2001

      156. 여가 프로그램이 사병의 스트레스 감소와 전우애 증진에 미치는 인식효과, 박종구, 「관광연구」. 25(2): 397-416, , 2010

      157. 조직문화와 리더십간의 적합성이 조직유효성에 미치는 영 향에 관한 연구, 박찬관, 창원대학교 대학원, , 2002

      158. 청소년의 다문화교육 경험과 사회적 친밀감이 다문화 수용에 미치는 영향, 정진철, 정석원, 다문화교육연구. 5(1): 51-68, , 2012

      159. 차별의 사회화와 시선의 정치과정론: 다문화가정 자녀에 관한 예비적 연구, 전경수, 「한국문화인류학회」. 41(1): 5-46, , 2008

      160. 장교 후보생의 다문화 경험에 따른 다문화 인식 및 다문화 군대에 관한 태도, 박진옥, 김정수, 「민족문화논총」. 61: 121-146, , 2015

      161. 한민족 정체성과 자민족 중심주의가 청소년의 다문화 수용성에 미치는 영향, 양계민, 「한국청소년연구」. 20(4): 387-422, , 2009

      162. 아버지 양육태도가 육군 병사의 군 생활 적응과 심리적 안정감에 미치는 영향, 강제기, 한양대학교 대학원, , 2008

      163. 다문화가정 장병에 대한 현역 병사의 태도: 강원도 지역 육군 병사들 중심으로, 김심경, 상지대학교 대학원, , 2010

      164. “여성국제결혼가정과 일반가정 아동의 학교생활적응관련 심 리적 특성 비교”, 김수인, 김아영, 「교육심리연구」 25(4): 853-873, , 2011

      165. 다문화가정 아동의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공격성과 스트레스의 관계성 연구, 김희정, 「대한지역사회작업치료학회지」. 7(3): 13-21, , 2017

      166. 다문화 군 조직실태 및 조직문화 변화에 따른 정책 대안 연구. 한국 벤처창업학회, 변상해, 전은령, 춘계학술대회. 225-231, , 2012

      167. 군대 내 이중문화 장병의 군 생활 적 응과 관련된 보호 요인과 위험요인 도출 연구, 송경재, 이상봉, 정신영, 김대은, 「한국군사회복지 학」. 11(2): 81-106, , 2018

      168. 다문화 장병의 군 생활 적응 과정과 유형에 관한 질적 연 구: 근거이론을 중심으로, 임영섭, 신한대학교 대학원, , 2015

      169. 대한민국 군대의 다문화 현상분석과 교육적 방법 연구: 도덕적 민감성을 중심으로, 김혜진, 이승철, 「한국윤리연구학회」. 118: 227-252, , 2018

      170. 지역별 비형식적 다문화 경험정도와 문화간 감수성: 서울지 역 초등학생들을 사례로, 백수은, 서울교육대학교 대학원, , 2001

      171. 다문화 가정 아동의 사회적 인식에 따른 상징적 상호작용 경험에 관한 사례 분석 연구, 김기현, 「공공정책연구」. 25(1): 105-135, , 2018

      172. 다문화 가정 아동의 사회적 인식에 따른 상징적 상호작용 경험에 관한 사례 분석 연구, 하수정, 한국아동교육학회 하계학술대회, , 2014

      173. 군대 내 구타 가혹행위 및 그로 인한 사고를 방지하기 위 한 법적 제도적 방안에 관한 연구, 이계수, 「민주법학」. 285-317, , 2003

      174. 효과적인 타문화 선교를 위한 도시선교 전략에 관한 연 구: 필리핀 다바시오시를 중심으로, 김수진, 서울신학대학교 신학전문대학원, , 2015

      175. Bennett의 다문화 교육과정 모형에 근거한 프로그램이 다문화 인식과 자아 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김명희, 경인교육대학교 대학원, , 2009

      176. 다문화가정 자녀가 인식하는 심리적 배제와 위축행 동과의 관계: 이중정체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박영숙, 송사리, 「미래사회 복지연 구」. 65-96, , 2018

      177. 다문화 구성원의 역량강화 및 사회통합을 위한 다문화 교 육의 조건과 과제. 교육문화체육관광위원회, 이상일, 국정감사, , 2014

      178. 「군대 여가활동이 장병의 복무염증, 심리적 탈진과 폭력충 동의 감소, 구타방지에 미치는 효과측정」, 박종구, 대한관광경영학회, 관광 연구, 33권 3호, pp.67-87, , 2018

      179. 일본, 독일, 호주의 다문화 정책에 관한 비교연구: 다문화정 책의 특성과 한국에서의 시사점을 중심으로, 신재주, 「사회과학연구」. 17(3): 5-37, , 2010

      180. 다문화가정 청소년의 학교생활적응에서 보호요인의 효과: 자아존중감, 사회적지지, 종교생활 및 다문화교육, 최효인, 단국대학교 대학원, , 2017

      181. 한국인의 새로운 윤리상 정립에 관한 연구: 사회제도적 측 면에서 현대 한국인 국민성의 장점과 그 활성화 방안, 심영희, 한국정신문 화연구원, , 1981

      182. 지각된 부모관여가 저소득 가정아동의 심리 사회적 부적 응에 미치는 영향: 자아개념과 또래 관계를 매개변수로, 이귀숙, 「한국아 동복지학」. 45(1), , 2014

      183. 다문화시대 한국인의 심리적 적응: 집 단정체성, 문화적응, 이데올로기와 접촉이 이주민에 대한 편견에 미치는 영향, 김도영, 이주연, 신희천, 김혜숙, 「한국심리학회」. 25(2): 51-89, , 2011

      184. 조직 구성원의 공정성 지각이 조직 유효성에 미치는 영향과 조직지원 인식 및 LMX의 조절 효과: 군대조직을 중심으로, 허찬영, 박정도, 「인적자원관리연구」. 19(4): 177-203, , 2012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