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Korea’s Policy on Overseas Koreans: Factors that Strengthen Korean Americans’ Sentiment towards the Motherland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51648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한국 정부의 주요 해외 공중 집단 중 하나는 해외에 거주하고 있는 재외동포로서 정부는 이들을 인적자원으로 인식하여 2000년대 초반부터 재외동포정책을 수립하여 해외에 거주하고 있는 ...

      한국 정부의 주요 해외 공중 집단 중 하나는 해외에 거주하고 있는 재외동포로서 정부는 이들을 인적자원으로 인식하여 2000년대 초반부터 재외동포정책을 수립하여 해외에 거주하고 있는 동포 자녀들에게 민족주의 제고를 위해 한국어 교육지원 사업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교육지원사업의 대상인 재미한인들이 한국어학교를 통해 현재까지 진행된 교육 지원 사업에 대한 경험에 의거한 생각과 효과를 탐색적 접근을 통해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에 의하면 재미한인들에게는 한국어 학교 보다는 부모님이 가르쳐 준 한국 문화 및 가치 그리고 직접적인 한국 문화체험이 한국에 대한 긍정적 태도 및 한국 혈통으로서의 자부심을 형성하는데 더 큰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연구결과 참여자들은 본인들도 한국문화 및 언어를 더 배울 뿐 아니라 추후 자녀에게도 계승하고자 하였는데 이러한 동기부여는 전반적으로 세계 무대에서 한국의 위상이 높아지고 한국문화에 대한 평가가 향상되었기 때문인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앞으로 재미동포와의 관계발전을 위한 재외동포 정책 방향 및 차세대 재미한인들을 위한 문화 교류 프로그램을 제안하는데 의의가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Since Kim Dae-jung’s administration, the Korean government has established policy for overseas Koreans to provide nationalism education to their descendants. While the policy is still in effect today, as to how the recipients of the support in the U...

      Since Kim Dae-jung’s administration, the Korean government has established policy for overseas Koreans to provide nationalism education to their descendants. While the policy is still in effect today, as to how the recipients of the support in the USA make meaning of the programs given much changes in the social climate in respect to Korean culture, has not been examined in-depth. Therefore, through in-depth interviews with Korean Americans, the current study examined how the recipients of the educational program perceive policy on education program towards Korean Americans and whether it has strengthened their nationalism or sentiment towards motherland. The study further examines the factors that influences their sentiments towards the motherland as identified by Korean Americans. The findings show that exposure to the culture and parents’ teachings of the Korean values have helped them embrace Korean heritage. Moreover, findings revealed that their sense of Koreanness were due to positive memories from visits they had when they were young and changes in Korea’s status in the global arena. Future direction of the policy and suggestion for specific programs for Korean Americans, as well as implications of the findings are discussed.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요약
      • Abstract
      • Ⅰ. Introduction
      • Ⅱ. Literature Review
      • Ⅲ. Methods
      • 요약
      • Abstract
      • Ⅰ. Introduction
      • Ⅱ. Literature Review
      • Ⅲ. Methods
      • Ⅳ. Results
      • Ⅴ. Discussion
      • Ⅵ. Conclusion
      • 참고문헌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