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웹기반 협력학습 모형과 지원도구 분석 = Web based Collaborative Learning Model and Analysis of Technology-supported Tool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7620831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는 웹기반 협력학습을 위한 효과적인 모형을 도출하고, 이러한 웹기반 협력학습활동을 지원하기 위한 기술적 도구유형과 기능을 도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웹기반 협력학습을 위...

      이 연구는 웹기반 협력학습을 위한 효과적인 모형을 도출하고, 이러한 웹기반 협력학습활동을 지원하기 위한 기술적 도구유형과 기능을 도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웹기반 협력학습을 위한 모형을 도출하기 위해 연구자는 전통적인 교실기반 면 대 면 협력학습 모형과 절차 및 단계를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교실기반 면대면 협력학습 모형들은 공통적으로 준비, 도입, 전개, 정리 4가지 절차를 가지고 있으며, 각 절차는 공통적인 학습단계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웹 기반 협력학습 활동은 학습자가 동료와 공유된 학습공간에 함께 있다고 느끼는 공존과정과, 동료들과 공동으로 학습활동을 할 수 있음을 인지하는 등의 인식과정, 그리고 의사소통 등의 상호작용 활동을 통해 특정과제를 협력하여 공동 목적을 달성하는 협력과정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이러한 웹기반 환경에서의 협력학습 지원도구는 협력의 과정과 목적에 따라 지식 개발 및 공유, 협력 및 학습자간의 상호작용 촉진, 커뮤니티 관리용도 등으로 분류할 수 있다. 이 연구결과를 통해 효과적인 웹기반 협력학습 시스템을 설계하고 협력학습 과정과 절차에 부합하는 지원도구의 사용을 통해 정보간섭을 최소화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rive an effective model for web-based collaborative learning, and the types and functions of technical tools to support web-based collaborative learning. To derive a web-based collaborative learning model, this study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rive an effective model for web-based collaborative learning, and the types and functions of technical tools to support web-based collaborative learning. To derive a web-based collaborative learning model, this study analyzed the models, processes, and steps of the traditional classroom-based face-to-face collaborative learning.
      This analysis revealed that the classroom-based face-to-face models commonly had the four processes: preparation, introduction, development, and summary, and that each process had common learning steps. Furthermore, web-based collaborative learning activities consist of a coexistence process where the learners feel that they are in a learning space that they share with colleagues, a recognition process where they recognize that they can carry out learning activities jointly with colleagues, and a collaboration process where they collaborate on a specific task and achieve a common goal through interactive activities such as communication.
      The supporting tools for collaborative learning in the web-based environment can be classified according to the process and purpose of collaboration into knowledge development and sharing, collaboration and promotion of interactions among learners, and community management.
      It is expected that based on this web-based collaborative learning model, activity processes, and the types and functions of technical tools derived from this study, we could design an effective web-based collaborative learning system and minimize information interference through the use of supporting tools in tune with the collaborative learning process and procedure.
      In the future, follow-up studies are required to subdivide interactions and analyze the factors that improve communication and participation which are important in collaborative learning.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요약
      • Ⅰ. 서론
      • Ⅱ. 이론적 배경
      • Ⅲ. 웹기반 환경에서의 협력학습
      • Ⅳ. 웹기반 환경에서의 협력학습 지원도구
      • 요약
      • Ⅰ. 서론
      • Ⅱ. 이론적 배경
      • Ⅲ. 웹기반 환경에서의 협력학습
      • Ⅳ. 웹기반 환경에서의 협력학습 지원도구
      • Ⅴ. 결론 및 제언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