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정상 노화과정에서의 작업기억 능력과 문장이해력 = Working Memory Abilities and Sentence Comprehension in Normal Aging Proces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340098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current study is to investigate working memory and sentence comprehension in normal aging. Also, we identified which one is predictor variable of sentence comprehension and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working memory and senten...

      The purpose of current study is to investigate working memory and sentence comprehension in normal aging. Also, we identified which one is predictor variable of sentence comprehension and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working memory and sentence comprehension. Therefore, to investigate working memory and sentence comprehension, subjects of this study are total 94 people from the age of 55 to 84 years old in the normal aging process.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the performance of 4 tasks for working memory(digit forward, digit backward, word forward, word backward) showed that younger group has higher score than older group. This result can be interpreted as supporting previous research that showed decline cognitive function due to aging process. However, after we controlled the year of education, age effect appears to be non-existent only in digit forward task. It means that when we figure out the performance of elderly just by digit forward task, we should consider the characteristic of Korean elderly which is that age is order, level of education is lower.
      Second, sentence comprehension declines in normal aging. On the contrary to previous research about elderly’s language comprehension ability being mostly maintained, we identified that when age is older the performance is lower on the auditory comprehension task regarding level of sentence. Nevertheless, since the research of normal elderly subjects is limited,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among the tasks to assess language comprehension ability, the study aims to investigate auditory comprehension regarding the level of sentence and to identify decline in sentence comprehension with increased age.
      Third, the variables to predict sentence comprehension include digit forward, digit backward and age of education. The fact that digit forward and backward tasks operate as predictors on sentence comprehension means that the ability to not only temporarily store information but to retain and operate information is needed in order to comprehend sentences. In addition, it supports previous research that relationship between education level effected language task and cognitive function is significant.
      Fourth, the study found that working memory abilities and sentence comprehension is significantly correlated. Exercising working memory is important to maintain and enhance sentence comprehension not only for communication disorder due to neurological disease but also for normal elderly people.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정상 노화과정에서의 작업기억 능력과 문장이해력을 보고자하였다. 또한, 문장이해력을 예측하는 변수를 확인하고, 작업기억 능력과 문장이해력 간의 상관을 보고자 하였...

      본 연구의 목적은 정상 노화과정에서의 작업기억 능력과 문장이해력을 보고자하였다. 또한, 문장이해력을 예측하는 변수를 확인하고, 작업기억 능력과 문장이해력 간의 상관을 보고자 하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정상 노화과정에 있는 55∼64세 23명, 65∼74세 33명, 75∼84세 38명을 대상으로 작업기억 능력과 문장이해력을 알아보았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작업기억 능력을 알아보는 네 가지 과제(숫자 바로 따라하기, 숫자 거꾸로 따라하기, 단어 바로 따라하기, 단어 거꾸로 따라하기)의 수행은 연령이 낮은 집단일수록 높은 평균을 나타냈다. 이는 노화과정으로 인한 인지기능의 저하를 나타내는 선행연구와 일치하는 결과이며, 인지기능 중 작업기억 능력이 정상 노화과정에서 저하된다는 것을 보여준다.
      둘째, 정상 노화과정에서 문장이해력은 저하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노년층의 언어이해 능력은 주로 유지된다는 선행연구의 결과와는 달리 본 연구에서는 문장수준에서 실시된 청각적 이해력이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저하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정상 노인을 대상으로 언어이해 능력과 관련한 연구가 부족한 가운데 본 연구는 언어이해 능력을 알아보는 과제 중에서도 문장수준에서의 청각적인 이해력을 살펴보고, 연령증가에 따른 문장이해력 저하를 확인할 수 있었다는 점에서 의의를 가진다.
      셋째, 문장이해력을 예측하는 변수로 숫자 바로 따라하기, 숫자 거꾸로 따라하기, 교육년수가 포함되었다. 숫자 바로 따라하기와 숫자 거꾸로 따라하기 과제가 문장이해력을 예측하는 변수로 작용한다는 것은 문장을 이해하기 위해서 정보의 일시적인 저장뿐만 아니라 정보를 유지하고 조작하는 능력이 필요하다는 것을 시사한다. 교육수준은 인지기능과 관련이 높은 언어과제에서 영향을 미친다는 선행연구를 뒷받침하는 결과로 해석할 수 있다.
      넷째, 작업기억 능력과 문장이해력은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다. 이는 신경학적 질병으로 인한 의사소통장애 환자뿐만 아니라 정상 노인에게도 작업기억 훈련이 문장이해 능력을 유지시키고 증진시킬 수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 론 1
      •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 2. 연구문제 3
      • 3. 용어정의 4
      • 1) 작업기억 능력 4
      • Ⅰ. 서 론 1
      •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 2. 연구문제 3
      • 3. 용어정의 4
      • 1) 작업기억 능력 4
      • 2) 문장이해력 4
      • Ⅱ. 이론적 배경 5
      • 1. 작업기억 6
      • 1) 음운루프 7
      • 2) 시공간잡기장 7
      • 3) 중앙집행기 8
      • 4) 일화적 완충장치 8
      • 2. 문장이해력 9
      • 3. 작업기억과 문장이해력간의 관계 10
      • Ⅲ. 연구 방법 12
      • 1. 연구 대상 12
      • 2. 실험 과제 13
      • 1) 작업기억 능력 13
      • 2) 문장이해력 13
      • 3. 연구 절차 14
      • 1) 예비 실험 14
      • 2) 본 실험 14
      • 4. 자료 분석 18
      • 1) 작업기억 능력 과제 18
      • 2) 문장이해력 과제 18
      • 5. 결과 처리 18
      • Ⅳ. 연구 결과 19
      • 1. 연령집단 간 작업기억 능력과 문장이해력의 차이 19
      • 2. 문장이해력을 예측하는 변수 24
      • 3. 작업기억 능력과 작업기억 능력 간의 상관관계 25
      • Ⅴ. 결론 및 제언 26
      • 참고문헌 32
      • 영문초록 41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