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서점을 주제로 한 특화거리조성 사례분석 = 부산시 ‘보수동 책방골목’을 중심으로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9962739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특화거리조성을 통한 도시재생 및 지역 활성화 특화전략을 위한 기초연구로서 부산시의 대표적인 특화거리의 하나인 ‘보수동 책방골목’을 대상으로 특화거리의 조성내용, 조...

      본 연구는 특화거리조성을 통한 도시재생 및 지역 활성화 특화전략을 위한 기초연구로서 부산시의 대표적인 특화거리의 하나인 ‘보수동 책방골목’을 대상으로 특화거리의 조성내용, 조성주체, 조성과정의 측면에서 분석하였다. 이와 더불어 국외사례고찰의 대상으로 서점을 통한 특화거리 조성의 대표적인 국외사례인 ‘헤이 온 와이’ 책 마을과 ‘간다 고서점 거리’를 선정하여 보수동 책방골목과 비교분석하여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국내외 사례의 분석을 통한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특화거리의 내용적 측면에 있어서는 책과 관련된 관광 및 출판 산업 등과의 연계를 통한 지역의 활성화와 지역정체성을 기반으로 하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개발이 필요하다. 둘째, 특화거리를 조성하고 운영ㆍ관리하는 주체는 주민과 상인이 주도가 되고 공공은 이를 지원하는 역할을 하는 ‘주민ㆍ상인주도+공공지원’의 형태가 필요하다. 셋째, 특화거리의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조성과 운영 및 관리의 전 과정에 있어서 주민 및 상인을 중심으로 한 커뮤니티의 적극적이고 활발한 참여와 지속적인 노력이 필요하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introduce a design method to making characterized street for city regeneration and strategy for regional activation through making characterized street. For this purpose we analyze a case of ‘Bosu-dong Book Street’ ...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introduce a design method to making characterized street for city regeneration and strategy for regional activation through making characterized street. For this purpose we analyze a case of ‘Bosu-dong Book Street’ in the city of Busan with compared to the cases of ‘Hay on wye’ in UK and ‘Kanda old book street’ in Japan.
      We have some suggestions from this analysis as follows; 1. Connection with tourism and publication industry is needed for regional economic vitality and urban regeneration. And Both of Softwares and Hardwares those are based on local identity are needed to be developed as contents of the street, 2. Merchants and Residents have to take the leading part and public authority is need to support them as street makers. 3. Sustainable participation and efforts of the community leaded by merchants and residents are needed in the whole process of making characterized street such as making, operating and management of hardware & software.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요약
      • Abstract
      • Ⅰ. 서론
      • Ⅱ. 특화거리 관련 이론적 고찰
      • Ⅲ. 보수동 책방골목 사례분석
      • 요약
      • Abstract
      • Ⅰ. 서론
      • Ⅱ. 특화거리 관련 이론적 고찰
      • Ⅲ. 보수동 책방골목 사례분석
      • Ⅳ. 분석의 종합 및 시사점
      • Ⅴ. 결론
      • 참고문헌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손재룡, "특화거리 조성의 변천과정에서 나타난 Network의 중요성에 관한 연구" 23 (23): 487-490, 2003

      2 이진숙, "특화가로 조성을 위한 환경디자인 요소의 영향분석" 대한건축학회 25 (25): 257-264, 2009

      3 이용성, "참여주체 관점에서 특화거리의활성화 요인 분석-분당신도시 정자동 카페거리조성사례를 중심으로-" 509-519, 2008

      4 우신구, "상업가로 평가규범으로서 알렉산더의 패턴 언어 적용 가능성에 관한 연구 - 부산의 상업가로 광복로를 중심으로 -" 대한건축학회 26 (26): 93-102, 2010

      5 박천보, "물리환경적 도심재생 관점의 특화거리 활성화 방안 연구" 대한건축학회 25 (25): 285-292, 2009

      6 박현규, "도심재생을 위한 특화거리의 조성과 개선방안-대전광역시 한의약거리를 중심으로-" 23 (23): 479-482, 2003

      7 "http://www.kosho.or.jp"

      8 "http://www.jimbou.info"

      9 "http://www.hayfestival.com"

      10 "http://www.hayfestival.com"

      1 손재룡, "특화거리 조성의 변천과정에서 나타난 Network의 중요성에 관한 연구" 23 (23): 487-490, 2003

      2 이진숙, "특화가로 조성을 위한 환경디자인 요소의 영향분석" 대한건축학회 25 (25): 257-264, 2009

      3 이용성, "참여주체 관점에서 특화거리의활성화 요인 분석-분당신도시 정자동 카페거리조성사례를 중심으로-" 509-519, 2008

      4 우신구, "상업가로 평가규범으로서 알렉산더의 패턴 언어 적용 가능성에 관한 연구 - 부산의 상업가로 광복로를 중심으로 -" 대한건축학회 26 (26): 93-102, 2010

      5 박천보, "물리환경적 도심재생 관점의 특화거리 활성화 방안 연구" 대한건축학회 25 (25): 285-292, 2009

      6 박현규, "도심재생을 위한 특화거리의 조성과 개선방안-대전광역시 한의약거리를 중심으로-" 23 (23): 479-482, 2003

      7 "http://www.kosho.or.jp"

      8 "http://www.jimbou.info"

      9 "http://www.hayfestival.com"

      10 "http://www.hayfestival.com"

      11 "http://www.hay-on-wye.co.uk"

      12 "http://www.bsjunggu.go.kr"

      13 "http://www.bsjunggu.go.kr"

      14 "http://www.allnp.net"

      15 "http://local.daum.net"

      16 "http://local.daum.net"

      17 "http://cafenaver.com/bosubook"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7-05-04 학회명변경 영문명 : The Korea Contents Society ->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21 1.21 1.2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29 1.25 1.573 0.3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