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드라마〈굿 플레이스〉속 인공지능 로봇의 상호작용 의례적 해석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71822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인간과 인공지능 로봇과의 관계를 예견하는 쟁점은 강한 인공지능 문제로 많은 전문가들은 인간보다 뛰어난 사고능력을 가진 강한 인공지능이 인간을 정복하는 비극적 결말을 예측하고 있...

      인간과 인공지능 로봇과의 관계를 예견하는 쟁점은 강한 인공지능 문제로 많은 전문가들은 인간보다 뛰어난 사고능력을 가진 강한 인공지능이 인간을 정복하는 비극적 결말을 예측하고 있다. 동시에 인공지능 로봇에 대해서 가지고 있는 기대가 드라마나 SF영화와 같은 미디어에 투영하여 나타나게 되면서 인간의 기대에 부응하는 도덕적으로 선한 인공지능에 대한 문제 또한 중요한 쟁점이다. 그러나 선한 인공지능에 대한 요구와 완벽한 기술의 구현은 그 문제가 기계에만 국한되지 않고 오히려 인간에게 모든 책임을 지우는 결과로 나타나 인간을 비도덕적인 존재로 몰아가고 인간과 인간의 문제로 전환되어 더 많은 소외와 차별을 낳을 수 있다. 이처럼 기술이 가져오는 결과는 사용하는 인간과 상호작용하며 반응에 따라 그 속성이 결정되고 발전하면서 인간에게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상호작용을 고려하여 인간의 정서를 고려하는 인공지능 기술도 중요하다. 본 연구는 인간과 인공지능의 관계가 ‘선한 인공지능’에 대한 요구로 귀결되는 과정과 성공적인 상호작용 과정을 밝히기 위해 이론적으로는 랜달 콜린스의 정서적 에너지로 인간 유대의 형성을 설명하는 상호작용 의례 이론을 통해 설명한다. 방법론으로는 사고실험의 한 유형으로서 드라마 <굿 플레이스>의 재닛과 주변 등장인물들을 통해 선한 인공지능 로봇에 대한 기대가 발생되고 지향되는 지점을 밝히고자 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issue of predicting the relationship between humans and AI robots is a strong AI problem. Many experts predict the tragic ending which is a strong AI with superior thinking ability than humans will conquer humans. Due to the expectations of AI rob...

      The issue of predicting the relationship between humans and AI robots is a strong AI problem. Many experts predict the tragic ending which is a strong AI with superior thinking ability than humans will conquer humans. Due to the expectations of AI robots are projected onto media, the morally good AI that meets human expectations is an important issue. However, the demand for good AI and the realization of perfect technology is not limited to machines. Rather, it appears as a result of putting all responsibility on humans, driving humans into immoral beings and turning them into human and human problems, which is resulting in more alienation and discrimination. As such, the result of technology interacts with the human being used and its properties are determined and developed according to the reaction. This again affects humans. Therefore, AI technology that considers human emotions in consideration of interaction is also important. Therefore, this study will clarify the process that the demand for ‘Good AI’ in the relationship of AI to humans with Randall Collins Interaction Ritual Chain. Emotional energy in Interaction Ritual Chain has explained the formation of human bonds. Also, the methodology is a type of thinking experiment and explained through Janet and surrounding characters in the TV show 〈The good place〉.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요약
      • Abstract
      • I. 서론
      • Ⅱ. 본론
      • Ⅲ. 맺음말
      • 요약
      • Abstract
      • I. 서론
      • Ⅱ. 본론
      • Ⅲ. 맺음말
      • 참고문헌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소연, "포스트휴머니즘 영화에서 (탈)육체성과 기술-환상의 문제설정: <블레이드 러너 2049>를 중심으로" 영상미디어센터 (33) : 9-32, 2019

      2 김재희, "질베르 시몽동에서 기술과 정치" 철학연구회 (108) : 124-151, 2015

      3 황수영, "질베르 시몽동" 커뮤니케이션북스 60-63, 2018

      4 G. H. Mead, "정신, 자아, 사회" 한길사 254-, 2010

      5 김상태, "자율주행자동차에 관한 법적 문제" 법학연구소 9 (9): 177-190, 2016

      6 이중기, "자율주행자동차 운행의 법적 이슈" 한국교통연구원 23 (23): 2-4, 2016

      7 이창섭, "인공지능 혁신에 대한 기대와 불안 요인 및 영향 연구" 한국콘텐츠학회 19 (19): 37-46, 2019

      8 김환석, "인공지능 시대를 보는 이론적 관점들" 사회와이론 41-62, 2017

      9 손승혜, "우리는 어떤 로봇을 만들어가고 있는가? 2010-2019 텔레비전 뉴스에 등장한 인공지능 로봇의 전달 방식과 특성에 관한 탐색적 연구" 한국언론학회 64 (64): 202-237, 2020

      10 M. J. Sandel, "완벽에 대한 반론" 와이즈베리 112-113, 2016

      1 김소연, "포스트휴머니즘 영화에서 (탈)육체성과 기술-환상의 문제설정: <블레이드 러너 2049>를 중심으로" 영상미디어센터 (33) : 9-32, 2019

      2 김재희, "질베르 시몽동에서 기술과 정치" 철학연구회 (108) : 124-151, 2015

      3 황수영, "질베르 시몽동" 커뮤니케이션북스 60-63, 2018

      4 G. H. Mead, "정신, 자아, 사회" 한길사 254-, 2010

      5 김상태, "자율주행자동차에 관한 법적 문제" 법학연구소 9 (9): 177-190, 2016

      6 이중기, "자율주행자동차 운행의 법적 이슈" 한국교통연구원 23 (23): 2-4, 2016

      7 이창섭, "인공지능 혁신에 대한 기대와 불안 요인 및 영향 연구" 한국콘텐츠학회 19 (19): 37-46, 2019

      8 김환석, "인공지능 시대를 보는 이론적 관점들" 사회와이론 41-62, 2017

      9 손승혜, "우리는 어떤 로봇을 만들어가고 있는가? 2010-2019 텔레비전 뉴스에 등장한 인공지능 로봇의 전달 방식과 특성에 관한 탐색적 연구" 한국언론학회 64 (64): 202-237, 2020

      10 M. J. Sandel, "완벽에 대한 반론" 와이즈베리 112-113, 2016

      11 R. Collins, "사회학 본능" 알마 244-250, 2014

      12 R. Collins, "사회적 삶의 에너지" 한울아카데미 2009

      13 M. Scheler, "동감의 본질과 형태들" 아카넷 2006

      14 신중섭, "도덕 감정과 이기심— 아담 스미스를 중심으로 —" 새한철학회 73 (73): 109-133, 2013

      15 소병일, "공감과 공감의 윤리적 확장에 관하여― 흄과 막스 셸러를 중심으로 ―" 한국철학회 (118) : 197-225, 2014

      16 A. Purington, "“Alexa is my new BFF,” Social Roles, User Satisfaction, and Personification of the Amazon Echo" 2853-2859, 2017

      17 "http://www.hankookilbo.com/News/Read/202002031544762632"

      18 "http://www.futuretimes.co.kr/news/articleView.html?idxno=13443"

      19 "http://www.chosun.com/site/data/html_dir/2018/10/11/2018101101250.html"

      20 B. Reeves, "The media equationL How people treat computers, television, and new media like real people and places"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6

      21 D. Boyns, "Negative emotional energy: A theory of the ‘dark-side’ of interaction ritual chains" 4 (4): 148-170, 2015

      22 M. Tegmark, "Life 3.0" 동아시아 148-154, 2017

      23 C. Z. Elgin, "Fiction as thought experiment" 22 (22): 221-241, 2014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7-05-04 학회명변경 영문명 : The Korea Contents Society ->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21 1.21 1.2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29 1.25 1.573 0.3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