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식습관 및 영양 상담의 특성을 알아보고, 영양 상담 경험에 따른 식습관과 영양 상담에 대한 인식을 분석하였다. 전남지역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2014년 11월 10...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6975556
2020
-
373
KCI등재
학술저널
39-63(25쪽)
0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식습관 및 영양 상담의 특성을 알아보고, 영양 상담 경험에 따른 식습관과 영양 상담에 대한 인식을 분석하였다. 전남지역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2014년 11월 10...
본 연구는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식습관 및 영양 상담의 특성을 알아보고, 영양 상담 경험에 따른 식습관과 영양 상담에 대한 인식을 분석하였다. 전남지역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2014년 11월 10일부터 14일까지 설문지를 통한 자료수집을 하였으며 주요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생의 식습관의 경우 하루 식사 횟수는 3회, 식사량은 적당히 먹는 것으로 나타났다. 영양 상담에 대한 특성의 경우 영양 상담 경험이 없는 초등학생이 68.8%로 더 많았으며, 영양 상담이 필요하다고 인식하는 초등학생이 57.9%였다 둘째, 초등학생의 영양 상담 경험 유무에 따른 식습관에서는 ‘특정 음식을 먹지 않은 이유’ 항목에서만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영양 상담 경험 유무와 상관없이 초등학생은 음식을 선택할 때 맛을 중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초등학생의 영양 상담 경험 유무에 따른 영양 상담에 대한 인식에서는 학생들이 영양 상담을 받아본 적이 없는 이유로, 영양 상담 경험이 없는 학생들이 경험이 있는 학생보다 ‘관심이 없어서’라고 더 많이 답하였다. 영양 상담 경험이 있는 학생들이 경험이 없는 학생들보다 영양 상담을 통하여 식습관의 변화를 더 많이 기대하며, 영양 상담실이 더 필요하다고 하였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초등학생들로 하여금 올바른 식습관에 대한 이해도를 높이고, 초등학생의 영양 상담에 대한 인식을 바르게 갖게 하여 정신 및 신체건강 향상에 도움이 되는 시사점을 제시했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examine eating habits and nutrition counseling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to analyze the eating habits and perception of nutrition counseling according to whether the subjects have experience in nutrition coun...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examine eating habits and nutrition counseling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to analyze the eating habits and perception of nutrition counseling according to whether the subjects have experience in nutrition counseling. Data were collected from elementary school students of the Jeonnam area from the 10th to 14th of November in 2014.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as for eating habits, it was revealed that the number of meals per day was ‘Three times’ and that the amount of meals was shown to be moderate. Secon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Reason for not eating certain foods’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of whether the eating habits were different depending on the presence or absence of nutritional counseling experience. They valued taste when choosing food. Third, as a result of the analyses of perception on nutritional counseling based on whether the subjects have experience in nutritional counseling or not, students with no experience in nutrition counseling answered that they were ‘not interested’ more than those with experience regarding the item of reason why they don t have counseling experience . Students with experience in nutrition counseling expect more changes in eating habits through nutrition counseling and need more nutrition counseling rooms than those without experience. The results of the study suggested implications to help improve their physical health by enhancing elementary school students understanding of proper eating habits and giving them the right perception of nutrition counseling.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김범순, "학교급식제도의 문제점 및 개선방안" 경기대학교 행정대학원 2008
2 법제처, "학교급식법 제14조"
3 이미영, "학교급식 영양사의 영양상담 실태 및 활성화 방안"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 24 (24): 497-515, 2013
4 김명실, "충북지역 초등학교 영양교사의 식생활 교육과 영양상담 운영실태 및 인식" 한국식품영양과학회 42 (42): 2049-2067, 2013
5 김영화, "초등학생의 효율적인 영양교육을 위한 교과서분석 및 식습관 조사연구 - 강릉시내 초등학생 대상으로 -" 대한영양사협회 13 (13): 379-388, 2007
6 구복자, "초등학생의 영양교육을 위한 식습관 및 영양지식 조사" 15 (15): 201-213, 2000
7 이인숙, "초등학생의 영양 상담에 따른 인식, 흥미도 및 영양 지식-경북 지역 중심-" 동아시아식생활학회 21 (21): 146-153, 2011
8 박미정, "초등학생의 식습관과 영양지식 및 건강상태 조사" 동아시아식생활학회 13 (13): 568-576, 2003
9 방현미, "초등학생의 식생활교육 효과와 지속성에 관한 연구 : 강의식 교육과 체험식 교육을 중심으로" 전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10 이경애, "초등학생의 식생활과 식습관에 영향을 미치는 가정과 학교 환경 요인 탐색" 한국실과교육연구학회 25 (25): 71-94, 2019
1 김범순, "학교급식제도의 문제점 및 개선방안" 경기대학교 행정대학원 2008
2 법제처, "학교급식법 제14조"
3 이미영, "학교급식 영양사의 영양상담 실태 및 활성화 방안"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 24 (24): 497-515, 2013
4 김명실, "충북지역 초등학교 영양교사의 식생활 교육과 영양상담 운영실태 및 인식" 한국식품영양과학회 42 (42): 2049-2067, 2013
5 김영화, "초등학생의 효율적인 영양교육을 위한 교과서분석 및 식습관 조사연구 - 강릉시내 초등학생 대상으로 -" 대한영양사협회 13 (13): 379-388, 2007
6 구복자, "초등학생의 영양교육을 위한 식습관 및 영양지식 조사" 15 (15): 201-213, 2000
7 이인숙, "초등학생의 영양 상담에 따른 인식, 흥미도 및 영양 지식-경북 지역 중심-" 동아시아식생활학회 21 (21): 146-153, 2011
8 박미정, "초등학생의 식습관과 영양지식 및 건강상태 조사" 동아시아식생활학회 13 (13): 568-576, 2003
9 방현미, "초등학생의 식생활교육 효과와 지속성에 관한 연구 : 강의식 교육과 체험식 교육을 중심으로" 전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10 이경애, "초등학생의 식생활과 식습관에 영향을 미치는 가정과 학교 환경 요인 탐색" 한국실과교육연구학회 25 (25): 71-94, 2019
11 김정현, "초등학교에서 교과기반 통합식생활교육 적용 방안 연구(Ⅱ) - 제2보 : 초등학교에서의 교과기반 식생활교육의 통합적용 -" 한국실과교육학회 23 (23): 1-18, 2010
12 안미진, "초등학교 편식아의 영양상담을 통해 본 편식에 대한 인식의 질적 연구" 대한영양사협회 17 (17): 58-71, 2011
13 이연경, "초등학교 영양교사의 영양교육 실시를 위한 교육자, 학습자 및 그 부모 대상 요구도 조사" 대한영양사협회 12 (12): 89-101, 2006
14 김이수, "초등학교 5학년 학생들의 식습관 형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연구" (사)한국조리학회 11 (11): 46-58, 2005
15 모수미, "지역사회영양학" 한국방송대학교 출판부 2003
16 우현숙, "중소도시 초등학생의 간식 영양관리 방안 설정을 위한 양주시 초등학생의 간식섭취 실태조사" 대진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17 박은아, "제주지역 학교 영양(교)사의 식생활교육과 영양상담 실태 및 인식 조사" 제주대학교 대학원 2015
18 오미애, "전남지역 초등학생의 식품 알레르기와 식생활 특성 및 식생활 습관에 관한 연구" 전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15
19 손숙미, "임상영양학" 교문사 2006
20 이미영, "일부 학교급식 영양사의 영양상담 실태 조사" 대진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21 박영숙, "영양교육과 상담" 교문사 2013
22 한진경, "영양교사와 급식영양사의 직무만족도 및 수행도 비교연구(I)" 한국식생활문화학회 24 (24): 525-532, 2009
23 김경아, "식행동과 신체발달, 인지능력 및 과잉행동간의 관련성에 관한 연구 제1보 : 취학전 아동의 식행동 조사에 대한 보고" 10 (10): 225-268, 1995
24 김규언, "소아 천식 환자에서 식품 알레르기의 빈도 및 원인식품" 171-, 1995
25 박소현, "서울지역 초등학교의 영양교육 및 상담 현황과 개선방안"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26 정나영, "서울지역 일부 초등학생의 영양지식, 식태도, 및 식습관에 관한 연구" 서울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27 김명숙, "서울지역 성인여성의 골밀도 정상군·위험군의 식습관과 식품섭취 관련요인의 비교분석"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 13 (13): 125-133, 2008
28 김경미, "서울, 인천지역 학교 급식 영양사의 영양관리 실태 조사" 대한영양사협회 9 (9): 57-70, 2003
29 이연숙, "생애주기영양학" 교문사 2010
30 유명희, "부천지역 일부 초등학생의 식습관 및 영양상담에 관한 인식" 단국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31 박명희, "남제주군 학교 급식대상 초,중등학생의 음식 기호와 영양소 섭취량의 비교" 대한영양사협회 8 (8): 342-358, 2002
32 박효정, "광주지역 초등학생의 식습관, 기호도 및 음식섭취에 관한 연구" 전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02
33 황금희, "광주지역 일부 초등학교 저학년 아동의 식습관과 영양소 섭취량 및 혈액성상에 관한 연구" 14 (14): 293-299, 2001
34 장한나, "광주시 일부 초등학교 고학년의 식습관과 식생활 태도에 관한 연구" 전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35 고영숙, "광주·전남지역 초등학생의 채소류 인식과 기호도 조사" 전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36 홍영선, "경기지역 학교 영양(교)사의 영양교육 및 상담 실태 관련요인 연구" 경기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37 박현옥, "경기지역 일부 초등학교 비만아 및 정상아의 영양지식, 식사 및 생활 습관의 비교" 5 (5): 586-596, 2000
38 한지연, "거주지역(농촌형, 도시형)별 초등학생의 식습관 및 영양상담 요구도 조사" 단국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초기 청소년의 휴대전화의존, 주의집중문제, 학습활동의 구조적 관계 종단연구: 잠재성장모형
착한강의 에세이 글쓰기 컨설팅 사례 연구 : 한남대학교를 중심으로
세 번째 아이 기르기에 관한 자문화 기술지 : 진짜 엄마 되어가기
한국 실과 교육과정 ‘가정생활’분야와 일본 가정과 교육과정의 통합적 관점으로의 지속가능발전교육 비교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7-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6-01-06 | 학술지명변경 | 외국어명 :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 The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 ![]() |
2006-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 ![]() |
2004-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1.29 | 1.29 | 1.31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1.37 | 1.42 | 1.436 | 0.3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