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강우시 비점오염물질의 유출특성에 관한 연구 = Runoff Characteristics of Non-Point Source Pollutants in Storm Event -Case Study on the Upstream and Downstream of Kokseong River, Korea-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7635882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곡성천을 대상으로 강우 유출수와 함께 배출되는 비점오염물질을 평가하기 위하여 산지 계류와 인위적인 영향이 큰 하류 지점의 유출특성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

      본 연구에서는 곡성천을 대상으로 강우 유출수와 함께 배출되는 비점오염물질을 평가하기 위하여 산지 계류와 인위적인 영향이 큰 하류 지점의 유출특성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곡성천 수질형성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은 농경지와 주거지 등에서 유출되는 비점오염원에 기인할 것으로 생각된다. 강우 유출수는 시가지의 직접 유출성분과 농경지의 월류수가 빠르게 개입한 하류부의 유량이 상류 계류부보다 신속하게 반응하였다. 비점오염원에 의한 오염물질의 발생은 강우강도가 증가함에 따라 전반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계류부의 SS, BOD, COD, TP와 하류부의 BOD, COD, T-N이 초기 강우의 영향을 크게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류부의 평균수질농도는 계류부에 비해 약 3~315배 증가하였으며, 특히 SS와 T-P의 배출이 극단적으로 증가하였다. 계류부의 강우 유출수 중 지표 유출수가 4.7%에 지나지 않는 반면에 하류부의 지표 유출수는 29%를 차지하고 있어 EMC증가의 중요한 요인으로 간주된다. 그리고 토지이용 형태에 따라 강우시 유출수의 증감의 변화에 따른 수질변화가 복잡하게 나타나고 있었으며, 비점오염원 관리에 있어서 무엇보다도 중요한 것은 초기 유출수의 저감방안의 해결이 가장 중요하다고 판단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study was investigated to runoff characteristics of non-point pollutants according to rainfall in Kokseong river watershed. The result of which is as follows:First of all, major reason which affect the formation of water quality of Kokseong Rive...

      The study was investigated to runoff characteristics of non-point pollutants according to rainfall in Kokseong river watershed. The result of which is as follows:First of all, major reason which affect the formation of water quality of Kokseong River is judged to be caused by non-point pollution source which flows out from farmland and residential area. Flow of rainfall effluent in the downstream in which direct flow components of urban district and combined sewer overflows of farmland was intervened faster than that in the upstream reacted more promptly. Generation of pollutants by non-point source shows increasing trend in general in accordance with the increase in the intensity of rainfall but it was affected by SS, BOD, COD and T-P in the upstream part whereas BOD, COD and T-N were significantly affected by beginning period of rainfall in the downstream. EMC in the downstream increased approximately 3~315 times as compared to upstream, particularly the discharge of SS and T-P were extremely increased. While surface flow out of rainfall effluent in the upstream was only 4.7%, the surface flow in the downstream took up as much as 29%, which was major reason for the increase of EMC. From the above contents, we can see that the change in water quality according to the increase and decrease of effluent at the time of rainfall showed very complex pattern depending on the type of land use, and it is judged that the most important thing for the administration of non-point pollution source is to come up with the solution for the reduction of effluent at the beginning.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요약
      • Abstract
      • 1. 머리말
      • 2. 연구지역의 개요
      • 3. 연구내용 및 조사방법
      • 요약
      • Abstract
      • 1. 머리말
      • 2. 연구지역의 개요
      • 3. 연구내용 및 조사방법
      • 4. 강우 유출수와 수질농도 변화
      • 5. 고찰
      • 6. 요약 및 결론
      • 참고문헌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한국동력자원연구소 한국지질자원연구소 구례도폭 지질보고서" 1984

      2 "한국 선상지의 이론적 고찰과 분포특성" 40 (40): 335-352, 2005

      3 "하천에 있어서 자연성의 보전 정비 창출에 관한 연구(1) 농촌지역에서의 토지이용과 하천수질과의 상관성" 한국환경복원녹화기술학회 1 (1): 84-94, 1998

      4 "토지이용이 이원천 유역의 하천수질에 미치는 영향" 22 (22): 235-240, 1999

      5 "제2차 전국자연환경기초조사 화순곡성의 자연환경생태조사보고서" 환경부 8-11, 2000

      6 "우리나라 농지-임야유역으로부터의 강우유출 EMS부하 및 추정" 25 (25): 760-770, 2003

      7 "영산강과 섬진강 유역의 하천 수질환경 평가" 38 (38): 16-31, 2003

      8 "서울 도시지역의 비점오염원 유출특성에 관한 연구" 15 (15): 315-323, 1999

      9 "산지 물순환 소과정에 있어서 수질변화의 추적분석에 의한 산림의 환경적 정화기능의 계량화 연구" 86 (86): 56-68, 1997

      10 "산림환경이 수자원 함양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283-291, 1993

      1 "한국동력자원연구소 한국지질자원연구소 구례도폭 지질보고서" 1984

      2 "한국 선상지의 이론적 고찰과 분포특성" 40 (40): 335-352, 2005

      3 "하천에 있어서 자연성의 보전 정비 창출에 관한 연구(1) 농촌지역에서의 토지이용과 하천수질과의 상관성" 한국환경복원녹화기술학회 1 (1): 84-94, 1998

      4 "토지이용이 이원천 유역의 하천수질에 미치는 영향" 22 (22): 235-240, 1999

      5 "제2차 전국자연환경기초조사 화순곡성의 자연환경생태조사보고서" 환경부 8-11, 2000

      6 "우리나라 농지-임야유역으로부터의 강우유출 EMS부하 및 추정" 25 (25): 760-770, 2003

      7 "영산강과 섬진강 유역의 하천 수질환경 평가" 38 (38): 16-31, 2003

      8 "서울 도시지역의 비점오염원 유출특성에 관한 연구" 15 (15): 315-323, 1999

      9 "산지 물순환 소과정에 있어서 수질변화의 추적분석에 의한 산림의 환경적 정화기능의 계량화 연구" 86 (86): 56-68, 1997

      10 "산림환경이 수자원 함양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283-291, 1993

      11 "산림유역에서 유출되는 계류수질 특성" 한국수처리기술연구회 7 (7): 45-53, 1999

      12 "산림유역내 강우 발생시 계류수질변화와 지중유출수의 기여도" 7 (7): 51-56, 2005

      13 "벼농사에서 질소유출이 수질에 미치는 영향평가" 24 (24): 270-279, 2005

      14 "물환경조사법" 청문각 1997

      15 "대관령 지역의 산림 소유역과 농경지 소유역의 수질 비교" 39 (39): 544-561, 2004

      16 "농촌지역에서의 비점원 오염물질이 하천수질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수영강을 대상으로-" 1991

      17 "농촌유역특성과 하천수질관계" 43 (43): 56-65, 2001

      18 "농업지역의 비점오염물질 유출특성에 관한 연구 강원도 춘천을 중심으로" 17 (17): 299-311, 2001

      19 "남천에서의 강우시 비점오염물질의 유출특성" 31 (31): 1-6, 2005

      20 "곡성지역의 산록침식면과 선상지에 관한 연구" 32 (32): 19-34, 1998

      21 "곡성군 입면지역에 발달한 산록면의 지형 형성과정" 11 (11): 21-33, 2004

      22 "경안천 유역의 강우사상별 비점오염원 유출특성 및 원단위 조사" 24 (24): 2019-2027, 2002

      23 "강우시 소옥천의 비점오염원 유출 특성" 20 (20): 657-663, 2004

      24 "降雨に伴う谷部飽 和帶の擴大と溪流水のNO3-N 濃度の變動" 10 (10): 154-160, 1997

      25 "水質を用いた流出分析の展望" 立正大學大學院年報 61-71, 1985

      26 "水質により分離した流出成分と長短期流出 兩用モデルによる流出成分の比較" 10 (10): 133-143, 1997

      27 "Verticalchanges in soil solution chemistry in soilprofiles under coniferous forest" 1-17, 1993

      28 "The nonpoint source impacts of peri urban settlements in South Africa implications for their management" 39 (39): 283-290, 1999

      29 "The Example of Lagos Recent Trends in Precipiation and the WaterBalance of Tropical Cities" 33-41, 1990

      30 "Suspended sediment transport in amountainous catchment Science Reports of theGeoscience" Univ 137-197, 1992

      31 "Study on characteristics of pollutant runoff into lake Biwa Japan" 39 (39): 17-25, 1999

      32 "Streamwater chemistryduring rainfall events in a forested basin Journal of Hydrology" 235-253, 1988

      33 "Streamflow and suspended sediment yield following the 2000 bcat fire Colorado" 20 : 1661-1681, 2006

      34 "Standard Methods for the Examination of Water and Wastewater" 1998

      35 "Selecting a calculation method to estimate sediment and nutrient loada in streams Application to the Beaurivage River" 305 : 1-16, 2006

      36 "SRC Method에 의한 산지 소유역의 부유토사 유출량 산정" 17-31, 1994

      37 "Results of the nationwide urban runoffprogram" 1983

      38 "Nonpoint sources of water pollution" 14-18, 1985

      39 "Mechanism of nitrate loss from a forested catchment following a small scale natural disturbance" 31 : 1326-1335, 2001

      40 "Identification of Critical Areas on Water Quality in a Rural Watershed" 43 (43): 145-152, 2001

      41 "Applied chemical hydrogeology" Prentice Hall 2001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계속평가 신청대상 (등재유지)
      2017-01-01 평가 우수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2014-01-03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Journal of the Korean Geographic Society -> Journal of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0-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14 1.14 1.2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17 1.13 1.701 0.5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