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SCOPUS KCI등재 SCIE

      사체 신이식 후 지연성 기능장애에서 Tacrolimus 의 효과 = Tacrolimus in Delayed Graft Function in Cadaveric Renal Transplantation사체 신이식 후 지연성 기능장애에서 Tacrolimus 의 효과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961535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사체 신이식 후 급성세뇨관괴사가 예견되거나 입증된 경우 단클론 혹은 다클론 항체가 급성세뇨관괴사에 따른 급성 거부반응의 발생을 감소시키기 위해 사용되고 있으나, 치명적인 합병증 ...

      사체 신이식 후 급성세뇨관괴사가 예견되거나 입증된 경우 단클론 혹은 다클론 항체가 급성세뇨관괴사에 따른 급성 거부반응의 발생을 감소시키기 위해 사용되고 있으나, 치명적인 합병증 발생의 위험이 높다. Cyclosporine에 비해 강력한 면역억제기능을 가진 tacrolimus는 아직까지 지연성 기능장애에서의 효과가 알려진 바가 없다. 본 연구에서는 지연성 기능장애 기간 중 tacrolimus가 단클론 혹은 다클론 항체를 대신할 수 있는지 알아보았다.
      1991년 3월부터 2000년 8월까지 서울아산병원에서 지연성 기능장애는 일차 사체 신이식 환자 293명 중 18명에서 발생하였으며, 이 기간 중 주 면역억제제로 cyclosporine 대신 tacrolimus를 사용한 12명의 임상경과를 알아보았다.
      급성세뇨관괴사는 7명에서는 이식신 생검으로, 5명에서는 임상상 및 Tc-99m DTPA 신스캔으로 진단되었다. 지연성 기능장애는 평균 13일 지속되었고, 평균 소변량은 1,007 mL/day이었다. 2명에서는 tacrolimus를 초기부터 사용하였고, 10명에서는 술 후 6-10일에 교체 하였다. Tacrolimus 사용 후 평균 10일째부터 투석 없이 크레아틴 수치가 감소하였다. Tacrolimus는 0.18 ㎎/㎏/day로 투여되었고, 혈중 최소농도는 14.1±8.4 ng/mL이었다. 12명 중 1명은 이식 후 27일에 이식신기능부전 및 aspergillosis 감염으로 이식신을 제거하였으나, 나머지 11명은 신기능이 성공적으로 회복되었다. 1명에서 이식 후 15개월에 급성 거부반응(Banff classification type IB)이 발생하였고, 1명은 이식신의 기능이 좋은 상태로 사고로 사망하였다. 1년 이식신 생존률과 환자 생존률은 각각 83%와 92%이었다.
      이상의 결과로 tacrolimus는 cyclosporine을 대신하여 지연성 기능장애에서 급성 거부반응의 발생을 예방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으며, 단클론 혹은 다클론 항체의 치명적인 합병증 발생의 위험없이 양호한 이식신생존률을 얻을 수 있다고 사료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Background : In the presence of anticipated or established acute tubular necrosis (ATN) immediately after cadaveric kidney transplantation, induction with monoclonal or polyclonal antibody is recommended in preparation of increased risk of acute rejec...

      Background : In the presence of anticipated or established acute tubular necrosis (ATN) immediately after cadaveric kidney transplantation, induction with monoclonal or polyclonal antibody is recommended in preparation of increased risk of acute rejection caused by ATN. Tacrolimus is a potent immunosuppressive agent than cyclosporine. In this study, we analyzed retrospectively the clinical outcome of patients who had taken tacrolimus as a replacement of cyclosporine in the period of delayed graft function(DGF) to determine the eligibility of tacrolimus instead of antilymphocyte antibody in this situation. Methods : Between March 1, 1991 and August 31, 2000, DGF developed in eighteen first cadaveric renal transplant recipients in our center. During DGF period, twelve patients received tacrolimus based immunosuppression without OKT3. We reviewed the complete clinical course of the 12 patients. Results : Among the 12 patients, 1 patient underwent graft nephrectomy at postoperative 27 days, because of poor renal function and concomitant aspergillosis infection. In the remaining 11 patients, however, for whom tacrolimus was maintained continuously without OKT3 therapy, renal function was recovered successfully. One acute rejection developed at postoperative 15 months. One patient died at postoperative 5 months with functioning graft. One-year graft survival rate was 83%. Conclusion : Tacrolimus could be used in replacement of cyclosporine for the prevention of acute rejection in DGF. This could provide a graft survival comparable to that by the monoclonal or polyclonal antibodies without the potential risk of life-threatening side effects in this situation.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