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대학원 수준에서의 교원양성 방안 = Models for Graduate School Level Initial Teacher Training in Korea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300716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는 대학원 수준에서의 교원양성 교육 방안들을 비교 검토하기 위한 정책연구이다.최근 교육개혁의 성공적 정착을 위한 기본 요소로 교원의 자질 향상 방안이 모색되는 가운데, 교원 ...

      이 연구는 대학원 수준에서의 교원양성 교육 방안들을 비교 검토하기 위한 정책연구이다.최근 교육개혁의 성공적 정착을 위한 기본 요소로 교원의 자질 향상 방안이 모색되는 가운데, 교원 양성 교육을 대학원 수준으로 격상시켜야 한다는 주장이 종종 제기되고 있다.대학원 수준에서의 교원양성 교육의 필요성은 교원양성 교육기간 연장을 통한 교원 자질향상, 교원의 사회적 지위 향상, 교직의 개방성 증진 및 교원 수급 조절등 매우 다양하고 이질적인 문제 의식을 배경으로 하여 논의되고 있다.이 연구에서는 6년제, 2+4년제, 4+2년제, 복합형 등 대학원 수준에서의 교원양성 교육의 가능한 모형들의 주요 특징과 각각의 장단점을 비교 논의하였다.이들 모형 중 어느 모형을 채택할 것인지는 상당한 정도 이해 집단 사이의 힘 겨루기 양상을 띠게 될 것으로 예상되지만 모형 채택의 가장 중요한 고려 사항은 각 모형이 과연 어느 면에서 교원의 전문성을 심화 또는 약화시키는가 하는 점이 되어야 할 것이다.그리고 이러한 기준에 비추어 보면 4+2 체제보다는 6년제 또는 2+4체제가 교원의 전문성 신장에 더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is a policy proposal for introduction of graduate school level initial teacher training in Korea. In recent years, there are growing concerns for improving teachers' quality as a key factor for educational reform, and in this context it is ...

      This study is a policy proposal for introduction of graduate school level initial teacher training in Korea. In recent years, there are growing concerns for improving teachers' quality as a key factor for educational reform, and in this context it is often argued that initial teacher training need to be upgraded to graduate school level. In this study, I examined possible models for graduate school level teacher training system: six(or five) years model, four years undergraduate and two years graduate(4+2) model, 2+4 model and compounded model. I argue that decisions on which model to be adopted should be based, first and foremost, on the consideration on each model's possible contribution to improving teacher's status, or providing more openness to the teaching profession, or even worse, keeping the balance of teacher supply and demand. I conclude that six years model or 2+4 model is more practical and sound model than 4+2 model.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서 론
      • Ⅱ.교원의 자질 향상을 위한 정책 과제들
      • Ⅲ.대학원 중심 교원양성 제도 도입 논의의 배경
      • Ⅳ.대학원 수준에서의 교원양성 교육 모형의 탐색
      • 1.제1안 : 6년제(5년제) 교원양성교육 체계
      • Ⅰ.서 론
      • Ⅱ.교원의 자질 향상을 위한 정책 과제들
      • Ⅲ.대학원 중심 교원양성 제도 도입 논의의 배경
      • Ⅳ.대학원 수준에서의 교원양성 교육 모형의 탐색
      • 1.제1안 : 6년제(5년제) 교원양성교육 체계
      • 2.제2안 : 2+4 년제 교원양성교육 체계
      • 3.제3안 : 4+2 년제 교원양성교육 체계
      • 4.제4안 : 독립형 교원양성교육 체계
      • 5.종합논의
      • Ⅴ.결론 및 제언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