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심부전 치료제의 임상적 성과변수에 대한 비교 연구 : 체계적 문헌고찰 및 베이지안 네트워크 메타분석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444120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허가사항에 따르면 Entresto(상품명: 엔트레스토 필름코팅정Ⓡ)는 ‘수축 기능에 부전이 있는 (NYHA 분류의 Ⅱ-Ⅳ)에 해당하는 심부전환자의 치료’에 사용 가능하며, 해당 약제는 ACE 억제제 또는 ARB와 대체가능하다. 그러나 Entresto는 ACE 억제제 중 하나인 Enalapril와 직접비교한 무작위배정임상시험(Randomized controlled trial, RCT)은 PARADIGM-HF 1건 뿐이며, 또 다른 비교가능 약물인 ARB는 Entresto와의 임상효과가 확인되지 않았다. 따라서 Entresto가 ACE 억제제 또는 ARB와 대체가능하다는 타당성을 입증하기에는 다소 한계가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이에 본 연구는 Entresto가 ACE 억제제 또는 ARB를 대체 가능한다는 것을 확인하기 위해 다양한 치료법을 동시에 비교 가능한 베이지안 네트워크 메타분석(Network meta-analysis, NMA)을 사용하여 Entresto의 유의미한 임상효과 개선을 보고자 한다.
      국내 허가사항을 고려하여 ACE 억제제에선 Enalapril, ARB 계열의 약물에선 Candesartan, Valsartan이 적절한 비교대안인 것으로 판단하였으며, 또한 Enalapril은 상기에 언급된 바와 같이 대규모 임상시험에서 Entresto와 직접 비교한(Head to Head) 결과를 확인할 수 있어 근거 수준(Level of Evidence)이 높은 자료로 사용이 가능하다. 본 연구의 결과변수는 심혈관계 질환으로 인한 사망과 심혈관계 질환으로 인한 입원이며, WinBUGS 프로그램을 이용한 베이지안 메타분석 결과로 ‘HR이 1보다 클 확률이 90% 이상일 때 심혈관계 질환으로 인한 사망, 심혈관계 질환으로 인한 입원에 대한 결과가 유의하다’는 가설을 검증하였다.
      수축기능에 부전이 있는 만성 심부전 환자를 대상으로 Entresto와 Enalapril의 효과에 대해 체계적 문헌고찰을 수행한 결과, 국내 자료원에서 145건(Koreamed 40건, 한국교육학술정보원 112건 중 7건 중복제외), 국외 자료원에서 543건(Pubmed 298건, Cochrane library 565건 중 320건 중복제외)의 문헌이 검색되었다. 1차로 제목, 초록을 확인하여 각각 143건 및 415건을 배제했고, 전문 검토를 통해 각각 2건 및 124건이 배제되어 총 4건의 문헌을 선정하였다. Entresto와 Candesartan, Valsartan의 효과에 대한 체계적 문헌고찰을 수행한 결과, 국내 자료원에서 113건(KoreaMed 20건, 한국교육학술정보원 96건 중 3건 중복제외), 국외 자료원에서 307건(PubMed 179건, Cochrane library 311건 중 183건 중복제외)의 문헌이 검색되었다. 1차로 제목, 초록을 확인하여 각각 111건 및 237건이 배제되고, 전문 검토로 각각 2건 및 64건이 배제되어 최종 6건의 문헌을 선정하였다. 이 중 McMurray 등(2014)은 두 번에 걸친 체계적 문헌고찰에 중복으로 포함되어 있으므로 네트워크 메타분석을 위해 선정된 최종 문헌의 개수는 9건이다. 선정된 후보 무작위배정임상시험들을 정리한 결과 논문 간 비교가능성이 높고, 교환가능성 가정을 만족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따라서 최종적으로 선택된 임상시험을 사용해 심혈관계 질환으로 인한 사망, 심혈관계 질환으로 인한 입원에 대해 네트워크 메타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 결과 Entresto가 Enalapril, ARB(Candesartan, Valsartan) 보다 임상결과변수에서 우월한 효과를 나타내었다.
      번역하기

      허가사항에 따르면 Entresto(상품명: 엔트레스토 필름코팅정Ⓡ)는 ‘수축 기능에 부전이 있는 (NYHA 분류의 Ⅱ-Ⅳ)에 해당하는 심부전환자의 치료’에 사용 가능하며, 해당 약제는 ACE 억제제 또...

      허가사항에 따르면 Entresto(상품명: 엔트레스토 필름코팅정Ⓡ)는 ‘수축 기능에 부전이 있는 (NYHA 분류의 Ⅱ-Ⅳ)에 해당하는 심부전환자의 치료’에 사용 가능하며, 해당 약제는 ACE 억제제 또는 ARB와 대체가능하다. 그러나 Entresto는 ACE 억제제 중 하나인 Enalapril와 직접비교한 무작위배정임상시험(Randomized controlled trial, RCT)은 PARADIGM-HF 1건 뿐이며, 또 다른 비교가능 약물인 ARB는 Entresto와의 임상효과가 확인되지 않았다. 따라서 Entresto가 ACE 억제제 또는 ARB와 대체가능하다는 타당성을 입증하기에는 다소 한계가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이에 본 연구는 Entresto가 ACE 억제제 또는 ARB를 대체 가능한다는 것을 확인하기 위해 다양한 치료법을 동시에 비교 가능한 베이지안 네트워크 메타분석(Network meta-analysis, NMA)을 사용하여 Entresto의 유의미한 임상효과 개선을 보고자 한다.
      국내 허가사항을 고려하여 ACE 억제제에선 Enalapril, ARB 계열의 약물에선 Candesartan, Valsartan이 적절한 비교대안인 것으로 판단하였으며, 또한 Enalapril은 상기에 언급된 바와 같이 대규모 임상시험에서 Entresto와 직접 비교한(Head to Head) 결과를 확인할 수 있어 근거 수준(Level of Evidence)이 높은 자료로 사용이 가능하다. 본 연구의 결과변수는 심혈관계 질환으로 인한 사망과 심혈관계 질환으로 인한 입원이며, WinBUGS 프로그램을 이용한 베이지안 메타분석 결과로 ‘HR이 1보다 클 확률이 90% 이상일 때 심혈관계 질환으로 인한 사망, 심혈관계 질환으로 인한 입원에 대한 결과가 유의하다’는 가설을 검증하였다.
      수축기능에 부전이 있는 만성 심부전 환자를 대상으로 Entresto와 Enalapril의 효과에 대해 체계적 문헌고찰을 수행한 결과, 국내 자료원에서 145건(Koreamed 40건, 한국교육학술정보원 112건 중 7건 중복제외), 국외 자료원에서 543건(Pubmed 298건, Cochrane library 565건 중 320건 중복제외)의 문헌이 검색되었다. 1차로 제목, 초록을 확인하여 각각 143건 및 415건을 배제했고, 전문 검토를 통해 각각 2건 및 124건이 배제되어 총 4건의 문헌을 선정하였다. Entresto와 Candesartan, Valsartan의 효과에 대한 체계적 문헌고찰을 수행한 결과, 국내 자료원에서 113건(KoreaMed 20건, 한국교육학술정보원 96건 중 3건 중복제외), 국외 자료원에서 307건(PubMed 179건, Cochrane library 311건 중 183건 중복제외)의 문헌이 검색되었다. 1차로 제목, 초록을 확인하여 각각 111건 및 237건이 배제되고, 전문 검토로 각각 2건 및 64건이 배제되어 최종 6건의 문헌을 선정하였다. 이 중 McMurray 등(2014)은 두 번에 걸친 체계적 문헌고찰에 중복으로 포함되어 있으므로 네트워크 메타분석을 위해 선정된 최종 문헌의 개수는 9건이다. 선정된 후보 무작위배정임상시험들을 정리한 결과 논문 간 비교가능성이 높고, 교환가능성 가정을 만족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따라서 최종적으로 선택된 임상시험을 사용해 심혈관계 질환으로 인한 사망, 심혈관계 질환으로 인한 입원에 대해 네트워크 메타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 결과 Entresto가 Enalapril, ARB(Candesartan, Valsartan) 보다 임상결과변수에서 우월한 효과를 나타내었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 1. 연구배경
      • 2. 연구목적
      • Ⅱ. 이론적 배경
      • Ⅰ. 서론
      • 1. 연구배경
      • 2. 연구목적
      • Ⅱ. 이론적 배경
      • 1. 심부전의 질병 특성
      • A. 유병 현황
      • B. 심부전의 분류
      • C. 심부전의 임상적 양상
      • D. 원인질환 및 악화인자
      • E. 진단
      • F. 통상적 치료법
      • G. 표준 치료법
      • 2. 베이지안 네트워크 메타분석의 개요
      • Ⅲ. 연구 방법
      • 1. 비교 대안 선정 과정
      • 2. 체계적 문헌고찰
      • A. 임상문헌 수집을 위한 연구 질문(PICO) 및 검색전략
      • B. 문헌의 선정배제 기준
      • 2. 비뚤림 위험 평가 방법
      • 3. 베이지안 메타분석 방법
      • A. 분석 방법
      • Ⅳ. 연구 결과
      • 1. 체계적 문헌고찰 논문 선정 결과
      • A. 최종 확인된 무작위배정임상시험의 목록
      • B. Entresto와 비교대안에 대한 교환가능성 평가
      • 2. Entresto와 비교대안의 네트워크 메타분석 결과제시 및 해석
      • Ⅴ. 민감도 분석
      • 1. 통계적 방법에 대한 민감도 분석
      • 2. 임상자료에 대한 민감도 분석
      • Ⅵ. 결론
      • Ⅶ. 참고문헌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