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독일 통일과 동독 이탈자를 통해 본 자유와 평등의 문제 = The Problem of Freedom and Equality in the Case of German Unification and East German Deserter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012123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동유럽의 체제전환은 동독인과 동유럽인에게 사회주의에 이어 자유민주주의 및 자본주의적 시장경제를 경험할 수 있는 기회를 의미했다. 그런데 두 이념과 체제의 차이는 다른 동구권 국가 국민들보다 서독의 흡수 통일을 선택한 동독인이 훨씬 더 선명하게 경험했는데, 그들은 서독이라는 이미 주어진 구조적 불평등 속에서 자유주의 세계에서의 험난한 여정을 시작했기 때문이었다. 동독인은 통일과정에서 헤게모니를 장악한 서독의 존재로 말미암아 자유의 전제이자 대가인 불평등을 좀 더 신랄하고 강렬하게 경험해야 했다. 다른 동유럽 사회가 어느 정도 시간이 경과된 후에 비로소 인식하게 될 실망과 불만을 동독은 처음부터 겪어야 했던 것이다.
      통일 이전에 동독을 떠난 이탈자는 이러한 체험을 좀 더 일찍 한 경우였다. 동독에서 통일 이후의 서독이 불평등과 불만의 원인이자 대상이었다면, 통일 이전의 서독은 동독 체제의 비효율성과 부정적인 측면을 선명하게 부각시켜주는 이상적인 대안이었다. 그로 인해 서독은 지속적으로 동독인을 끌어당기는 강력한 자석이었고, 무려 360만 명에 이르는 동독인이 통일 이전에 서독의 흡인력에 이끌려 동독 땅을 떠났다. 그러나 그들의 정착 과정 역시 실망과 절망으로 점철되었다.
      동독인은 평등과 자유를 모두 경험한 이념사적으로 매우 소중한 경험적 자료이자 정보이다. 그들은 자유와 평등의 긴장관계는 물론 양자의 한계를 생생하게 보여주는 살아있는 증거이다. 통일 후 20년을 훌쩍 넘겨버린 오늘날에도 그토록 갈구했던 자유민주주의 체제에 여전히 통합되지 못한 채 부유하는 동독인의 모습에서 우리는 이 체제의 냉혹함과 배타성을 확인할 수 있다.
      이 글의 목적은 1) 오늘날 동독인이 여전히 자본주의 및 자유민주주의 체제와 일정한 거리를 두고 있음을 보여주고, 2) 단순히 막연한 기대만으로 이 체제를 선택한 그들이 통합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모습을 통해 체제에 내재하는 불평등과 배타성을 드러내 보이는데 있다. 이를 위해 통일 이전 동독을 떠난 사람들(이하 동독 이탈자)과 통일 이후의 동독인을 중심으로 그들의 경험과 인식을 자유와 평등의 문제에서 해석하고 평가해보고자 한다.
      번역하기

      동유럽의 체제전환은 동독인과 동유럽인에게 사회주의에 이어 자유민주주의 및 자본주의적 시장경제를 경험할 수 있는 기회를 의미했다. 그런데 두 이념과 체제의 차이는 다른 동구권 국가...

      동유럽의 체제전환은 동독인과 동유럽인에게 사회주의에 이어 자유민주주의 및 자본주의적 시장경제를 경험할 수 있는 기회를 의미했다. 그런데 두 이념과 체제의 차이는 다른 동구권 국가 국민들보다 서독의 흡수 통일을 선택한 동독인이 훨씬 더 선명하게 경험했는데, 그들은 서독이라는 이미 주어진 구조적 불평등 속에서 자유주의 세계에서의 험난한 여정을 시작했기 때문이었다. 동독인은 통일과정에서 헤게모니를 장악한 서독의 존재로 말미암아 자유의 전제이자 대가인 불평등을 좀 더 신랄하고 강렬하게 경험해야 했다. 다른 동유럽 사회가 어느 정도 시간이 경과된 후에 비로소 인식하게 될 실망과 불만을 동독은 처음부터 겪어야 했던 것이다.
      통일 이전에 동독을 떠난 이탈자는 이러한 체험을 좀 더 일찍 한 경우였다. 동독에서 통일 이후의 서독이 불평등과 불만의 원인이자 대상이었다면, 통일 이전의 서독은 동독 체제의 비효율성과 부정적인 측면을 선명하게 부각시켜주는 이상적인 대안이었다. 그로 인해 서독은 지속적으로 동독인을 끌어당기는 강력한 자석이었고, 무려 360만 명에 이르는 동독인이 통일 이전에 서독의 흡인력에 이끌려 동독 땅을 떠났다. 그러나 그들의 정착 과정 역시 실망과 절망으로 점철되었다.
      동독인은 평등과 자유를 모두 경험한 이념사적으로 매우 소중한 경험적 자료이자 정보이다. 그들은 자유와 평등의 긴장관계는 물론 양자의 한계를 생생하게 보여주는 살아있는 증거이다. 통일 후 20년을 훌쩍 넘겨버린 오늘날에도 그토록 갈구했던 자유민주주의 체제에 여전히 통합되지 못한 채 부유하는 동독인의 모습에서 우리는 이 체제의 냉혹함과 배타성을 확인할 수 있다.
      이 글의 목적은 1) 오늘날 동독인이 여전히 자본주의 및 자유민주주의 체제와 일정한 거리를 두고 있음을 보여주고, 2) 단순히 막연한 기대만으로 이 체제를 선택한 그들이 통합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모습을 통해 체제에 내재하는 불평등과 배타성을 드러내 보이는데 있다. 이를 위해 통일 이전 동독을 떠난 사람들(이하 동독 이탈자)과 통일 이후의 동독인을 중심으로 그들의 경험과 인식을 자유와 평등의 문제에서 해석하고 평가해보고자 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For the East German and East European People the transformation of Eastern Europe meant an opportunity to experience western democracy and capitalist market economy after socialism and dictatorship. However, the differences between the two ideologies and systems were experienced much more clearly by the East German People who were absorbed to West Germany through the reunification, than the people of the other Eastern Bloc countries. They had to begin the long and difficult journey in the liberalism under an structural inequalities, West Germany. Because of the presence of West Germany secured hegemony in the process of the unification they experienced the inequality as the premise and prices of the freedom more intensely. Therefore, East Germany must have had the disappointment and dissatisfaction from the beginning that other Eastern European societies would be aware of only after some time.
      The deserters who left East Germany before reunification had an experience of these sooner. In GDR, FRG after reunification is the cuase of the inequality and the target of complaints, while FRG before reunication was regarded as an ideal alternative to the inefficient and negative socialist system in east side of Germany. As a result, the West Germany attracted the East German people like a strong magnet leading a whopping 3.6 million people to West Germany before reunification. But the process their settlement in FRG also was accompanied with disappointment and despair.
      The people of GDR experienced both ot freedom an equality can be considered as an very important empirical data information in the history of thought. They show not only the tension between freedom and equality, but also the limits of both values. We find the brutality and aggression of liberalism and capitalism in the case of them who could still not integrated 20 years after reunification.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1) to show that they keep still distance from that systems, and also to show the inequality and exclusion that are inherent in the system with them, the people of GDR, who choose wrong with a vague expectation and, as a result, are confronting difficulties in integration today. This article looks forward to contribute to the debate on the problem of freedom and equality.
      번역하기

      For the East German and East European People the transformation of Eastern Europe meant an opportunity to experience western democracy and capitalist market economy after socialism and dictatorship. However, the differences between the two ideologies ...

      For the East German and East European People the transformation of Eastern Europe meant an opportunity to experience western democracy and capitalist market economy after socialism and dictatorship. However, the differences between the two ideologies and systems were experienced much more clearly by the East German People who were absorbed to West Germany through the reunification, than the people of the other Eastern Bloc countries. They had to begin the long and difficult journey in the liberalism under an structural inequalities, West Germany. Because of the presence of West Germany secured hegemony in the process of the unification they experienced the inequality as the premise and prices of the freedom more intensely. Therefore, East Germany must have had the disappointment and dissatisfaction from the beginning that other Eastern European societies would be aware of only after some time.
      The deserters who left East Germany before reunification had an experience of these sooner. In GDR, FRG after reunification is the cuase of the inequality and the target of complaints, while FRG before reunication was regarded as an ideal alternative to the inefficient and negative socialist system in east side of Germany. As a result, the West Germany attracted the East German people like a strong magnet leading a whopping 3.6 million people to West Germany before reunification. But the process their settlement in FRG also was accompanied with disappointment and despair.
      The people of GDR experienced both ot freedom an equality can be considered as an very important empirical data information in the history of thought. They show not only the tension between freedom and equality, but also the limits of both values. We find the brutality and aggression of liberalism and capitalism in the case of them who could still not integrated 20 years after reunification.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1) to show that they keep still distance from that systems, and also to show the inequality and exclusion that are inherent in the system with them, the people of GDR, who choose wrong with a vague expectation and, as a result, are confronting difficulties in integration today. This article looks forward to contribute to the debate on the problem of freedom and equality.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머리말
      • Ⅱ. 동독 이탈자의 자유 경험
      • Ⅲ. 동독의 서독화 과정
      • Ⅳ. 동독인의 서독 인식
      • Ⅴ. 맺는말
      • Ⅰ. 머리말
      • Ⅱ. 동독 이탈자의 자유 경험
      • Ⅲ. 동독의 서독화 과정
      • Ⅳ. 동독인의 서독 인식
      • Ⅴ. 맺는말
      • 참고문헌
      • <국문초록>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고상두, "통일 이후 사회통합 수준에 대한 동서독 지역주민의 인식" 한국유럽학회 28 (28): 269-288, 2010

      2 김재상, "통일 이후 동서독 간 갈등의 재조명 - 2000년대 오스탈기 붐과 동독 이상화 현상을 보는 독일사회의 시각변화" 한국뷔히너학회 36 : 209-232, 2011

      3 권혁준, "통일 이후 동독주민의 정체성 위기와 오스탈기 - 옌스 슈파르슈의 『실내분수대』" 한국카프카학회 (22) : 197-220, 2009

      4 조항제, "민주주의와 미디어의 권력화-이론적 성찰" 9 (9): 6-39, 2001

      5 김누리, "동독의 귀환 - 통일 이후 독일의 가치관 변화" 한국괴테학회 (21) : 193-221, 2008

      6 최승완, "동독 이탈주민에서 서독 시민으로― 1950년대 서독의 탈동독민 통합 정책 ―" 이화사학연구소 (46) : 457-500, 2013

      7 최승완, "동독 사회주의 체제에 대한 거부: 동독 시민의 탈동독 행렬 1949-1989" 한국서양사학회 (73) : 155-196, 2002

      8 콜모르겐, 라이, "독일 통일 및 동독연구의 담론들: 20년 후의 비판적 회고" 5 (5): 193-219, 2013

      9 구춘권, "독일 통일 20년의 정치경제 ― 비판적 평가와 시사점" 21세기정치학회 21 (21): 155-178, 2011

      10 서정일, "구동독 주민의 동독 이탈 및 서독 사회 적응과정에 관한 사회문화적 고찰" 한국독일언어문학회 (42) : 189-211, 2008

      1 고상두, "통일 이후 사회통합 수준에 대한 동서독 지역주민의 인식" 한국유럽학회 28 (28): 269-288, 2010

      2 김재상, "통일 이후 동서독 간 갈등의 재조명 - 2000년대 오스탈기 붐과 동독 이상화 현상을 보는 독일사회의 시각변화" 한국뷔히너학회 36 : 209-232, 2011

      3 권혁준, "통일 이후 동독주민의 정체성 위기와 오스탈기 - 옌스 슈파르슈의 『실내분수대』" 한국카프카학회 (22) : 197-220, 2009

      4 조항제, "민주주의와 미디어의 권력화-이론적 성찰" 9 (9): 6-39, 2001

      5 김누리, "동독의 귀환 - 통일 이후 독일의 가치관 변화" 한국괴테학회 (21) : 193-221, 2008

      6 최승완, "동독 이탈주민에서 서독 시민으로― 1950년대 서독의 탈동독민 통합 정책 ―" 이화사학연구소 (46) : 457-500, 2013

      7 최승완, "동독 사회주의 체제에 대한 거부: 동독 시민의 탈동독 행렬 1949-1989" 한국서양사학회 (73) : 155-196, 2002

      8 콜모르겐, 라이, "독일 통일 및 동독연구의 담론들: 20년 후의 비판적 회고" 5 (5): 193-219, 2013

      9 구춘권, "독일 통일 20년의 정치경제 ― 비판적 평가와 시사점" 21세기정치학회 21 (21): 155-178, 2011

      10 서정일, "구동독 주민의 동독 이탈 및 서독 사회 적응과정에 관한 사회문화적 고찰" 한국독일언어문학회 (42) : 189-211, 2008

      11 "“Vom Wessi zum Wossi", in ZEIT-ONLINE"

      12 Busch, Ulrich, "Zehn Jahre Vereingungspolitik - Kritische Bilanz und humane Alternativen. 3. Aufl" 2002

      13 Pollack, Detlef, "Wirtschaftlicher, sozialer und mentaler Wandel in Ostdeutschland" 40 : 13-21, 2000

      14 Pollack, Detlef, "Wie ist es um die innere Einheit Deutschlands bestellt?" 30 : 3-7, 2006

      15 Kasse, Max, "Werte und nationale Identität im vereinten Deutschland" 151-267, 1997

      16 Kessler, H. G., "Vom “Großen Knast" ins “Paradies"? DDR-Büger in der Bundesrepublik" 1983

      17 Stengler, Horst, "Soziale und kulturelle Fremtheit" 27 : 18-38, 1998

      18 Pickel, Gerhard, "Politische Einheit - kultureller Zwiespalt?" 157-177, 1998

      19 Gurevitch, Michael, "Political communication systems and democratic values" Democracy and the mass media 269-289, 1990

      20 Kosmala, Beate, "Polenbilder in Deutschland seit 1945, in Vorurteile, Informaitonen zur politischen Bildung (Heft 271)"

      21 Schröder, Gerhard, "Jugendliche Flühtlinge aus der der SBZ" 1958

      22 "Jahresbericht der Bundesregierung zum Stand der Deutschen Einheit 2012"

      23 Bundeszentrale für politische Bildung, "Informationen zur politischen Bildung Nr. 271. Vorurteile – Stereotype – Feindbilder" 2006

      24 Schröder, Wilhelm Heinz, "Historical Social Research/Historische Sozialforschung" 3-78, 1998

      25 Statistisches Bundesamt, "Fachserie 11, Reihe 4.1. Bildung und Kultur. Studierende an Hochschulen Wintersemester 2012/2013"

      26 Institut für Demoskopie Allensbach, "Die gegenseitige Wahrnehmung Ost- und Westdeutscher. Allensbacher Repräsentativumfrage im Auftrag der Hochschulinitiative Neue Bundesländer"

      27 레나테 휘르트겐, "Die deutsche Vereinigung aus der Perspektive von DDR-Frauen" 한국독일사학회 (20) : 43-76, 2010

      28 Zapf, Wolfgang, "Die Transformation in der ehemaligen DDR und die soziologische Theorie der Modernisierung" 1992

      29 Petersen, Thomas, "Die Bewältigung der Diktatur – in den Familien" 7-, 2011

      30 Süskind, Patrick, "Deutschland, eine Midlife-Crisis" (38) : 116-125, 1990

      31 Institut für Demoskopie Allensbach, "Deutschland im Frühjahr 1995. Die Muster der gegenseitigen Beeinflussung von Ost- und Westdeutschen" Allensbacher Archiv

      32 Wendt, Hartmut, "Deutschland Archiv, Heft 24" 386-395, 1991

      33 Petersen, Thomas, "Der Wert der Freiheit. Deutschland vor einem neuen Wertewandel?" 2005

      34 Schroeder, Klaus, "Der SED-Staat: Partei, Staat und Gesellschaft 1949-1990" Haner Verlag 1990

      35 "Der Paritätische Gesamtverband, Zwischen Wohlstand und Verarmung: Deutschland vor der Zerreißprobe. Bericht zur regionalen Armutsentwicklung in Deutschland 2013"

      36 "Bulletin des Presse- und Informationsamts der Bundesregierung Nr. 86"

      37 Piore, M. J., "Birds of passage: Migrant Labor Industrial Societies" 1979

      38 Institut für Demoskopie Allensbach, "AWA ‘96. Code-Buch"

      39 Institut für Demoskopie Allensbach, "AWA ‘91 – Deutschland-Ost, Bd.1"

      40 Institut für Demoskopie Allensbach, "AWA 2000. Märkte"

      41 피터스토로퍼, "20 Jahre nach der Wiedervereinigung - Ist der 'Aufbau Ost' am Ende?" 한국독일어문학회 21 (21): 259-280, 2013

      42 Steffens, Doris, "20 Jahre Mauerfall - Zur Wortschatzentwicklung seit der Wendezeit" 37 (37): 148-167, 2009

      43 Noelle-Neumann, Elisabeth, ""Wie nah, wie fern?" Eine Dokumentation des Beitrags für den Jahresbericht 195 der "wir. Wirtschaftsinitiativen für Deutschland e.V"" Allensbacher Archiv 1998

      44 Noelle-Neumann, Elisabeth, ""Premiere eines demoskopischen Vergleichs zwischen Ost- und Westdeutschland. Auf welche Unterschiede man sich einstellen muss". Vortrag, gehalten am 29. 9. 1990 in Frankfurt und Dusseldorf und am 21. 9. 1990 in Berlin. Allensbacher Archiv Publikation Nr. VNN1990/042"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5-31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외대사학 -> 역사문화연구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75 0.75 0.6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6 0.49 1.216 0.2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