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요서지역 흥륭와문화기 마고여신상의 등장과 `마고제천` = A Study on the appearance of `Mago麻姑 Goddess Statues` and `Mago Heaven Rituals祭天` in Xinglongwa興隆窪 Culture period of Liaoxi遼西 area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근래 중국 동북공정의 핵심 지역으로 떠오르고 있는 요서지역의 상고문화 중에서도 흥륭와문화기, 서랍목륜하 일대의 문화 유형인`백음장한 유형`에 속하는 백음장한 유적에서는 요서지역...

      근래 중국 동북공정의 핵심 지역으로 떠오르고 있는 요서지역의 상고문화 중에서도 흥륭와문화기, 서랍목륜하 일대의 문화 유형인`백음장한 유형`에 속하는 백음장한 유적에서는 요서지역에서 가장 이른 시기의 `적석 무덤·제단`과 함께 `여신상`이 발견되었다. 홍산문화에서 단·묘·총이 하나의 세트를 이루었듯이 적석 무덤·제단과 여신상이 세트를 이룬 모습으로 요서지역 상고문화의 요체인 단·묘·총 제도의 뿌리가 흥륭와문화임을 보여 주었다. 중국학계의 경우는 홍산문화의 단·묘·총을 조상숭배로 인식하기에 백음장한의 적석 무덤·제단이나 여신상에도 동일한 시각을 투영, 공히 조상숭배로 해석하였다. 반면 필자는 홍산문화의 단·묘·총을 마고제천으로 바라보기에 백음장한의 적석 무덤·제단이나 여신상역시 마고제천의 시각으로 바라보았다. 백음장한 사회의 공동체 소도였던 야산 산봉우리 적석 무덤·제단에서 공동체신앙 차원의 마고제천이 행해지고 마을의 특정 장소에 마고여신상이 모셔지고 있었던 것으로 본 것이다. 단, 홍산문화기의 여신상이 반가부좌에 양손을 배 하단전 위에 모으고 제천수행을 행하는 `선도수행형`이었던 데 반해 백음장한의 여신상은 양손을 가슴에 모은 `신앙형`이었던 차이가 있어, 애초 마고제천이 선도수행적 방식이 아닌 신앙적 방식에서 시작되어 홍산문화기 선도수행적 방식으로 진전되어갔음을 보여주었다. 흥륭와문화기 백음장한 유형에서 마고제천 유적·유물이 나타난 것과 달리 서랍목륜하 남쪽 지류인 노합하·교래하 일대 `사해 유형`에서는 마고제천과 함께 용·봉 신앙이 나타났다. 용·봉 표상은 마고제천을 통한 천인합일의 선도수행적 의미를 상징한 것이기에 마고신앙과 용·봉 신앙을 동일선상에서 바라보게 된다. 흥륭와문화기 마고제천의 이해를 위해서는 요서지역 상고문화에 대한 유일한 문헌기록인 한국측 선도사서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 이는 특히 요서지역 상고문화의 핵심인 마고제천의 긴 흐름과 전체상을 바라보게 하기에 더욱 의미가 깊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Recently, Liaoxi area is emerging the core area in China`s Northeast Project. Among ancient cultures of Liaoxi area, in Baiyinchanghan白音長汗 site that is the Baiyinchanghan type of Xinglongwa Culture, `Stone Mound Tomb-Altar` and `Goddess statue...

      Recently, Liaoxi area is emerging the core area in China`s Northeast Project. Among ancient cultures of Liaoxi area, in Baiyinchanghan白音長汗 site that is the Baiyinchanghan type of Xinglongwa Culture, `Stone Mound Tomb-Altar` and `Goddess statues` were excavated. These relics is the earliest case in Liaoxi area. Like as Altar壇·Shrine廟·Tomb塚 of Hongshan Culture(Baedalkook 倍達國) make one set, `Stone Mound Tomb-Altar` and `Goddess Statues` of Xinglongwa Culture make one set too. It shows that the Altar·Shrine·Tomb system, the essence of ancient cultures of Liaoxi area had originated from Xinglongwa Culture. For chinese scholars interpret Altar·Shrine·Tomb of Hongshan Culture as the ancestor worship, they interpret the circle-typed `Altar` around `Stone Mound Tomb` of Baiyinchanghan society as the ancestor worship too. But viewed in Mago Heaven Rituals of Hongshan Culture, Mago Heaven Rituals of Baiyinchanghan society was held in `Stone Mound Tomb-Altar` on the hill peak behind the village at the level of community faith and `(Mago) Goddess Statues` were enshrined in the house at the level of house faith too. In addition, Mago Goddess Statues of Hongshan Culture have a feature that they sit in the Sundo-discipline position(sitting with one`s legs half-crossed). On the other hand, Mago Goddess statues of Xinglongwa Culture have a feature that they all join hands and pray for the religious faith. It shows that Mago Heaven Rituals had started in a religious way at first. In contrast with Baiyinchanghan type of Xinglongwa Culture, Dragon- Phoenix symbol was excavated with remains for Mago Heaven rituals in Chahai査海 type of Xinglongwa Culture. Dragon-Phoenix symbol is the expression of the stage of `Unification of heaven(God) and human天人合一` emerging in the process of Sundo-discipline through Mago Heaven rituals. In historical documents of Korean Sundo, the only documentary records on ancient cultures of Liaoxi area, the succession process of Mago Heaven Rituals was explained well. These records suggest a long history and the big picture of Mago Heaven Rituals and show that the research direction on ancient cultures of Liaoxi area has to head toward coupling research with Korean Sundo and Korean folklore.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