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범죄예방에 있어 경찰과 보호관찰의 공조에 관한 연구 - 범죄피해자 보호 첨단시스템을 중심으로 - = A Study on Cooperation of Police and Probation in Crime Prevention - Focused on Advanced System for the Protection of Crime Victims -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37452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deals with the prevention of crime from the viewpoint of ‘victim protection’. In order to prevent the crime from being actualized, the existing crime prevention researches are not the 'prevention of crime to be executed, And the focus is on the “proactive blocking of crimes being undertaken at a more advanced stage in time”.
      In addition, the violent crime refers to the fact that the prevention of crime can be more effective when the information is based on both the perpetrator and the victim because the perpetrator-victim exists. Especially, if the information about the victim and the information about the perpetrator held by the police, which are two crime prevention agencies in the local community, are gathered, it can be said that there is a revolutionary result in crime prevention. In the sense that it can be The core of this study is the ‘two-way smart watch’ for protecting victims currently under development at the Ministry of Justice’s Crime Prevention Policy Bureau. However, it is difficult to confirm the location of criminals and prevent crime if the victim is moved to a place other than the place where the victim is registered with information of the perpetrator information or pre-registered victim information at the Ministry of Justice without providing police information.
      Therefore, in order for ‘interactive smart watch’ to be effective as an effective way to protect the victim from the pre-execution stage of crime, it is necessary to construct a unified platform for crime prevention by integrating the victim information of the police and the perpetrator information possessed by the probation & It is a task.
      번역하기

      This study deals with the prevention of crime from the viewpoint of ‘victim protection’. In order to prevent the crime from being actualized, the existing crime prevention researches are not the 'prevention of crime to be executed, And the focus i...

      This study deals with the prevention of crime from the viewpoint of ‘victim protection’. In order to prevent the crime from being actualized, the existing crime prevention researches are not the 'prevention of crime to be executed, And the focus is on the “proactive blocking of crimes being undertaken at a more advanced stage in time”.
      In addition, the violent crime refers to the fact that the prevention of crime can be more effective when the information is based on both the perpetrator and the victim because the perpetrator-victim exists. Especially, if the information about the victim and the information about the perpetrator held by the police, which are two crime prevention agencies in the local community, are gathered, it can be said that there is a revolutionary result in crime prevention. In the sense that it can be The core of this study is the ‘two-way smart watch’ for protecting victims currently under development at the Ministry of Justice’s Crime Prevention Policy Bureau. However, it is difficult to confirm the location of criminals and prevent crime if the victim is moved to a place other than the place where the victim is registered with information of the perpetrator information or pre-registered victim information at the Ministry of Justice without providing police information.
      Therefore, in order for ‘interactive smart watch’ to be effective as an effective way to protect the victim from the pre-execution stage of crime, it is necessary to construct a unified platform for crime prevention by integrating the victim information of the police and the perpetrator information possessed by the probation & It is a task.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는 범죄예방을 ‘피해자 보호’의 관점에서 다루었으며, 범죄 피해를 실질적으로 예방하기 위해서는 기존의 범죄예방 연구들이 주로 다루었던 ‘현재의 위험에 대한 방지인 실행되려는 범죄의 저지’가 아닌, ‘시간적으로 더 앞쪽의 단계에서 착수되고 있는 범죄의 사전 차단’에 초점을 둔 것이 특징이다.
      또한 강력범죄라고 하는 것은 가해자-피해자가 존재하므로 범죄의 예방은 가해자와 피해자 모두의 정보를 기반으로 할 때 보다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는 점을 착안점으로 하였다. 특히 지역사회의 2대 범죄예방기관이라고 할 수 있는 경찰이 보유한 ‘피해자에 대한 정보’와 보호관찰기관이 보유한 ‘가해자에 대한 정보’가 결집될 경우 범죄예방에 있어 가히 혁명적이라 할 수 있는 결과를 가져올 수 있다는 점에서 양 기관의 공조를 대안으로 제시하였다.
      이 연구의 핵심은 현재 법무부 범죄예방정책국에서 개발 중인 피해자 보호를 위한 가칭 ‘양방향 스마트워치’라고 할 수 있다. 하지만 경찰에서 보유한 피해자 정보의 제공 없이 법무부 차원의 가해자 정보 또는 기 등록된 피해자 정보만 갖고는 피해자가 사전에 등록된 장소 이외의 장소로 이동할 경우 범죄자의 위치 파악 자체가 어렵게 된다는 것이 한계이다.
      따라서 범죄의 실행 준비 단계에서부터 피해자를 보호하기 위한 효과적인 방안으로서 ‘양방향 스마트워치’가 성공하기 위해서는 경찰이 보유한 피해자정보와 보호관찰기관이 보유한 가해자정보를 중심으로 범죄예방을 위한 통합플랫폼을 구축하여 통합 운용하는 것이 과제이다.
      번역하기

      이 연구는 범죄예방을 ‘피해자 보호’의 관점에서 다루었으며, 범죄 피해를 실질적으로 예방하기 위해서는 기존의 범죄예방 연구들이 주로 다루었던 ‘현재의 위험에 대한 방지인 실행되...

      이 연구는 범죄예방을 ‘피해자 보호’의 관점에서 다루었으며, 범죄 피해를 실질적으로 예방하기 위해서는 기존의 범죄예방 연구들이 주로 다루었던 ‘현재의 위험에 대한 방지인 실행되려는 범죄의 저지’가 아닌, ‘시간적으로 더 앞쪽의 단계에서 착수되고 있는 범죄의 사전 차단’에 초점을 둔 것이 특징이다.
      또한 강력범죄라고 하는 것은 가해자-피해자가 존재하므로 범죄의 예방은 가해자와 피해자 모두의 정보를 기반으로 할 때 보다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는 점을 착안점으로 하였다. 특히 지역사회의 2대 범죄예방기관이라고 할 수 있는 경찰이 보유한 ‘피해자에 대한 정보’와 보호관찰기관이 보유한 ‘가해자에 대한 정보’가 결집될 경우 범죄예방에 있어 가히 혁명적이라 할 수 있는 결과를 가져올 수 있다는 점에서 양 기관의 공조를 대안으로 제시하였다.
      이 연구의 핵심은 현재 법무부 범죄예방정책국에서 개발 중인 피해자 보호를 위한 가칭 ‘양방향 스마트워치’라고 할 수 있다. 하지만 경찰에서 보유한 피해자 정보의 제공 없이 법무부 차원의 가해자 정보 또는 기 등록된 피해자 정보만 갖고는 피해자가 사전에 등록된 장소 이외의 장소로 이동할 경우 범죄자의 위치 파악 자체가 어렵게 된다는 것이 한계이다.
      따라서 범죄의 실행 준비 단계에서부터 피해자를 보호하기 위한 효과적인 방안으로서 ‘양방향 스마트워치’가 성공하기 위해서는 경찰이 보유한 피해자정보와 보호관찰기관이 보유한 가해자정보를 중심으로 범죄예방을 위한 통합플랫폼을 구축하여 통합 운용하는 것이 과제이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정덕, "테러리즘에 대비한 정보주도형 경찰활동(ILP) 전략" 한국테러학회 4 (4): 169-189, 2011

      2 치안정책연구소, "치안전망"

      3 조규범, "전자감시제도에 대한 헌법적 소고" 법학연구원 19 (19): 81-104, 2007

      4 이미정, "재범방지를 위한 경찰과 보호관찰의 파트너십 연구" 동국대학교 대학원 2004

      5 함혜현, "재범 고위험자에 대한 보호관찰제도 연구 : 형사사법기관의 공조방안을 중심으로" 동국대학교 대학원 2009

      6 함혜현, "아동성범죄 예방에 있어 경찰과 보호관찰의 정보 협력에 관한 연구" 한국경찰연구학회 19 (19): 197-226, 2010

      7 머니투데이, "서울여성 2명 중 1명 ‘불안하다’…범죄피해 불안감 호소"

      8 "서울 여성 절반 “우리 사회 불안”…범죄 두려움 호소"

      9 정동기, "보호관찰제도론" 박영사 2016

      10 김한균, "범죄통제에 있어서 검찰과 지역사회의 협력" (93) : 8-18, 2006

      1 이정덕, "테러리즘에 대비한 정보주도형 경찰활동(ILP) 전략" 한국테러학회 4 (4): 169-189, 2011

      2 치안정책연구소, "치안전망"

      3 조규범, "전자감시제도에 대한 헌법적 소고" 법학연구원 19 (19): 81-104, 2007

      4 이미정, "재범방지를 위한 경찰과 보호관찰의 파트너십 연구" 동국대학교 대학원 2004

      5 함혜현, "재범 고위험자에 대한 보호관찰제도 연구 : 형사사법기관의 공조방안을 중심으로" 동국대학교 대학원 2009

      6 함혜현, "아동성범죄 예방에 있어 경찰과 보호관찰의 정보 협력에 관한 연구" 한국경찰연구학회 19 (19): 197-226, 2010

      7 머니투데이, "서울여성 2명 중 1명 ‘불안하다’…범죄피해 불안감 호소"

      8 "서울 여성 절반 “우리 사회 불안”…범죄 두려움 호소"

      9 정동기, "보호관찰제도론" 박영사 2016

      10 김한균, "범죄통제에 있어서 검찰과 지역사회의 협력" (93) : 8-18, 2006

      11 박우현, "범죄예방정책의 바람직한 추진방향 - 관련 법률 제정과 제도개선을 중심으로 -" 경찰학연구소 12 (12): 127-156, 2017

      12 임준태, "범죄예방론" 대영문화사 2009

      13 이순래, "범죄예방론" 그린 2011

      14 법무연수원, "범죄백서" 2017

      15 손문숙, "데이트폭력 피해 실태조사 결과와 과제" 한국여성의 전화 1-39, 2016

      16 법무부, "내부자료"

      17 경찰청, "경찰백서" 2018

      18 조대희, "경찰 우범자 관리의 패러다임 전환" 경찰대학 16 (16): 263-286, 2016

      19 Jannetta, Jesse, "Promoting partnerships between police and community supervision agencies"

      20 Murphy, David, "Making police-probation partnerships work" LFB Scholarly Publishing LLC 2005

      21 Carter, David L, "Intelligence-led policing: Conceptual and functional considerations for public policy" 20 (20): 310-325, 2009

      22 Ratcliffe, Jerry H, "Intelligence-led policing" Routledge 2016

      23 Matz, Adam K, "Enhancing community supervision: A unified voice for community corrections concerning police-probation/ parole partnerships"

      24 IACP, "Criminal Intelligence Sharing: A National Plan for Intelligence� Led Policing At the Local, State and Federal Levels" 2002

      25 Gray, Barbara, "Conditions facilitating interorganizational collaboration" 38 (38): 911-936, 1985

      26 여성가족부, "2016년 전국 성폭력 실태조사 결과보고서" 2017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5-01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The Journal of Police Policies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83 0.83 0.8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68 0.7 0.789 0.1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