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문초록 역전이는 Freud(1910)가 처음 언급한 이후 치료의 중립성과 공감, 해석의 방해가 되는 요소로 보고, 이를 없애거나 극복해야 한다고 하였다. 그러나 정신분석의 이론이 체계화 되고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T13568208
경산 : 영남대학교 대학원, 2014
학위논문(박사) -- 영남대학교 대학원 , 미술치료학 미술치료 , 2014. 8
2014
한국어
주요어 : 미술치료사 ; 역전이 ; 역전이 활용 ; 현상학적 연구 ; 질적연구
경상북도
152 ; 26 cm
지도교수: 최외선
지도교수: 김갑숙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국문초록 역전이는 Freud(1910)가 처음 언급한 이후 치료의 중립성과 공감, 해석의 방해가 되는 요소로 보고, 이를 없애거나 극복해야 한다고 하였다. 그러나 정신분석의 이론이 체계화 되고 ...
국문초록
역전이는 Freud(1910)가 처음 언급한 이후 치료의 중립성과 공감, 해석의 방해가 되는 요소로 보고, 이를 없애거나 극복해야 한다고 하였다. 그러나 정신분석의 이론이 체계화 되고 발전되면서 역전이는 관리대상이 아니라 치료 작업을 진전시킬 수 있는 도구로도 인식되었다.
최근 역전이의 개념은 치료사의 무의식이 내담자의 무의식을 이해하므로 치료사는 자신의 역전이를 치료의 도구로 활용할 수 있으며, 이러한 치료사의 심층적 라포는 의식적인 판단보다 더 정확할 수 있다고 인식되기 시작하였다. 현재 심리치료 분야에서는 치료사의 역전이 활용에 관한 연구의 필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미술치료 분야에서는 다른 심리치료의 이자관계(내담자-치료사)와 달리, 삼각관계(내담자-치료사-내담자 작품)라는 특성상 역전이를 경험하거나 활용할 수 있는 기회가 많음에도 불구하고 아직까지 경험적 연구가 거의 나오지 않았다.
본 연구에서는 미술치료의 성과와 과정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미술치료사의 역전이 활용의 의미와 본질을 기술하고 이해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참여자들은 10년 이상의 미술치료 임상경험이 있는 30대~60대의 여성 미술치료사 7명이다. 자료수집은 2013년 11월~ 2014년 3월까지였다. 참여자들과의 심층면담을 통해서 이뤄졌으며 자료의 분석은 Moustakas의 질적 분석 단계에 따라 수행되었으며, 연구자가 참여자들의 면담내용을 반복적으로 읽어가면서 의미단위와 체험의 구성요소를 도출하였고, 질적연구로 박사학위를 취득한 3명으로부터 자문도 받았다.
연구결과 미술치료사의 역전이 활용의 의미단위는 모두 42개를 발견하였으며 그 의미단위들을 묶을 수 있는 상위 주제 18개와 본질적 주제 7개를 도출하였다. 연구에서 드러난 미술치료사의 역전이 활용의 본질적 주제는 “흔들리는 순간들”, “반응을 되새김질하기”, “숨겨진 도구 알아차리기”, “숨겨진 도구 다듬기”, “숨겨진 도구적 가치: 이해의 선물”, “숨겨진 도구적 가치”를 알아차리면 진짜가 보이다”, “치료도구로서 나 가꾸기”의 7개로 요약하였다. 그 결과 미술치료사의 역전이 활용에서의 체험의 의미와 주제들을 다음과 같이 구조화 할 수 있다.
첫째, 미술치료사들은 ‘숨겨진 도구적 가치와의 만남’을 통해 흔들리는 자신의 감정에 주의를 기울인다. 미술치료사들은 “남을 돕고 싶은 마음”과 “사람에 대한 관심”으로 미술치료사의 길을 선택하게 되었지만, 미술치료사의 길을 가게 했던 마음이 좌절되거나 변하게 되면서 감정이 흔들리는 순간들을 경험하게 된다. 하지만, 내담자와 관계 속에서 자신의 감정과 정신적 활동에 주의를 기울이고, 자기 내부에서 그 감정 상태를 확인하며, 자기내면에서 그것을 해결할 방법들을 모색한다.
둘째, 미술치료사들은 ‘숨겨진 도구적 가치와의 관계’속에서 처음에는 혼란스럽고 무의미하게 느껴졌던 자신의 반응들로 흔들리거나 힘들어지기도 하지만, 그 시간을 견뎌내면서 자신의 반응에 주의를 기울이며 반응을 알아차리게 된다. 미술치료사들은 자신의 반응이 치료 상황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자신에게 다양한 질문을 던지고, 내담자와 관련된 정보를 찾으며 자신의 감정과 사고활동에 균형을 잡아간다. 이렇게 치료사의 경험 속에서 정리되고, 의미가 부여되어 점차 담아내기와 해석을 통해 자신을 이해한 내용이 내담자의 이해로 확장되고, 그 감정을 내담자와 함께 나눔으로써 내담자도 그렇게 변화된다.
셋째, 미술치료사들은 숨겨진 도구적 가치와의 ‘만남’과 ‘관계’를 통해 ‘의미’를 담아낸다. 미술치료사들이 역전이를 치료에 활용한다는 것은 자신을 알아가고, 내담자의 감정을 만나고, 애매하고 모호한 상황들이 선명해지면서 치료가 제대로 흘러가도록 방향을 잡아간다는 것을 의미한다. 미술치료사들이 역전이를 치료에 활용할 수 있었던 것은 치료의 도구로서 나를 가꾸기 위해 나와의 만남의 시간을 갖고, 나와 맞는 다양한 방법들을 찾아가고 개발해 가는 끊임없는 “노력”의 결과였다. 그러한 노력은 치료 상황에서 내담자만 변화하거나 성장시키는 것이 아니었다. 치료사도 함께 그 속에서 변하고 성장해 가는 것이었다.
본 연구를 통해 드러난 미술치료사의 역전이 활용은 언어적 상담에서의 이자관계(치료사-내담자), 미술치료의 삼자관계(치료사-내담자-내담자작품)를 넘어 사자관계(치료사-치료사 작품-내담자-내담자작품)안에서 치료사는 역전이를 알아차리고, 균형을 잡아가고, 내담자를 이해하고 그들과 함께 나눈다. 그들이 보여준 체험형식은 미술치료사만이 보여 줄 수 있는 독특한 가능성이었다.
미술치료사들은 내담자와 그의 작품에 관계를 맺기 위해 자신의 예술적 감수성을 이용하여 내담자가 가지고 온 문제와 그들이 지니고 있는 가능성을 이해하고 반응하는데 초점을 맞춘다. 즉, 내담자와 그의 작품에서 느끼는 다양한 감정들을 새로운 미적인 기준에 의해 바라보고, 생각함으로써, 그들이 만드는 작품뿐만 아니라 그들의 존재에 대하여 민감하게 깨어 있다. 이러한 그들의 모습은 미술치료사라는 이름으로 내담자와 관계를 맺는 모습이었다.
본 연구는 미술치료사의 역전이 활용의 실천적 맥락을 살펴봄으로써 미술치료사가 숨겨진 도구를 발견하고 그 가치를 치료 상황에서 어떻게 발달시켜 왔는지 참여자들의 체험을 통해 깨달을 수 있었다.
이러한 점에서 본 연구는 미술치료사의 역전이를 치료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미술치료사 교육의 새로운 가능성을 마련해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주요어 : 미술치료사, 역전이, 역전이 활용, 현상학적 연구, 질적연구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Ph. D. Thesis A Phenomenological Study on Art Therapist′s Utilization of the Counter-transference Kim, Chae-Yeon Department of Art Therapy Graduate School, Yeungnam University (Supervised by Professor Choi, Wae-Sun, Kim, Gab-Sook) Abstract S...
Ph. D. Thesis
A Phenomenological Study on Art Therapist′s Utilization of the Counter-transference
Kim, Chae-Yeon
Department of Art Therapy
Graduate School, Yeungnam University
(Supervised by Professor Choi, Wae-Sun, Kim, Gab-Sook)
Abstract
Since Freud(1910) referred the counter-transference for the first time, it has been considered to be overcome or eliminated because it was widely believed to contaminate the therapeutic neutrality, empathy, and interpretation. However, with the development of psychoanalytic theories, the counter-transference is considered a valuable tool to heightened awareness to the therapeutic dynamic, not an impediment or obstacle in therapeutic work.
Currently, many have come to believe that therapists can use counter-transference in psychotherapeutic process because the unconscious mind of therapists can understand that of clients. Also, it is perceived that this unconscious rapport would be more accurate than therapist’s conscious analysis on client’s mind. This change in understanding on the counter-transference calls for an empirical research on the therapist's utilization of the counter-transference in the fields of psychotherapy. Since art therapy involves a triangular relationship(client-therapist-artwork), unlike other psychotherapeutic process which lies in bilateral relationship(client-therapist), therapists can enjoy plenty of opportunities to experience or utilize the counter-transference in therapeutic process. However, there is a dearth of empirical analysis on the use of counter-transference in the field of art therapy.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describe and understand the meaning and essence of the counter-transference utilization in art therapy, which crucially affects the process and performance of art therapy.
Seven professional female art therapists in their thirties to sixties, with more than ten years experience of clinical art therapy, participated in this project as interviewees. We collected data from in-depth interview with the participants during November 2013 to March 2014. Based on Moustakas’ analysis procedure, we elicited meaning units and experiential components by reading the contents of interview repeatedly. Also, three professionals who received their doctorate in qualitative research consulted on this project.
We discovered 42 meaning units that appeared when art therapists utilize counter-transference in therapeutic process, and categorized them into 18 broader themes, which narrowed into seven essential themes: “moments of wavering”, "ruminating on the reaction”, “sensing a hidden tool”, “polishing the hidden tool”, “the value of the hidden tool -- a present of understanding”, "noticing the authenticity by realizing the value of the hidden tool", and “disciplining myself as a therapeutic tool”. In this research, we described the steps of how therapists experience the counter-transference in the course of art therapy as well as the significance of the use of counter-transference as follows:
First, art therapists pay attention to their wavering feelings by 'encountering a hidden tool'. Although they chose to become an art therapist due to their ”willingness to help others” and “concern for humans”, therapists face a moment of wavering as their initial decision is discouraged and faltered. However, as they focus on their own feelings and mental activity within the relationship with clients, therapists identify the feelings and emotions of the inner side of themselves, and finally seek how to resolve the confusing feelings and overcome the frustration.
Second, in the course of establishing 'the relationship with the hidden tools', art therapists consider their addled feelings to be meaningless at first, and feel difficulty to accept them. However, therapists finally overcome the difficulties, thereby concentrating on and sensing their own emotional reactions. Art therapists throw various questions at themselves in order to prevent their emotions from having adverse effects on therapeutic process, and come to balance between their emotions and mind by searching the information concerning clients. This self-understanding, which is organized, signified and embodied in the process of therapist’s self-experience and interpretation, develops into the understanding of their clients. Also, therapists share the emotions that they experienced with their clients, thereby eliciting changes in feelings or attitude of their clients .
Third, art therapists discover the ‘significance’ of counter-transference through the encounter and relationship with the hidden tools. The utilization of the counter-transference by therapists implies a series of therapist’s emotional changes: being aware of him or herself; encountering client’s emotions; clarifying the vague situation; and balancing their feelings to provide a desirable therapy. Accordingly, the counter-transference utilization is attributable to therapists’ continuous “efforts” to take time for introspection and to develop suitable manners to discipline themselves as a therapeutic instrument. This efforts lead to not only the change of clients but also the growth of therapists in the process of therapeutic work.
In this research we recognized the unique potential of art therapists, sensing the counter-transference, balancing their feelings, understanding their clients, and sharing the feelings with clients by employing the counter-transference in quadrilateral relationship(therapist-therapist’s artwork-client-client’s artwork), beyond the bilateral relationship of verbal counselling(therapist-client) or triangular relationship of art therapy(client-therapist-artwork).
Art therapists employ their artistic sensibility in making relationship with their clients in order to understand the problems and potentials of the clients. In other words, art therapists ruminate over various emotions, by a new aesthetic standards, that they feel from clients and their artworks, sensitively responding to not only client’s artwork but clients themselves. This process is no longer a mere treatment but also the establishment of relationship with clients as an art therapist.
Based on the participants’ experiences, this research analyzed the empirical context of the counter-transference utilization by art therapists, and illustrated how they have discovered the hidden tools and how they have developed the value of the hidden tools in the course of therapeutic process.
From this point of view, this paper will contribute to creating a possibility of fostering art therapists who can utilize the counter-transference in therapeutic process.
Keywords : art therapist, counter-transference, countertransference utilization, phenomenological study, qualitative research
목차 (Table of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