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성폭력범죄에서 책임능력 = Schuldf?higkeit beim Sexualverbreche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8239490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입법자가 성폭력범죄에서 형법상의 책임능력규정을 배제가능하게 규정한 것에 대하여, 형법상 책임(능력)의 측면과 성폭력범죄라는 형사특별법적 측면에서 생각하여 보았다. 두 측면의 검...

      입법자가 성폭력범죄에서 형법상의 책임능력규정을 배제가능하게 규정한 것에 대하여, 형법상 책임(능력)의 측면과 성폭력범죄라는 형사특별법적 측면에서 생각하여 보았다. 두 측면의 검토에 확인할 수 있었던 핵심은, (광의의) 형법의 기능을 어떠한 시각에서 이해하는지로부터 논의가 시작되었다는 것이다.
      국가의 자의적 권력행사로부터 국민의 자유를 보호하려는 전통적 형법 사상에서는, 인간의 상대적 의사자유를 가정하여 행위자가 범죄행위시에 다른 행위를 할 가능성이 있었음(즉 책임능력이 존재함)에도 범죄행위를 한 것에 대하여 사회적으로 비난하는 것이 책임이라고 본다. 이러한 시각에서는 범죄행위시 음주 등으로 인하여 책임능력이 존재하지 아니한다면, 책임을 부과할 수 없게 된다. 반면 인간의 자유의사를 전제로 하지 않고 그 대신 형벌의 예방목적을 강조하는 예방적 책임론에서는, 범죄행위시 음주 등으로 인하여 사물의 변별능력이나 행위조종능력이 완전치 아니한 행위자라도 예방의 차원에서 (특히 일반예방의 차원에서) 형사처벌이 필요하다면 책임을 부과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국가의 자의적 권력행사로부터 국민의 자유를 보호하려는 전통적 형법사상에서는, 형법의 기본원리에 수정을 가하는 형사특별법의 제정을 부정적으로 이해한다. 현행 성폭력범죄에 관한 형사특별법들을 형법 전속으로 수용하여 일반 형법원리에 부합하게 규정ㆍ운용하고자 한다. 반면 형법의 예방적 기능을 강조하는 입장은, 특정한 사회문제를 특별한 법률을 통해 해결함으로써 국민의 이해와 관심을 모으고 국가의 강력한 정책 추진의지를 국민에게 알릴 수 있는, 즉 상징적 기능을 가지고 있는 형사 특별법의 존재가치를 강조한다. 이에 따르면 현행 성폭력범죄에 대한 형사특별법은 그 의미가 크며, 예방적 기능을 위해서라면 형법의 기본원리는 수정되어야 할 것이다. 즉 형법상의 책임능력 규정은 형사특별법에서 달리 적용할 수 있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 (협의의) 형법상 책임(능력)을 기능적(예방적)으로 이해할 수 없다는 것을 확인했다. 책임능력의 판단방법에 관하여 형법 제10조는 혼합적 방법을 택하여 심신장애라는 생물학적 요소와 사물변별능력ㆍ의사결정능력의 심리학적 요소를 모두 기준으로 삼고 있다는 점, 그리고 형벌과 보안처분을 준별하고 각종 유예제도를 등을 통하여 예방목적을 고려하는 형사법체계를 고려하면 그러하다. 따라서 형법에서 책임(능력)은 인간의 상대적 의사자유를 가정하여 행위자가 범죄행위시에 다른 행위를 할 가능성이 있었음(즉 책임능력이 존재함)에도 범죄행위를 한 것에 대하여 사회적으로 비난하는 것이라고 보는 것이 타당하다.
      사회과학 전통의 고유한 가치들은 초월적이지도 내재적이지도 아니하며, 많은 사람들이 제한된 범위 내에서 소규모 집단으로 선포하는 가치일 뿐이다. 그렇다면 (협의의) 형법상 책임(능력)의 개념이 형사특별법에도 항상 똑같이 적용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과연 성폭력범죄에 형사책임 능력규정을 적용하지 아니할 수 있게 하여야 할 논거는 무엇인가. 성폭력 특별법에서 형법상 책임능력규정의 배제가능성은 국민의 감정에 편승한 상징적 입법으로 보일 뿐, 동 규정의 실제적 의미는 부여하기 어려워 보인다. 즉 성폭력범죄에 형사책임능력규정을 적용하지 아니할 수 있게 한 것이 실제적으로 어떠한 기능을 발휘할 수 있는지가 의문이다. 표면적으로 표출된 의미와 잠재적으로 기능하는 의미가 일치하지 않는 기망의 요소를 가지고 있다는 것이 바로 상징형법의 특징으로 이야기 된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도입말
      • Ⅱ. 책임능력
      • Ⅲ. 성폭력범죄에서 형법상 책임능력 배제가능성의 입안배경
      • Ⅳ. 성폭력범죄에 대한 형사특별법
      • Ⅴ. 맺음말
      • Ⅰ. 도입말
      • Ⅱ. 책임능력
      • Ⅲ. 성폭력범죄에서 형법상 책임능력 배제가능성의 입안배경
      • Ⅳ. 성폭력범죄에 대한 형사특별법
      • Ⅴ. 맺음말
      • 【참고문헌】
      • 【국문초록】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박상기, "형사특별법론" 2009

      2 김한균, "형사특별법 정비방안 9-금융․재정․노동․사회풍속 분야" 2008

      3 Kühne, "형사특별법 정비방안 12-주요선진국의 형사특별법 제 연구: 독일의 부수형법" 2008

      4 이형국, "형법총론연구 II" 1986

      5 박상기, "형법총론(제8판)" 2009

      6 이재상, "형법총론(제5판보정판)" 2005

      7 신동운, "형법총론(제2판)" 2006

      8 김일수, "형법총론(제11판)" 2006

      9 빈프리트 하쎄머저, "형법정책" 1998

      10 이상윤, "형법상 책임개념의 이론적 기초에 관한 고찰" 7 : 1999

      1 박상기, "형사특별법론" 2009

      2 김한균, "형사특별법 정비방안 9-금융․재정․노동․사회풍속 분야" 2008

      3 Kühne, "형사특별법 정비방안 12-주요선진국의 형사특별법 제 연구: 독일의 부수형법" 2008

      4 이형국, "형법총론연구 II" 1986

      5 박상기, "형법총론(제8판)" 2009

      6 이재상, "형법총론(제5판보정판)" 2005

      7 신동운, "형법총론(제2판)" 2006

      8 김일수, "형법총론(제11판)" 2006

      9 빈프리트 하쎄머저, "형법정책" 1998

      10 이상윤, "형법상 책임개념의 이론적 기초에 관한 고찰" 7 : 1999

      11 박상기, "형법강의" 2010

      12 이상돈, "형법강의" 2010

      13 배종대, "형법각론(제7전정판)" 2010

      14 대구가톨릭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청소년 성폭력 실태조사 보고서" 2001

      15 심재우, "책임형법론" 1995

      16 강동욱, "책임능력에 관한 고찰" 4 : 1994

      17 마이클 샌델, "정의란 무엇인가" 2010

      18 김지영, "연쇄성폭력범죄자 프로파일링과 프로파일링 제도 연구" 2009

      19 박기범, "아동성폭력과 그 대책에 관한 연구" 한국형사정책학회 18 (18): 237-270, 2006

      20 홍지아, "신문기사 프레임 분석을 통해 본 성폭력의 의미구성 -중앙일보와 한겨레의 보도를 중심으로" 한국방송학회 23 (23): 458-498, 2009

      21 이영란, "성폭력특별법의 형사법적 고찰" (3) : 1994

      22 윤가현, "성범죄자의 특성과 심리" (320) : 2010

      23 김학태, "상징형법의 의미와 기능" 6 : 1999

      24 C. 라이트 밀즈, "사회학적 상상력" 2004

      25 이윤호, "범죄학개론" 2002

      26 로널드 L.에이커스, "범죄학 이론" 2005

      27 래리 시겔, "범죄학" 2008

      28 김정환, "‘산업기술의 유출방지 및 보호에 관한 법률’에 대한 형사법적 검토" 한국형사정책연구원 20 (20): 29-58, 2009

      29 Voß, "Symbolische Gesetzgebung"

      30 Roxin, "Strafrecht Allgemeiner Teil I (4.Aufl.)" 2006

      31 Jakobs, "Strafrecht Allgemeiner Teil (2.Aufl.)" 1996

      32 Mezger, "Die Straftat als Ganzes" 57 : 1938

      33 법무연수원, "2009 범죄백서"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5-06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KOOKMIN LAW REVIEW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6 0.6 0.7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7 0.75 0.97 0.2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