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정보주체의 개인정보자기결정권 보장과 개인정보의 활용 = Legal Guarantee for the Right to Decision-making and Control of Personal Information and the Use of Personal Informati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89203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thesis analyzes legal guarantee for the right to decision-making and control of personal information and the use of personal information. The research methods employed in this thesis examines the development of the legal system and case laws rela...

      This thesis analyzes legal guarantee for the right to decision-making and control of personal information and the use of personal information. The research methods employed in this thesis examines the development of the legal system and case laws related to this problem in Korea. The right to self-determination of personal information is the right of data subjects to decide for themselves when, to whom, and to what extent their information is known and used. In order to legally guarantee the right to self-determination of personal information, the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Act stipulates the right to consent, the right to request access to personal information, the right to request correction of personal information and the right to request deletion/blocking, the right to request suspension of processing of personal information, and the right to claim damages.
      To expand the use of personal information, the revised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Act introduced the pseudonymous information and anonymous information system and the extended use of personal information without the consent of a data subject within the scope reasonably related to the initial purpose. The improvement of this system can be evaluated positively in terms of utilization of personal information. However, it can be pointed out as a major task in the future to establish an appropriate control system for the broad technical and professional discretion recognized in these legal systems. In addition, to overcome the guideline administration excessively admitted in these fields and to establish the rule of law_is a major topic of institutional reform in the future.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지식정보화사회에서 개인정보의 적절한 보호와 활용을 가능하게 하는 법체계 구축은 경제와 사회발전에 중요한 기반이다. 통신과 컴퓨터 기술의 발전에 따라 과거에 없었던 새로운 해킹과 ...

      지식정보화사회에서 개인정보의 적절한 보호와 활용을 가능하게 하는 법체계 구축은 경제와 사회발전에 중요한 기반이다. 통신과 컴퓨터 기술의 발전에 따라 과거에 없었던 새로운 해킹과 같은 개인정보의 침해 등의 문제가 발생함으로써 개인정보보호의 중요성이 커지고 있다. 이와 함께 빅데이터 산업이 활성화될수록 개인정보의 활용방안이 이슈로 부각되고 있다. 개인정보보호와 개인정보활용을 통한 산업진흥의 균형을 확보하는 것은 개인정보보호제도의 핵심적 과제로 부각되고 있다.
      개인정보자기결정권은 자신에 관한 정보가 언제 누구에게 어느 범위까지 알려지고 또 이용되도록 할 것인지를 정보주체가 스스로 결정할 수 있는 권리이다. 개인정보자기결정권은 인간의 존엄과 가치, 행복추구권을 규정한 헌법 제10조 제1문에서 도출되는 일반적 인격권 및 헌법 제17조의 사생활의 비밀과 자유에 의하여 보장되는 독립한 기본권이다. 주관적 공권으로서 개인정보자기결정권은 정보주체가 타인이 보유하고 있는 자신의 정보에 접근하여 열람하거나 그 정보의 정정, 삭제, 차단, 삭제 등을 요구함으로써 자신에 관한 정보에 통제할 수 있는 권리로서 이를 보장하기 위하여 개인정보보호법은 정보주체에게 동의권, 개인정보의 열람청구권, 개인정보 정정청구권과 삭제・차단청구권, 개인정보의 처리정지 요구권, 손해배상청구권 등을 규정하고 있다.
      개인정보의 활용은 개인식별성・개인식별가능성이 유지된 개인정보의 활용과 개인식별성・개인식별가능성이 제한 또는 삭제된 개인정보의 활용이 경우로 나눌 수 있다. 개인식별성・개인식별가능성이 유지된 개인정보의 활용을 확대하기 위하여 합리적 관련범위 내에서 당초 수집목적과 다른 개인정보의 추가적인 이용의 가능성이 개정 개인정보보호법에서는 새롭게 인정되고 있다. 즉, 정보주체에게 불이익을 발생하는지 여부, 암호화 등 안전성 확보에 필요한 조치를 하였는지 여부 등을 고려하여 당초 수집목적과 합리적으로 연관된 범위 내에서 정보주체 동의없이 개인정보의 추가 이용・제공이 가능하다고 규정하고 있다. 개인식별성・개인식별가능성의 제한 또는 삭제를 통한 개인정보의 활용을 확대하기 위해 가명정보와 익명정보 제도를 개인정보보호법에 규정하게 되었다. 가명정보와 익명정보의 차이는 개인정보의 식별가능성 내지 식별가능성에 대한 복원가능여부를 기준으로 가명정보와 익명정보를 구별한다. 전자는 개인식별가능성을 낮추는 형태로 개인정보의 활용가능성을 확대하는 것이고, 후자는 식별가능성을 삭제하여 당해 정보를 일반정보화 하는 형태로 정보의 활용가능성을 확대하는 것이다.
      개정 개인정보보호법에서 새롭게 인정한 정보주체의 동의 없이 합리적 관련범위 내에서 당초 수집목적과 다른 개인정보의 추가적인 이용을 승인하는 시스템과 비식별화조치를 통한 가명정보와 익명정보제도 도입은 개인정보의 활용이라는 측면에서 긍정적 평가가 가능하다. 그러나 이들 법제도에서 인정되는 폭넓은 기술적・전문적 재량에 대한 적절한 통제제도를 확립하고 이들 분야에서 과도하게 인정되는 지침행정을 극복하여 법률유보원칙을 적절히 확립하는 것이 향후 해결해야 할 주요과제로 부각되고 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개인정보보호위원회, "해외 개인정보보호 집행체계 및 개인정보보호 주요 동향조사" 진한엠앤비 2017

      2 권건보, "정보주체의 개인정보자기결정권" 박영사 67-96, 2016

      3 장상수, "정보보호 및 개인정보보호 관리체계 개론" 생능출판 2020

      4 개인정보보호위원회, "사물인터넷시대의 개인정보침해요인 및 실제사례조사" 진한엠앤비 2017

      5 전주현, "사례중심으로 알아보는 개인정보보호실무" 정보문화사 2017

      6 Steve Kim, "빅데이터와 보안" 루비페이퍼 2017

      7 조성은, "빅데이터 시대 개인형태 정보수집 및 활용에 대한 정책연구" 진한엠앤비 2016

      8 김창조, "비공개상한제도 도입에 수반한 정보공개제도상 검토과제" 법학연구원 (67) : 75-97, 2019

      9 백남정, "디지털 뉴딜 시대 리더가 꼭 알아야 할 데이터3법" 지식플랫폼 2020

      10 김종선, "데이터 익명화 개념 이해와 최신기술동향" 휴먼사이언스 2018

      1 개인정보보호위원회, "해외 개인정보보호 집행체계 및 개인정보보호 주요 동향조사" 진한엠앤비 2017

      2 권건보, "정보주체의 개인정보자기결정권" 박영사 67-96, 2016

      3 장상수, "정보보호 및 개인정보보호 관리체계 개론" 생능출판 2020

      4 개인정보보호위원회, "사물인터넷시대의 개인정보침해요인 및 실제사례조사" 진한엠앤비 2017

      5 전주현, "사례중심으로 알아보는 개인정보보호실무" 정보문화사 2017

      6 Steve Kim, "빅데이터와 보안" 루비페이퍼 2017

      7 조성은, "빅데이터 시대 개인형태 정보수집 및 활용에 대한 정책연구" 진한엠앤비 2016

      8 김창조, "비공개상한제도 도입에 수반한 정보공개제도상 검토과제" 법학연구원 (67) : 75-97, 2019

      9 백남정, "디지털 뉴딜 시대 리더가 꼭 알아야 할 데이터3법" 지식플랫폼 2020

      10 김종선, "데이터 익명화 개념 이해와 최신기술동향" 휴먼사이언스 2018

      11 고학수, "개정판 개인정보보호의 법과 정책" 박영사 2016

      12 함인선, "개정판 EU개인정보판례" 전남대학교 출판문화원 2018

      13 장주봉, "개인정보의 수집 및 이용에 관한 규제방식" 박영사 227-256, 2016

      14 이기혁, "개인정보보호와 활용개론" 생능출판 2017

      15 김주영, "개인정보보호법의 이해" 법문사 2012

      16 개인정보보호위원회, "개인정보보호법에 대한 타 법률의 특별한 규정의 연구" 진한엠앤비 2017

      17 신종철, "개인정보보호법 해설" 진한엠앤비 2020

      18 박노형, "개인정보보호법" 박영사 2020

      19 박억남, "개인정보보호바이블 CPPG・PIMS" 위즈플래닛 2017

      20 김순석, "개인정보 비식별화 조치의 이해와 활용" 에이콘 2020

      21 村上康二郞, "プライバシー・個人情報の保護" 日本評論社 2017

      22 Diane Rowland, "Technology Law" Routledge 2017

      23 Andrew Murray, "Information Technology Law" Oxford university press 2019

      24 박노형, "EU 개인정보보호법 –GDPR을 중심으로-" 박영사 2017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5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21-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재인증) KCI등재후보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6-02-12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LAW JOURNAL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0-05-27 학회명변경 한글명 : 법학연구소 -> 법학연구원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73 0.73 0.8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79 0.8 0.912 0.3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