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우리 사회의 가족돌봄아동: KBS 1TV 〈동행〉 프로그램 분석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49533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우리 사회에 항상 존재했으나 잘 드러나지 않았던 가족돌봄아동을 조명한 본 연구는 이들이 어떤 계기로가족을 돌보게 되었는지 그리고 가족돌봄아동에 대해 당사자와 주변사람들은 어떻...

      우리 사회에 항상 존재했으나 잘 드러나지 않았던 가족돌봄아동을 조명한 본 연구는 이들이 어떤 계기로가족을 돌보게 되었는지 그리고 가족돌봄아동에 대해 당사자와 주변사람들은 어떻게 인식하는지 탐색하였다. 이를 위해 KBS 1TV 프로그램 〈동행〉의 99개 에피소드에 대해 선별작업을 수행하고, Becker(2000)의 기준에 따라 아동의 돌봄역할이 과도하다고 판단된 14개 사례를 최종선정하여 내용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사례의 아동들은 12~17세로, 평균 1.8명에게 돌봄을 제공하였다. 가족돌봄의 배경은 예기치 않은 보호자의 부재, 경제활동으로 돌봄에 참여할 수 없는 부모, 조부모의 건강악화에 따른 역할전이로 파악되었다. 아동은 돌봄활동을 ‘손자녀의 도리’로 여기고 자신을 ‘가족 지킴이’로 인식하였지만, 나아지지 않는 상황에 대해 복잡한 심정을 드러내기도 하였다. 주변 사람들은 가족돌봄아동을 ‘가족의 버팀목이 되어준 든든한 아이,’ ‘부모를 잘 못 만나 철이 빨리 든 아이,’ ‘동네에 소문난 착하고 대견한 아이’로 인식하였다.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효자⸱효녀 신화와 맞닿아 있는 가족돌봄아동에 대한 사회적 인식의 변화 필요성을 제기하고, 이들을 위한 심리지원 및 권리보장강화 방안을 제시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was designed to shed light on young carers(YCs) who are invisible in Korean society. Specifically this study aimed to explore the situational context in which they became YCs and the image of YC perceived by children themselves and other pe...

      This study was designed to shed light on young carers(YCs) who are invisible in Korean society. Specifically this study aimed to explore the situational context in which they became YCs and the image of YC perceived by children themselves and other people. For this study, 99 episodes of KBS 1TV program 〈Dong-Haeng〉 were screened, and a total of 14 cases, in which YC’s caring roles were assessed as heavy, were selected for content analysis. The age of YCs ranged from 12 to 17, and they took care of 1.8 family members on average. They became YCs in the situations of: sudden parental absence caused by death or long-term hospitalization; working parents’ inability to look after family members during day; and role reversals between a child and a grand parent who is in poor health. YCs regarded the caring role as their duty and themselves as a family guard. Family members and neighbors perceived YC as: reliable child who sustains a family; parentified child whose parents are incapable of taking parental roles well; and good and admirable kid who is famous in a community. Based on the results, the stereotype issues on YC intertwined to the myth of filial piety were discussed, and various measures to ensure child rights and psychological supports for YCs were proposed.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요약
      • Abstract
      • Ⅰ. 서론
      • Ⅱ. 이론적 배경
      • Ⅲ. 연구방법
      • 요약
      • Abstract
      • Ⅰ. 서론
      • Ⅱ. 이론적 배경
      • Ⅲ. 연구방법
      • Ⅳ. 연구결과
      • Ⅴ. 결론 및 함의
      • 참고문헌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