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가 현대사회로 들어서면서 세계화와 인권의 보편화 현상은 거스를 수 없는 시대적 추세가 되었으며 국제적 인적교류가 빠른 속도로 사회전반에 걸쳐 확대되고 있다. 또한 여성의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T11909211
경산 : 대구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10
학위논문(석사) -- 대구가톨릭대학교 대학원 , 생활복지주거학과 가족학 전공 , 2010. 2
2010
한국어
경상북도
56 ; 26 cm
지도교수: 김정옥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우리나라가 현대사회로 들어서면서 세계화와 인권의 보편화 현상은 거스를 수 없는 시대적 추세가 되었으며 국제적 인적교류가 빠른 속도로 사회전반에 걸쳐 확대되고 있다. 또한 여성의 ...
우리나라가 현대사회로 들어서면서 세계화와 인권의 보편화 현상은 거스를 수 없는 시대적 추세가 되었으며 국제적 인적교류가 빠른 속도로 사회전반에 걸쳐 확대되고 있다. 또한 여성의 출산력의 지속적인 저하와 출생성비의 격차, 농촌에서 도시로의 인구이동으로 농촌총각이 많이 생기고 양성평등 개념의 확산에 따른 여성독신자 비율이 증가하고 국제결혼 또한 증가하고 있다. 국제결혼과 결혼이민자가 늘어나면서 다문화가정이 증가하게 되고, 다문화가정 자녀 또한 증가하고 있다. 하지만, 다문화가정 자녀들은 학령기에 접어들면서 하루의 절반을 학교생활을 하게 되지만 전반적인 학업능력의 저하 학업동기 결여, 친구들과의 사귐 어려움 등의 문제가 발생하면서 학교 부적응을 일으킨다. 다문화가정자녀들의 학교생활적응을 위하여 많은 연구가 있지만, 본 연구에서는 다문화 가정자녀의 인구통계학적 특성을 알고. 다문화 자녀의 자아존중감과 학습 동기에 따른 학교생활적응은 어떠한 차이가 있는 지 살펴보고, 자아존중감과 학습 동기가 학교생활적응과 관계가 있는 지 구체적으로 연구를 하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 연구는 경상북도 중심으로 경산시, 구미시, 안동시, 칠곡군, 봉화군, 성주군에 있는 18개교의 초등학교에 다니는 다문화가정 학생을 대상으로 111명을 조사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수집된 자료는 SPSS/PC for Windows 12.0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를 분석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다문화가정 자녀가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다문화가정자녀의 자아존중감은 어떠한 지에 대해 알아보았고, 알아본 결과 대체로 강한 자아존중감을 보였지만, 학교에서의 자아존중감이 낮음을 나타났다.
둘째, 다문화가정 자녀가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다문화가정자녀의 학습동기는 어떠한 지에 대해 알아보았고, 알아본 결과 목표지향성이 가장 높게 나타났고, 반면 학업적 효능감은 평균에도 미치지 못하였다.
셋째, 다문화가정 자녀가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학교생활은 어떠한 지에 대해 알아보았고, 다문화가정자녀는 다소 교우관계가 높음을 나타났지만, 학교규범준수가 평균도 미치지 못하는 낮은 결과가 나타났다.
넷째, 다문화가정자녀의 자아존중감과 학습동기가 학교생활적응과의 상관관계는 서로가 서로 상관관계가 있음을 나타나고 있다.
다섯째, 다문화가정자녀의 학교생활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자아존중감은 일반적인 자아존중감과 사회적 자아존중감 및 가정에서의 자아존중감이 강할수록 다문화가정 아동의 학교생활적응은 강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다문화가정자녀의 학교생활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학습동기는 목표지향의 학습동기가 강할수록 다문화가정 아동의 학교생활적응은 강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를 통해 다문화가정자녀가 학교생활적응을 하는 데 자아존중감과 학습동기는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아존중감은 일반적 자아존중감과 사회적 자아존중감 및 가정에서의 자아존중감이 많은 영향력이 있섰고, 학습동기는 목표지향적 학습동기가 학교생활적응을 하는 데 많은 영향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문화가정자녀들이 좀 더 학교생활적응을 잘 할 수 있도록, 가정에서 학교에서 또한 사회적으로 많은 관심을 가져주고 자녀들이 좀 더 자아존중감을 높일 수 있도록 도와주어야한다. 또한 학교생활에서 학습을 위하여 목표 지향적으로 학습시킬 필요가 있으며, 다문화가정자녀가 학습에 대하여 좀 더 흥미로울 수 있도록 학습프로그램을 연구가 필요가 있다. 다문화가정자녀가 학교생활에 적응을 잘하고 그들이 사회에 나아가서도 사회에 필요한 글로벌 인재가 될 수 있도록 그들에게 많은 관심을 가져야 할 것이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As our country entered the modern society, globalization and generalization of human rights is the current of the times we cannot go against and international human interchange are expanding in a fast speed on through the whole society. Also, female...
As our country entered the modern society, globalization and generalization of human rights is the current of the times we cannot go against and international human interchange are expanding in a fast speed on through the whole society. Also, female’s continuing decrease of birth capacity, a disparity between birth gender ratio, an increase in rural bachelors due to population migration from rural communities to city, single female ratio increased due to equal rights of genders, and growth in international marriage are increasing. As international marriage and marriage immigrant rises, multi cultural family also increased with multi cultural family children. However, when the multi cultural family children approaches education schooling and spend half of a day in school but awakes school life maladjustment as the problems rises such as overall falling of schoolwork ability, lack of scholarly motivation and difficulty in making friends. A lot of studies exist for multi cultural family children school life adjustment, but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identify the multi cultural family children demographic characteristics, investigate the discrepancy between multi cultural family children self esteem and school life adjustment due to learning motivation, and specifically studying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 esteem and learning motivation and school life adjustment.
The sample for this study is composed of 111 elementary school students who are multi cultural family children, enrolled at 18 schools of Gyeongsan city, Gumi city,
Andong city, Chilgok county, Ponghwa country and Seongju county. This research is analyzed of the collected data by using SPSS/PC for Windows 12.0. Conclusions for this study are as followed.
First of all, we examined self esteem of multi cultural family children .The results show that the students have strong self esteem in general, but have low self esteem at school.
Secondly, this study investigated the learning motivation of multi cultural family children to find the effect of school life adjustment on multi cultural family children. The results shows that goal orientation is the highest, but academic efficacy is under average.
Thirdly, to find the impact of multi cultural family’s children on school life adjustment, we researched how their school lives are. Somewhat, the companionship of multi cultural family’s children is high, but the result is low below the average on school compliance.
Fourth of all, the results show the self-esteem and the learning motivation of multi cultural family’s children and their school life adjustment have a interrelationship with each other.
Fifthly, the self-esteem that influences school life adjustment of multi cultural family’s children shows generally that the greater the general self-esteem, social self-esteem, and self-esteem at home, the greater school life adjustments of multi cultural family’s children are.
Six of all, the learning motivation that influences school life adjustment of multi cultural family’s children shows that as the learning motivation of goal orientation becomes stronger the greater school life adjustments of multi cultural family’s children are.
This research shows that their self esteem and learning motivation influence school life adjustments of multi cultural family’s children. Self esteem has a great impact on general self-esteem, social self-esteem, and self-esteem at home and learning motivation shows that learning motivation of goal orientation has a great influence on school life adjustment.
For multi cultural family to adjust better to school life, more concern are needed at home, school, and socially and support to enhance self esteem of the children. Also, for learning at school, goal oriented learning has to be stimulated and learning programs should be investigated for multi cultural family children to find interest in learning. A lot of interest and concern should be given to the multi cultural family children for them to adjust well to school life and grow into a global talented people that are need in society.
목차 (Table of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