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예비교사의 수학 교수 자료 분석 및 개발 사례에 대한 기호학적 분석 = Semiotic Analysis on A Pre-service Teacher's Thinking Process in the Analysis and the Development of Mathematics Teaching Material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78192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A mathematics pre-service teacher T analyzed American mathematics textbooks and developed his teaching material for instruction. This study analyzed his thinking processes and results in the view of semiotics. If we regard the textbook as a sign and the unitary conversion that students should learn as an object of the sign, the interpretant of the sign is the pre-service teacher's analysis, which is conducted at the aspects of a subject matter knowledge and student understanding. T interpreted the textbook versatilely in terms of his knowledges and experiences. He developed his teaching materials as diagrams, did the diagrammatic thinking and became to have the hypostatic abstraction. This study is significant because it used semiotics for explaining T's thinking process.
      번역하기

      A mathematics pre-service teacher T analyzed American mathematics textbooks and developed his teaching material for instruction. This study analyzed his thinking processes and results in the view of semiotics. If we regard the textbook as a sign and t...

      A mathematics pre-service teacher T analyzed American mathematics textbooks and developed his teaching material for instruction. This study analyzed his thinking processes and results in the view of semiotics. If we regard the textbook as a sign and the unitary conversion that students should learn as an object of the sign, the interpretant of the sign is the pre-service teacher's analysis, which is conducted at the aspects of a subject matter knowledge and student understanding. T interpreted the textbook versatilely in terms of his knowledges and experiences. He developed his teaching materials as diagrams, did the diagrammatic thinking and became to have the hypostatic abstraction. This study is significant because it used semiotics for explaining T's thinking proces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한 예비교사의 교수 자료 분석 및 개발 사례를 기호학적 관점에서 분석하였다. 수학 교과서를 기호의 표현체로, 학생들이 배워야 하는 단위 변환 내용을 대상체로 볼 때, 예비교사의 교과서 분석은 교과 내용 지식과 학생들의 이해라는 측면에서 다양한 해석체가 되었다. 이에 따라 교사의 교수 자료 분석은 한 가지 해석이 이루어지는 것은 아님을 알 수 있었으며, 본 연구는 이를 기호 공간에서 설명하였다. 그리고 예비교사가 교수 자료를 도해로 구성했을 때 수업을 염두에 둔 실험과 반성의 단계에서 예비교사의 추상적 연역이 진행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예비교사의 사고 과정을 기호학을 이용하여 분석할 수 있었다는 데 의의를 가지며, 기호학을 활용한 수학교육 분야의 연구가 다방면에서 활용될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한 예비교사의 교수 자료 분석 및 개발 사례를 기호학적 관점에서 분석하였다. 수학 교과서를 기호의 표현체로, 학생들이 배워야 하는 단위 변환 내용을 대상체로 볼 때, 예비교사...

      본 연구는 한 예비교사의 교수 자료 분석 및 개발 사례를 기호학적 관점에서 분석하였다. 수학 교과서를 기호의 표현체로, 학생들이 배워야 하는 단위 변환 내용을 대상체로 볼 때, 예비교사의 교과서 분석은 교과 내용 지식과 학생들의 이해라는 측면에서 다양한 해석체가 되었다. 이에 따라 교사의 교수 자료 분석은 한 가지 해석이 이루어지는 것은 아님을 알 수 있었으며, 본 연구는 이를 기호 공간에서 설명하였다. 그리고 예비교사가 교수 자료를 도해로 구성했을 때 수업을 염두에 둔 실험과 반성의 단계에서 예비교사의 추상적 연역이 진행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예비교사의 사고 과정을 기호학을 이용하여 분석할 수 있었다는 데 의의를 가지며, 기호학을 활용한 수학교육 분야의 연구가 다방면에서 활용될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선희, "통계 자료의 정리와 표현에서 중학생들의 기호화와 해석화 과정 분석" 대한수학교육학회 13 (13): 3-483, 2003

      2 김선희, "수학적 모델링 과정에 포함된 추론의 유형 및 역할 분석" 대한수학교육학회 6 (6): 283-299, 2004

      3 임찬빈, "수업 전문성 일반 기준과활용 방안"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06

      4 김지현, "비고츠키의 지식점유과정과 언어매개기능에 관한 교육학적 고찰"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0

      5 Trabant, J., "기호학의 전통과 경향" 인간사랑 2001

      6 Sullivan, P., "Using the study of practice as a learning strategy within mathematics teacher education programs" 5 : 289-292, 2002

      7 Radford, L., "The ubiquitousness of signs, In Semiotics in Mathematics Education: Epistemology, History, Classroom, and Culture" Sense Publisher 7-10, 2008

      8 Marietti, S., "The semiotic approach to mathematical evidence and generalization, In Activity and Sign - Grounding Mathematics Education" Springer Science+Business Media, Inc 35-43, 2005

      9 Hoffmann, M. H. G., "Signs as means for discoveries: Peirce and his concepts of "diagrammtic reasoning", "theorematic deduction", "hypostatic abstraction", and "theoric transformation", In Activity and Sign - Grounding Mathematics Education" Springer Science+Business Media, Inc 45-56, 2005

      10 Seeger, F., "Notes on a theory of teaching and learning, In Activity and Sign - Grounding Mathematics Education" Springer Science+Business Media, Inc 67-76, 2005

      1 김선희, "통계 자료의 정리와 표현에서 중학생들의 기호화와 해석화 과정 분석" 대한수학교육학회 13 (13): 3-483, 2003

      2 김선희, "수학적 모델링 과정에 포함된 추론의 유형 및 역할 분석" 대한수학교육학회 6 (6): 283-299, 2004

      3 임찬빈, "수업 전문성 일반 기준과활용 방안"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06

      4 김지현, "비고츠키의 지식점유과정과 언어매개기능에 관한 교육학적 고찰"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0

      5 Trabant, J., "기호학의 전통과 경향" 인간사랑 2001

      6 Sullivan, P., "Using the study of practice as a learning strategy within mathematics teacher education programs" 5 : 289-292, 2002

      7 Radford, L., "The ubiquitousness of signs, In Semiotics in Mathematics Education: Epistemology, History, Classroom, and Culture" Sense Publisher 7-10, 2008

      8 Marietti, S., "The semiotic approach to mathematical evidence and generalization, In Activity and Sign - Grounding Mathematics Education" Springer Science+Business Media, Inc 35-43, 2005

      9 Hoffmann, M. H. G., "Signs as means for discoveries: Peirce and his concepts of "diagrammtic reasoning", "theorematic deduction", "hypostatic abstraction", and "theoric transformation", In Activity and Sign - Grounding Mathematics Education" Springer Science+Business Media, Inc 45-56, 2005

      10 Seeger, F., "Notes on a theory of teaching and learning, In Activity and Sign - Grounding Mathematics Education" Springer Science+Business Media, Inc 67-76, 2005

      11 Cobb, P., "Modeling, symbolizing, and tool use in statistical data analysis, In Symbolizing, modeling and tool use in mathematics education" Kluwer Academic Publishers 171-195, 2002

      12 Presmeg, N., "Metaphor and metonymy in processes of semiosis in mathematics education, In Activity and Sign - Grounding Mathematics Education" Springer Science+Business Media, Inc 105-115, 2005

      13 Otte, M., "Mathematics, sign and activity, In Activity and Sign - Grounding Mathematics Education" Springer Science+Business Media, Inc 9-22, 2005

      14 Nicole, C. C., "Learning to teach with mathematics textbooks: How preservice teachers interpret and use curriculum materials" 62 : 331-355, 2006

      15 Nemirovsky, R., "If you look at it the other way...: an exploration into the nature of symbolizing, In Symbolizing and communicating in mathematics classrooms: Perspectives on discourse, tools, and instructional design" Lawrence Erlbaum Associates, Publishers 177-221, 2000

      16 Otte, M., "Evolution, learning, and semiotics from a Peircean point of view" 77 : 313-329, 2011

      17 Duval, R., "Eight problems for a semiotic approach in mathematics education, In Semiotics in Mathematics Education: Epistemology, History, Classroom, and Culture" Sense Publisher 39-62, 2008

      18 Bakker, A, "Diagrammatic reasoning as the basis for developing concepts: a semiotic analysis of students' learning about stastical distribution" 60 (60): 333-358, 2005

      19 Bakker, A., "Diagrammatic reasoning and hypostatic anstraction in statistics education" 164-1 (164-1): 9-29, 2007

      20 Dörfler, W., "Diagrammatic Thinking, In Activity and Sign - Grounding Mathematics Education" Springer Science+Business Media, Inc 57-66, 2005

      21 Hall, M., "Bridging the gap between everyday practices and classroom mathematics: an investigation of two teachers' intentional use of semiotic chains" The Florida State University 2000

      22 Seeger, F., "Beyond the dichotomies; semiotics in mathematics education research" 36 (36): 206-216, 2004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91 0.91 1.1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05 1.03 1.504 0.27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