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아동간에 발생하는 또래 괴롭힘 현상의 중요한 변인을 학급 풍토로 보고, 이러한 학급 풍토 유형에 따라 학급 내에서 발생하는 또래 괴롭힘의 정도가 어떠한 차이를 보이는지, 각...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3007194
2000
Korean
370.5
KCI등재
학술저널
53-74(22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본 연구는 아동간에 발생하는 또래 괴롭힘 현상의 중요한 변인을 학급 풍토로 보고, 이러한 학급 풍토 유형에 따라 학급 내에서 발생하는 또래 괴롭힘의 정도가 어떠한 차이를 보이는지, 각...
본 연구는 아동간에 발생하는 또래 괴롭힘 현상의 중요한 변인을 학급 풍토로 보고, 이러한 학급 풍토 유형에 따라 학급 내에서 발생하는 또래 괴롭힘의 정도가 어떠한 차이를 보이는지, 각각의 학급 풍토의 구성 변인과 그 하위변인인 교사 변인과 학생변인이 각각 또래 괴롭힘과 어떠한 상관관계가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했다.
이를 위해 초등학교 6학년 11학급 408명을 연구의 대상으로 하여 질문지 조사를 실시한 결과, 1) 학급풍토에 따라 괴롭힘 정도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2) 학급 풍토 유형과 또래 괴롭힘 정도와의 상관관계를 살펴본 결과, 자율적 풍토와 친교적 풍토의 학급은 또래 괴롭힘 정도에 낮은 상관관계를 보이며 통치적으로 유의미한 부적 상관이 있었다. 그러나, 통제적 풍토와 또래 괴롭힘 정도간에는 상관이 없었다., 교사와 관련된 하위 변인과 또래 괴롭힘 정도와의 상관 관계에 있어서, 자율적 풍토의 교사의 행동 특성인 추진성과 친교적 풍토의 행동 특성인 사려성이, 또래 괴롭힘과 낮은 상관관계를 보이며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부적 상관이 있었고 통제적 풍토를 형성하는 교사의 행동인 지시성과 또래 괴롭힘 정도는 낮은 상관지수를 보이며 정적 상관관계가 있었다. 또한 아동의 행동 특성은 또래 괴롭힘 정도와 유의미한 상관을 나타내지 않았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Relationships Between Peer Bullying and Classroom Climates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examine the relationships between peer bullying and elementary classroom climates. For this purpose, 408 students over 11 classes of 6th grade in the elemen...
The Relationships Between Peer Bullying and Classroom Climates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examine the relationships between peer bullying and elementary classroom climates. For this purpose, 408 students over 11 classes of 6th grade in the elementary schools were selected as samples for the study. The Organization Climate Description Questionare and the modified Peer Nomination Inventory were administered to the samples.
The main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re is difference in the degree of peer bullying. between autonomous classroom climate and controlled classroom climate and also between controlled classroom climate and intimate classroom climate.
Second, there is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autonomous climate and peer bullying, and also between intimate climate and peer bullying. in a low level, althought no correlation is found between controlled climate and peer bullying.
Third, there is statistically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eacher-related subordinate factors of classroom climate and peer bullying although no correlation is found between the student-related subordinate factor and peer bullying.
목차 (Table of Contents)
장애유아 통합교육을 위한 일반교사와 특수교사간 협력 방안 고찰
인성교육을 위한 인터넷 기반의 협력적 딜레마 해결 학습모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