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도시환경개선을 위한 산림 기반 바람길 관리 계획- 낙동정맥을 사례로 - = Management Planning of Wind Corridor based on Mountain for Improving Urban Climate Environment - A Case Study of the Nakdong Jeongmaek -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53541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nalyzed the cold air characteristics of the Nakdong Jeongmaek, which is advantageous for the formation of cold air that can flow into the city, in order to suggest the wind ventilation corridor plans, which have recently been increasing in...

      This study analyzed the cold air characteristics of the Nakdong Jeongmaek, which is advantageous for the formation of cold air that can flow into the city, in order to suggest the wind ventilation corridor plans, which have recently been increasing interest as a way to improve the urban thermal environment. In addition, based on the watershed analysis, specific cold-air watershed areas were established and management plans were suggested to expand the cold air function of the Nakdong Jeongmaek. As a result of the analysis of cold air in the Nakdong Jeongaek, cold air was strongly generated in the northern forest of the Jeongamek, and flowed into nearby cities along the valley topography. On average, the speed of cold air was high in cities located to the east of the Jeongmaek, while the height of cold air layer was high in cities located to the west. By synthesizing these cold air characteristics and watershed analysis results, the cold-air watershed area was classified into 8 zones, And the plans were proposed to preserve and strengthen the temperature reduction of the Jeongmaek by designating the zones as‘Conservation area of Cold-air’,‘Management area of Cold-air’, and ‘Intensive management area of Cold-air’. In addition, in order to verify the temperature reduction of cold air, the effect of night temperature reduction effect was compared with the cold air analysis using weather observation data. As a result, the temperature reduction of cold air was confirmed because the night temperature reduction was large at the observation station with strong cold air characteristics. This study is expected to be used as basic data in establishing a systematic preservation and management plan to expand the cold air function of the Nakdong Jeongmaek.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도시 환경 개선을 위한 방안으로 최근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 바람길 관리방안을 제안하고자, 도시로 유입될 수 있는 찬공기 형성에 유리한 낙동정맥을 대상으로 찬공기 특성을 분...

      본 연구는 도시 환경 개선을 위한 방안으로 최근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 바람길 관리방안을 제안하고자, 도시로 유입될 수 있는 찬공기 형성에 유리한 낙동정맥을 대상으로 찬공기 특성을 분석하였다. 또한 유역 분석을 기반으로 낙동정맥의 구체적인 바람길 유역을 설정하고 유역별 찬공기 기능 확대를 위한 방안을 제안하였다. 낙동정맥의 찬공기 분석 결과, 찬공기는 낙동정맥의 북부 산림에서 강하게 생성되었으며, 계곡 지형을 따라 인근 도시로 유입되었다. 평균적으로는 낙동정맥의 동쪽에 위치한 도시에서 찬공기 풍속이 높았으며, 반면 서쪽에 위치한 도시에서는 찬공기층 높이가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찬공기 특성 및 유역 분석 결과를 종합하여 낙동정맥의 바람길 관리유역을 8개로 분류하였으며, 이를‘찬공기 기능 보전유역’,‘찬공기 기능 관리유역’,‘찬공기 기능 집중관리구역’으로 설정하여 정맥의 기온 저감 기능을 보전 및 강화하기 위한 방안을 제안하였다. 또한, 찬공기의 기온 저감 기능을 검증하고자 기상관측 정보를 활용하여 야간 기온 저감 효과를 찬공기 분석 결과와 비교하였다. 그 결과 찬공기 특성이 강한 지점의 관측소에서 야간 기온 저감 효과가 상대적으로 크게 나타나 찬공기의 기온 저감 기능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낙동정맥의 찬공기 기능 확대를 위한 체계적 보전 및 관리계획 마련 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