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초등학교 조직풍토와 교사 자기개발 욕구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ganizational Climate and Teachers' Desire for Self-Development in An Elementary School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9165442

      • 저자
      • 발행사항

        인천 : 경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3

      • 학위논문사항
      • 발행연도

        2003

      • 작성언어

        한국어

      • 주제어
      • KDC

        375 판사항(4)

      • 발행국(도시)

        인천

      • 형태사항

        ⅶ, 73p. : 삽도 ; 26cm

      • 일반주기명

        참고문헌: p. 63-65

      • 소장기관
        • 경인교육대학교 도서관(인천캠퍼스) 소장기관정보
        • 대구교육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부산교육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서울교육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전주교육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한국교육개발원 소장기관정보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초등학교의 조직 풍토와 교사들의 자기 개발 욕구에 관한 실태를 조사 분석하여 교사의 자기 개발을 위한 바람직한 방안을 모색해보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따라서 그 목적 달성을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초등학교의 조직 풍토 실태는 어떠한가?
      둘째, 초등학교 교사 자기 개발 욕구 실태는 어떠한가?
      셋째, 초등학교 조직 풍토와 교사 자기 개발 욕구와는 어떠한 관계가 있는가?
      위 문제를 검증하기 위한 설문 조사는 경기 북부지역의 초등학교에 재직하는 교사 460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여, Spss 11.0 for Windows를 이용하여 반응 결과를 분석하였다.
      실증 분석 방법은 빈도분석, 일원변량분석(Oneway Anova), t-검증(t-test), 상관분석(Correlation Analysis), 회귀분석(Regression analysis)을 활용하였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연구한 결과를 영역별로 간추려 요약하면
      첫째, 초등교사가 인식하는 학교 조직 풍토는 대체로 긍정적이며 배경 변인별로 살펴 본 결과 고경력 교사들이 교사의 행동이나 교장의 행동을 모두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었으며, 학교 규모별로 13학급~24학급의 경우와 36~48학급 규모의 학교에서 교사의 행동 풍토가 긍정적으로 인식되고 있었고, 12학급 이하의 소규모학교나 48학급 이상의 대규모 학교에서 교장의 행동을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둘째, 교사의 배경 변인 특성에 따른 학교 조직 풍토 하위 차원별 인식의 차이를 살펴 본 결과 고경력 교사일수록 교사의 행동풍토를 친교적이고 헌신적이라고 인식하고 있었으며, 중간 경력의 교사나 남교사는 그러하지 않은 교사들에 비해 교사 행동 풍토가 방관적이라고 더 인식하고 있었다. 학교 규모별로 보면 13-24학급의 교사들이 친교적이라고 인식하고 있었다.
      초등학교 교사들의 자기 개발 욕구에 관한 연구 결과는 교사의 배경 변인에 따른 교사 자기 개발 욕구 분석 결과 성별, 직위, 경력, 학력에 따라 유의미한 결과를 보인다. 즉 여교사보다는 남교사가, 일반교사 보다는 부장 교사가, 고경력 교사가, 대학원 졸업의 학력을 가진 교사의 자기 개발 욕구가 더 높게 나타났다.
      초등학교 조직 풍토와 교사 자기 개발 욕구의 상관 관계를 분석해 보면
      첫째, 학교 조직 풍토의 하위 차원인 교사의 행동 풍토와 교장의 행동풍토간에는 밀접한 상관 관계가 있다고 분석되었다. 즉, 교사의 친교적 풍토와 교장의 목표 지향적 행동, 교장의 목표 지향적 행동과 관료 지향적 행동을 제외한 나머지 변인들간에는 1%수준에서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를 나타내고 있었다.
      둘째, 교사의 자기 개발 욕구 3영역간에는 모두 1% 수준에서 유의한 정적 상관 관계를 나타내고 있었다.
      셋째, 학교 조직 풍토와 교사의 자기 개발 욕구와의 상관 분석 결과 변인별로 대체로 정적인 상관 관계를 나타내었다.
      넷째, 학교 조직 풍토가 교사 자기 개발 욕구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다중회귀 분석을 실시한 결과, 교장의 행동보다는 교사의 행동 풍토에 더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교사의 친교적 풍토는 긍정적 영향을 미치고 방관적 행동 풍토는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다섯째, 개인적 영역의 자기 개발 욕구에는 교사의 헌신적 행동 풍토나 친교적 행동 풍토가 각각 1%, 5%의 유의수준에서 28.7%의 영향력을 행사한다고 분석되었다
      여섯째, 교사의 전문적 영역 개발 욕구에는 교사의 친교적 행동 풍토, 교장의 인간 지향적 행동이 긍정적 영향을 미친다고 분석되었다.
      일곱째, 교사의 조직적 영역 개발 욕구에는 교사의 헌신적 행동 풍토와 교장의 인간 지향적 행동 풍토가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분석되었다.
      본 연구의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결론을 내리면 다음과 같다.
      첫째, 전반적으로 교사가 인식하는 초등학교 조직 풍토는 긍정적이었으며, 특히 고경력의 교사들이 교사의 행동 풍토나 교장의 행동을 긍정적으로 인식하는데 반해 10년 이하 저 경력 교사들의 인식이 덜 긍정적으로 나타나 교직사회의 갈등을 감지할 수 있을 것이다.
      중소규모의 학교 교사들이 대체로 교사 행동 풍토에 대해 친교적이고 긍정적으로 인식하며 교장의 행동에 대해서도 인간적이고 목표 지향적으로 인식하고 있어서 중소규모의 학교에서 교사와 교사간, 교사와 교장간의 의사소통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고 보여지는 반면, 교장의 행동에 대해서 대도시의 48학급 이상의 교사들은 교장의 행동을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교장 경력이 쌓인 대도시 교장들의 지도성이 교사들에게 긍정적으로 인식된다고 볼 수 있다.
      둘째, 교사의 자기 개발 욕구는 교사 개인의 배경 변인에 따란 뚜렷한 차이를 나타내고 있는데 승진 체제와도 상당한 관련이 있다고 보여진다. 즉, 자기 개발 욕구는 각 영역별로 대부분 고경력, 남교사, 부장교사, 고학력 교사들의 자기 개발 욕구가 높으며, 경력 2-15년의 교사는 각 영역별로 고경력 교사에 비해 낮은 욕구를 나타내는 것으로 미루어 승진을 앞 둔 교사들의 자기 개발 욕구가 강하다고 판단되어진다.
      또한 교사의 조직적 발달 영역 개발 욕구는 상이한 차이를 보이는데 몇몇 학교 운영 참여에 적극적인 교사들만의 관심에서 전체 교사가 참여하는 학교 조직 강화를 위한 노력이 필요할 것이다.
      셋째, 학교 조직 풍토와 교사 자기 개발 욕구의 하위 변인간에 상관분석 및 회귀 분석 결과 실제적으로 밀접한 영향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교사의 행동 풍토가 헌신적이고 친교적이며 교장의 행동이 인간적이면서 목표 지향적인 지도성을 발휘하는 학교 경영이 요구되어진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초등학교의 조직 풍토와 교사들의 자기 개발 욕구에 관한 실태를 조사 분석하여 교사의 자기 개발을 위한 바람직한 방안을 모색해보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따라서 그 목적 ...

      본 연구는 초등학교의 조직 풍토와 교사들의 자기 개발 욕구에 관한 실태를 조사 분석하여 교사의 자기 개발을 위한 바람직한 방안을 모색해보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따라서 그 목적 달성을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초등학교의 조직 풍토 실태는 어떠한가?
      둘째, 초등학교 교사 자기 개발 욕구 실태는 어떠한가?
      셋째, 초등학교 조직 풍토와 교사 자기 개발 욕구와는 어떠한 관계가 있는가?
      위 문제를 검증하기 위한 설문 조사는 경기 북부지역의 초등학교에 재직하는 교사 460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여, Spss 11.0 for Windows를 이용하여 반응 결과를 분석하였다.
      실증 분석 방법은 빈도분석, 일원변량분석(Oneway Anova), t-검증(t-test), 상관분석(Correlation Analysis), 회귀분석(Regression analysis)을 활용하였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연구한 결과를 영역별로 간추려 요약하면
      첫째, 초등교사가 인식하는 학교 조직 풍토는 대체로 긍정적이며 배경 변인별로 살펴 본 결과 고경력 교사들이 교사의 행동이나 교장의 행동을 모두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었으며, 학교 규모별로 13학급~24학급의 경우와 36~48학급 규모의 학교에서 교사의 행동 풍토가 긍정적으로 인식되고 있었고, 12학급 이하의 소규모학교나 48학급 이상의 대규모 학교에서 교장의 행동을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둘째, 교사의 배경 변인 특성에 따른 학교 조직 풍토 하위 차원별 인식의 차이를 살펴 본 결과 고경력 교사일수록 교사의 행동풍토를 친교적이고 헌신적이라고 인식하고 있었으며, 중간 경력의 교사나 남교사는 그러하지 않은 교사들에 비해 교사 행동 풍토가 방관적이라고 더 인식하고 있었다. 학교 규모별로 보면 13-24학급의 교사들이 친교적이라고 인식하고 있었다.
      초등학교 교사들의 자기 개발 욕구에 관한 연구 결과는 교사의 배경 변인에 따른 교사 자기 개발 욕구 분석 결과 성별, 직위, 경력, 학력에 따라 유의미한 결과를 보인다. 즉 여교사보다는 남교사가, 일반교사 보다는 부장 교사가, 고경력 교사가, 대학원 졸업의 학력을 가진 교사의 자기 개발 욕구가 더 높게 나타났다.
      초등학교 조직 풍토와 교사 자기 개발 욕구의 상관 관계를 분석해 보면
      첫째, 학교 조직 풍토의 하위 차원인 교사의 행동 풍토와 교장의 행동풍토간에는 밀접한 상관 관계가 있다고 분석되었다. 즉, 교사의 친교적 풍토와 교장의 목표 지향적 행동, 교장의 목표 지향적 행동과 관료 지향적 행동을 제외한 나머지 변인들간에는 1%수준에서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를 나타내고 있었다.
      둘째, 교사의 자기 개발 욕구 3영역간에는 모두 1% 수준에서 유의한 정적 상관 관계를 나타내고 있었다.
      셋째, 학교 조직 풍토와 교사의 자기 개발 욕구와의 상관 분석 결과 변인별로 대체로 정적인 상관 관계를 나타내었다.
      넷째, 학교 조직 풍토가 교사 자기 개발 욕구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다중회귀 분석을 실시한 결과, 교장의 행동보다는 교사의 행동 풍토에 더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교사의 친교적 풍토는 긍정적 영향을 미치고 방관적 행동 풍토는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다섯째, 개인적 영역의 자기 개발 욕구에는 교사의 헌신적 행동 풍토나 친교적 행동 풍토가 각각 1%, 5%의 유의수준에서 28.7%의 영향력을 행사한다고 분석되었다
      여섯째, 교사의 전문적 영역 개발 욕구에는 교사의 친교적 행동 풍토, 교장의 인간 지향적 행동이 긍정적 영향을 미친다고 분석되었다.
      일곱째, 교사의 조직적 영역 개발 욕구에는 교사의 헌신적 행동 풍토와 교장의 인간 지향적 행동 풍토가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분석되었다.
      본 연구의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결론을 내리면 다음과 같다.
      첫째, 전반적으로 교사가 인식하는 초등학교 조직 풍토는 긍정적이었으며, 특히 고경력의 교사들이 교사의 행동 풍토나 교장의 행동을 긍정적으로 인식하는데 반해 10년 이하 저 경력 교사들의 인식이 덜 긍정적으로 나타나 교직사회의 갈등을 감지할 수 있을 것이다.
      중소규모의 학교 교사들이 대체로 교사 행동 풍토에 대해 친교적이고 긍정적으로 인식하며 교장의 행동에 대해서도 인간적이고 목표 지향적으로 인식하고 있어서 중소규모의 학교에서 교사와 교사간, 교사와 교장간의 의사소통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고 보여지는 반면, 교장의 행동에 대해서 대도시의 48학급 이상의 교사들은 교장의 행동을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교장 경력이 쌓인 대도시 교장들의 지도성이 교사들에게 긍정적으로 인식된다고 볼 수 있다.
      둘째, 교사의 자기 개발 욕구는 교사 개인의 배경 변인에 따란 뚜렷한 차이를 나타내고 있는데 승진 체제와도 상당한 관련이 있다고 보여진다. 즉, 자기 개발 욕구는 각 영역별로 대부분 고경력, 남교사, 부장교사, 고학력 교사들의 자기 개발 욕구가 높으며, 경력 2-15년의 교사는 각 영역별로 고경력 교사에 비해 낮은 욕구를 나타내는 것으로 미루어 승진을 앞 둔 교사들의 자기 개발 욕구가 강하다고 판단되어진다.
      또한 교사의 조직적 발달 영역 개발 욕구는 상이한 차이를 보이는데 몇몇 학교 운영 참여에 적극적인 교사들만의 관심에서 전체 교사가 참여하는 학교 조직 강화를 위한 노력이 필요할 것이다.
      셋째, 학교 조직 풍토와 교사 자기 개발 욕구의 하위 변인간에 상관분석 및 회귀 분석 결과 실제적으로 밀접한 영향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교사의 행동 풍토가 헌신적이고 친교적이며 교장의 행동이 인간적이면서 목표 지향적인 지도성을 발휘하는 학교 경영이 요구되어진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and analyze organizational climate and the actual condition of teachers' desire for self-development in an elementary school and present a desirable plan for increasing their self-development. For this purpose, the study set the following questions:
      First, how is organizational climate in an elementary school?
      Second, how is elementary school teachers' desire for self-development?
      Third, what correlation is there between organizational climate and teachers' desire for self-development in an elementary school?
      To answer these questions, this study conducted a survey with 460 teachers at elementary schools in northern Gyeong-gi and the resultant data were analyzed by SPSS 11.0 for WINDOWS.
      The positive analytical methods were used: frequency analysis, One-way ANOVA, t-test, correlation analysis, and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elementary school teachers thought of organizational climate at school as acceptable as a rule: the analysis by the background variable demonstrated that teachers with much career thought of both teachers' and principal's behaviors as acceptable; and the analysis by the school size demonstrated that teachers' behavior was thought of as positive at schools with 13~24 classrooms and those with 36~48 classrooms; and principal's behavior was thought of as positive at small schools with below 12 classrooms and large ones with over 48 classrooms.
      Second, the analysis of differences in recognition by the sub-dimension of organizational climate at school according to the variable of teachers' background demonstrated that teachers with more career were more likely to think of teachers' behavior as positive and devoted while teachers with middle-level career and male teachers were more likely to think of it as indifferent than other teachers. The analysis by the school size revealed that teachers at those schools with 13~24 classrooms were thought of as friendly.
      The analysis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desire for self-development by their background variables produced meaningful results according to gender, title, working career, and academic career. That is, male teachers, chief teachers, those with much career, and those who finished the graduate course showed higher desire for self-development than female teachers, common teachers, and the like.
      The correlation between organizational climate and teachers' desire for self-development in an elementary school is as follows:
      First, the analysis demonstrated that there is a close correlation between teachers' and principal's behavior, both of which are sub-dimensions of organizational climate at school.
      Second, there was a significant static correlation at the one-percent level among all of the three areas in teachers' desire for self-development.
      Third, the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organizational climate at school and teachers' desire for self-development revealed that there was generally a static correlation by the variable.
      Fourth, th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o determine the effect of organizational climate at school on teachers' desire for self-development demonstrated that teachers' behavior had a greater effect than principal's. That is, teachers' friendly behavior has a positive effect while their indifferent behavior has a negative effect.
      Fifth, teachers' devoted and friendly behavior had a 28.7% effect at 1% and 5% significance level, respectively, on the desire for self-development in the personal area.
      Sixth, teachers' friendly behavior and principal's human-oriented behavior had a positive effect on teachers' desire for self-development in the professional area.
      Seventh, teachers' devoted behavior and principal's human-oriented behavior had a positive effect on teachers' desire for self-development in the organizational area.
      These results could lead to the following conclusion:
      First, teachers think of organizational climate of an elementary school as positive as a rule; particularly, those with much career think of teachers' and principal's behavior as positive while those with low-career below ten years think of it as less positive, implying a possible conflict in the teaching world.
      Teachers in small- and medium-size schools generally think of teachers' behavior as friendly and positive and also principal's behavior as humane and goal-oriented, implying positive communication among teachers and between a teacher and a principal in a small- or medium-size school. Meanwhile, those teachers in a school with over 48 classrooms in a large city think of principal's behavior as positive, implying the leadership of a principal with accumulated career in a large city is thought of as positive by teachers.
      Second, there was a clear difference in teachers' desire for self-development according to their personal background variables, which seems to strongly relate to the promotion system. In other words, those teachers about to be promoted have strong desire for self-development, judged from the fact that teachers with much career, male teachers, chief teachers, and those with much academic career showed high desire for self-development while teachers with career of 2~15 years showed lower desire for self-development than those with much career.
      And there was a great difference in teachers' desire for self-development in the organizational area; thus, an effort is required to strengthen school organization by encouraging all teachers to participate in school management, departing from the situation in which only a few teachers are interested in the participation.
      Third, both correlation and regression analyses between sub-variables of organizational climate at school and teachers' desire for self-development revealed that the former had actually a strong effect on the latter; accordingly, what is required is school management both for teachers' devoted and friendly behavior and principal's humane and goal-oriented leadership.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and analyze organizational climate and the actual condition of teachers' desire for self-development in an elementary school and present a desirable plan for increasing their self-development. For this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and analyze organizational climate and the actual condition of teachers' desire for self-development in an elementary school and present a desirable plan for increasing their self-development. For this purpose, the study set the following questions:
      First, how is organizational climate in an elementary school?
      Second, how is elementary school teachers' desire for self-development?
      Third, what correlation is there between organizational climate and teachers' desire for self-development in an elementary school?
      To answer these questions, this study conducted a survey with 460 teachers at elementary schools in northern Gyeong-gi and the resultant data were analyzed by SPSS 11.0 for WINDOWS.
      The positive analytical methods were used: frequency analysis, One-way ANOVA, t-test, correlation analysis, and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elementary school teachers thought of organizational climate at school as acceptable as a rule: the analysis by the background variable demonstrated that teachers with much career thought of both teachers' and principal's behaviors as acceptable; and the analysis by the school size demonstrated that teachers' behavior was thought of as positive at schools with 13~24 classrooms and those with 36~48 classrooms; and principal's behavior was thought of as positive at small schools with below 12 classrooms and large ones with over 48 classrooms.
      Second, the analysis of differences in recognition by the sub-dimension of organizational climate at school according to the variable of teachers' background demonstrated that teachers with more career were more likely to think of teachers' behavior as positive and devoted while teachers with middle-level career and male teachers were more likely to think of it as indifferent than other teachers. The analysis by the school size revealed that teachers at those schools with 13~24 classrooms were thought of as friendly.
      The analysis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desire for self-development by their background variables produced meaningful results according to gender, title, working career, and academic career. That is, male teachers, chief teachers, those with much career, and those who finished the graduate course showed higher desire for self-development than female teachers, common teachers, and the like.
      The correlation between organizational climate and teachers' desire for self-development in an elementary school is as follows:
      First, the analysis demonstrated that there is a close correlation between teachers' and principal's behavior, both of which are sub-dimensions of organizational climate at school.
      Second, there was a significant static correlation at the one-percent level among all of the three areas in teachers' desire for self-development.
      Third, the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organizational climate at school and teachers' desire for self-development revealed that there was generally a static correlation by the variable.
      Fourth, th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o determine the effect of organizational climate at school on teachers' desire for self-development demonstrated that teachers' behavior had a greater effect than principal's. That is, teachers' friendly behavior has a positive effect while their indifferent behavior has a negative effect.
      Fifth, teachers' devoted and friendly behavior had a 28.7% effect at 1% and 5% significance level, respectively, on the desire for self-development in the personal area.
      Sixth, teachers' friendly behavior and principal's human-oriented behavior had a positive effect on teachers' desire for self-development in the professional area.
      Seventh, teachers' devoted behavior and principal's human-oriented behavior had a positive effect on teachers' desire for self-development in the organizational area.
      These results could lead to the following conclusion:
      First, teachers think of organizational climate of an elementary school as positive as a rule; particularly, those with much career think of teachers' and principal's behavior as positive while those with low-career below ten years think of it as less positive, implying a possible conflict in the teaching world.
      Teachers in small- and medium-size schools generally think of teachers' behavior as friendly and positive and also principal's behavior as humane and goal-oriented, implying positive communication among teachers and between a teacher and a principal in a small- or medium-size school. Meanwhile, those teachers in a school with over 48 classrooms in a large city think of principal's behavior as positive, implying the leadership of a principal with accumulated career in a large city is thought of as positive by teachers.
      Second, there was a clear difference in teachers' desire for self-development according to their personal background variables, which seems to strongly relate to the promotion system. In other words, those teachers about to be promoted have strong desire for self-development, judged from the fact that teachers with much career, male teachers, chief teachers, and those with much academic career showed high desire for self-development while teachers with career of 2~15 years showed lower desire for self-development than those with much career.
      And there was a great difference in teachers' desire for self-development in the organizational area; thus, an effort is required to strengthen school organization by encouraging all teachers to participate in school management, departing from the situation in which only a few teachers are interested in the participation.
      Third, both correlation and regression analyses between sub-variables of organizational climate at school and teachers' desire for self-development revealed that the former had actually a strong effect on the latter; accordingly, what is required is school management both for teachers' devoted and friendly behavior and principal's humane and goal-oriented leadership.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목차 = ⅴ
      • Ⅰ. 서론 = 1
      • 1.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 1
      • 2. 연구 문제 = 3
      • 3. 연구의 제한점 = 3
      • 목차 = ⅴ
      • Ⅰ. 서론 = 1
      • 1.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 1
      • 2. 연구 문제 = 3
      • 3. 연구의 제한점 = 3
      • 4. 용어 정의 = 4
      • Ⅱ. 이론적 배경 = 6
      • 1. 조직풍토 = 6
      • 2. 자기 개발에 관한 이론적 고찰 = 16
      • 3. 선행 연구 고찰 = 20
      • Ⅲ. 연구 방법 = 23
      • 1. 연구 대상 및 표집 = 23
      • 2. 연구 분석 방법 = 24
      • 3. 자료의 처리 = 29
      • Ⅳ. 결과 분석 및 논의 = 31
      • 1. 초등학교 교사 조직 풍토에 대한 분석 = 31
      • 2. 교사 자기 개발 욕구에 대한 분석 = 43
      • 3. 초등학교 조직 풍토와 교사 자기 개발 욕구에 대한 분석 = 50
      • Ⅴ. 요약 및 결론 = 57
      • 1. 요약 = 57
      • 2. 결론 = 60
      • 3. 제언 = 61
      • 참고문헌 = 63
      • 교직풍토와 교사 자기 개발 욕구에 관한 질문지 = 66
      • ABSTRACT = 70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