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우수등재

      정치적 필요와 윤리적 이상의 긴장 : 조선시대 유교정치사상사를 위한 분석틀의 모색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07356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조선의 유교정치사상사 전체를 조망할 수 있는 하나의 개념틀을 정립하고 유교정치사상사의 장기적 경향을 이해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유학은 그 자체 내에 이상주의와 실용...

      본 연구는 조선의 유교정치사상사 전체를 조망할 수 있는 하나의 개념틀을 정립하고 유교정치사상사의 장기적 경향을 이해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유학은 그 자체 내에 이상주의와 실용주의의 이원적 요소를 가지고 있는데 양자는 긴장적 관계를 형성한다. 이 유학 내의 긴장 관계를 본 연구는 플라톤의 『국가』에서 빌려온 개념들을 사용하여 ‘정치적 필요와 윤리적 이상의 긴장’으로 표현하였다. 이 개념틀을 통하여 조선의 유교정치사상사를 해석해 보면, 15세기는 대체로 정치적 필요와 윤리적 이상이 균형상태에 있었고 16세기부터 윤리적 이상 쪽으로 경도되는 경향을 보인다. 하지만 17세기 후반부터 정치적 필요의 문제가 부활하여 다시 그 균형이 회복되는 경향을 보이며 18세기의 실용적 학풍의 유행으로 발전하였다. 19세기 전반기는 윤리적 이상 쪽으로의 보수적 반동이 있었던 시기인데, 동시에 유학의 쇠락기이기도 하였다. 이와 같이 조선의 유교정치사상사를 이해하였을 때, 우리는 조선의 사상사가 느리지만 연속적인 변화의 과정 속에 있었음을 알 수 있다. 각 시기 사상사의 변화는 해당 시기의 역사적 상황들이 반영되어 있는 것이기는 하지만, 동시에 유학의 정치사상에 내재하는 두 개의 다른 지적 경향의 반영이기도 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nalyzes the history of Confucian political thinking in Chosŏn, specifically its longitudinal inclinations, by means of a conceptual framework. Confucianism as a political philosophy has a tension in itself owing to its contrasting element...

      This study analyzes the history of Confucian political thinking in Chosŏn, specifically its longitudinal inclinations, by means of a conceptual framework. Confucianism as a political philosophy has a tension in itself owing to its contrasting elements of idealism and pragmatism. The present study names this “the tension between political necessity and an ethical ideal.” In interpreting Chosŏn’s history of Confucian political thinking with this framework, a series of intellectual shifts are roughly in accord with the division of each century. In the 15th century the two were largely in balance, which inclined, in the 16th and 17th centuries, to the side of ethical ideal. From the late 17th century, however, the political necessity resurged and the original balance gradually recovered, which gave rise to the popularity of practical studies in the 18th century. The first half of the 19th century witnessed a conservative reaction against the practical studies. The development of Confucian political thinking in Chosŏn was therefore a slow but incessant process of change. The intellectual shifts reflect each century’s historical circumstances; they mirror, at the same time, the relationship in tension between the two inherent elements of Confucian political philosophy.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논문요약
      • Ⅰ. 서론
      • Ⅱ. 정치적 필요와 윤리적 이상의 긴장 : 개념틀의 도출
      • Ⅲ. 유학 고전 속에서의 필요와 이상
      • Ⅳ. 조선시대 유교정치사상의 발전
      • 논문요약
      • Ⅰ. 서론
      • Ⅱ. 정치적 필요와 윤리적 이상의 긴장 : 개념틀의 도출
      • Ⅲ. 유학 고전 속에서의 필요와 이상
      • Ⅳ. 조선시대 유교정치사상의 발전
      • Ⅴ. 요약 및 함의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論語"

      2 한국동양정치사상사학회, "한국정치사상사: 단군에서 해방까지" 백산서당 2005

      3 이택휘, "한국정치사상사 : 조선조 정치체제와 한국정치사상" 전통문화연구회 1999

      4 박충석, "한국정치사상사" 삼영사 2010

      5 신복룡, "한국정치사상사" 지식산업사 2011

      6 이재석, "한국정치사상사" 집문당 2002

      7 김한식, "한국인의 정치사상" 백산서당 2006

      8 이영훈, "한국실학의 새로운 모색" 경인문화사 2001

      9 이병도, "한국 유학사" 아세아문화사 1987

      10 이황, "퇴계선집" 현암사 211-296, 1993

      1 "論語"

      2 한국동양정치사상사학회, "한국정치사상사: 단군에서 해방까지" 백산서당 2005

      3 이택휘, "한국정치사상사 : 조선조 정치체제와 한국정치사상" 전통문화연구회 1999

      4 박충석, "한국정치사상사" 삼영사 2010

      5 신복룡, "한국정치사상사" 지식산업사 2011

      6 이재석, "한국정치사상사" 집문당 2002

      7 김한식, "한국인의 정치사상" 백산서당 2006

      8 이영훈, "한국실학의 새로운 모색" 경인문화사 2001

      9 이병도, "한국 유학사" 아세아문화사 1987

      10 이황, "퇴계선집" 현암사 211-296, 1993

      11 소공권(蕭公權), "중국정치사상사"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2019

      12 노대환, "조선후기의 서학 유입과 서기 수용론" 83 : 121-154, 1997

      13 유봉학, "조선후기 학계와 지식인" 신구문화사 1998

      14 정옥자, "조선후기 조선중화사상 연구" 일지사 1998

      15 김준석, "조선후기 정치사상사 연구" 지식산업사 2003

      16 정호훈, "조선후기 정치사상 연구" 혜안 2004

      17 지두환, "조선후기 예송 연구" 11 : 77-125, 1987

      18 정옥자, "조선후기 역사의 이해" 일지사 1993

      19 김문식, "조선후기 경학사상 연구" 일조각 1996

      20 정재훈, "조선전기 유교정치사상 연구" 서울대학교출판부 2005

      21 김홍경, "조선전기 관학파의 정치사상" 한길사 1996

      22 강재언, "조선의 서학사" 민음사 1990

      23 현상윤, "조선유학사" 심산 2010

      24 김상준, "조선시대의 예송과 모랄폴리틱" 35 (35): 205-236, 2001

      25 이경구, "조선, 철학의 왕국 - 호락논쟁 이야기" 푸른역사 2018

      26 김영수, "조선 공론정치의 이상과 현실(I): 당쟁발생기 율곡 이이의 공론정치론을 중심으로" 한국정치학회 39 (39): 7-27, 2005

      27 유봉학, "연암일파 북학사상연구" 일지사 1995

      28 김태영, "실학의 국가개혁론" 서울대학교출판부 1998

      29 변주승, "신유박해의 정치적 배경" 한국사상사학회 16 : 2001

      30 이태진, "소빙기(1500-1750) 천변재이 연구와 『조선왕조실록』: Global History의 한 장" 149 : 203-236, 1996

      31 김만규, "바로 보는 한국의 정치사상" 논형 2005

      32 정차근, "동양정치사상 : 한국 양명학 사상의 전개" 평민사 1996

      33 고동환, "다시, 실학이란 무엇인가" 푸른역사 249-275, 2007

      34 이영훈, "다산의 정전제 개혁론과 왕토주의" 19 : 55-111, 1996

      35 이원택, "기해복제 논쟁과 그 이념적 지향" 34 (34): 23-39, 2002

      36 이황, "국역퇴계집" 민족문화추진회 100-124, 1997

      37 안정복, "국역 순암집 3" 민족문화추진회 227-251, 1996

      38 송시열, "국역 송자대전 5" 민족문화추진회 237-280, 1985

      39 한명기, "광해군" 역사비평사 2000

      40 문철영, "고려후기 신유학 수용과 사대부의 의식 세계" (41, 42) : 335-417, 1998

      41 도현철, "고려말 사대부의 정치사상 연구" 일조각 1999

      42 "書經"

      43 "孟子"

      44 Plato, "The Republic"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8

      45 Weber, Max, "The Religion of China: Confucianism and Taoism" The Free Press 1962

      46 Duncan, John B., "The Origins of the Chosŏn Dynasty" University of Washington Press 2000

      47 Wagner, Edward W., "The Literati Purges : Political Conflict in Early Yi Korea" East Asian Research Center, Harvard University 1974

      48 Schwartz, Benjamin, "The Limits of ‘Tradition versus Modernity’ as Categories of Explanation : The Case of the Chinese Intellectuals" 101 (101): 71-88, 1972

      49 Arendt, Hannah, "The Human Condition" Th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98

      50 Deuchler, Martina, "The Confucian Transformation of Korea : A Study of Society and Ideology" Council on East Asian Studies, Harvard University 1992

      51 Rawls, John, "Political Liberalism" Columbia University Press 1993

      52 Deuchler, Martina, "Culture and the State in Late Chosŏn Korea" Harvard University Asia Center 91-133, 1999

      53 Haboush, JaHyun K., "Culture and the State in Late Chosŏn Korea" Harvard University Asia Center 46-90, 1999

      54 Arnold, Matthew, "Culture and Anarchy" Thoemmes Press 1994

      55 Palais, James B., "Confucian Statecraft and Korean Institutions : Yu Hyŏngwŏn and the Late Chosŏn Dynasty" University of Washington Press 1996

      56 Baker, Don, "Catholics and Anti-Catholicism in Chosŏn Korea" University of Hawai’i Press 2017

      57 도현철, "<경제문감>의 인용전거로 본 정도전의 정치사상" 165 : 69-102, 2000

      58 노대환, "19세기 중엽 유신환 학파의 학풍과 현실개혁론" 72 : 191-228, 1993

      59 이경구, "18세기말~19세기초 지식인과 지식계의 동향" 한국사상사학회 (46) : 283-312, 2014

      60 정옥자, "17세기 사상계의 재편과 예론" 규장각한국학연구원 (10) : 211-239, 1989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0 평가예정 계속평가 신청대상 (등재유지)
      2015-01-01 평가 우수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1999-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98 0.98 1.0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08 1.03 1.653 0.27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